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북불교계, 자주 만나는 것이 최우선

  • 법보시론
  • 입력 2018.05.15 13:59
  • 수정 2018.05.31 18:10
  • 댓글 0

4월27일 판문점에서 열린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을 발표했다. 한반도의 정전체제를 종식하고 함께 평화체제로 나아가자는 선언이었다. 1953년 휴전협정이 맺어진 바로 그 자리에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선언함으로써 남북 간의 70년 대치국면이 사실상 끝나고 바야흐로 한반도는 평화의 길로 들어섰다. 상호 대남·대북 심리전에 활용하던 확성기 철거를 시작으로 유라시아 대륙철도 연결과 관련한 논의 등이 구체화되고 있다는 소식 등이 잇따라 전해지며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종전 후 70년 만의 생경한 평화라 아직 현실감이 덜한 것도 사실이지만, 확실히 이전과 다른 변화가 느껴진다. 사실, 남북불교교류는 정부의 대북정책에 따라 상당한 부침을 겪어왔다. 김대중, 노무현 정부에서는 정부와 민간의 인도적 지원이 확대됨으로써 불교계의 대북지원사업도 활성화되었다. 1989년 법타 스님이 분단 후 첫 방북한 것을 계기로 김대중 전 대통령이 취임한 1998년 조국평화통일불교협회가 황해도 금강국수공장을 설립함으로써 물꼬가 트였다. 이후 노무현 정부 때까지 통일기원법회, 개성 영통사 복원, 금강산 신계사 낙성식 등과 같은 활발한 교류가 매년 있었다. 특히, 2005년에는 조계종 총무원장이었던 고 법장 스님이 ‘6․15 제5주년 기념 평양대통일축전일’에 방북해 북측과 불교교류 및 6자 회담 성사를 기원하는 등 한반도평화를 위해 활발하게 활동했다.

하지만 2008년 이후 이명박 정부 때는 이전 정부와의 차별화를 강조하며, 그동안의 남북교류를 ‘일방적 퍼주기식’으로 평가함으로써 남북관계가 급속히 얼어붙었고 남북불교교류도 움추려들었다. 그리고 2010년 남측 불자 5000명 금강산 순례를 전격 합의했으나 무산됨으로써 사실상의 남북불교교류는 단절되었다.

한편, 박근혜 정부는 이명박 정부의 실패한 대북정책을 딛고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구축하겠다고 했지만 오히려 한반도를 더욱 경색시키고 말았다. 박근혜가 외친 ‘통일대박’은 ‘쪽박’나고 사실상 남북교류나 불교교류는 기대조차 할 수 없었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이후 한반도가 극적인 봄을 맞이하고 있다. 더불어 불교계 역시 그 동안 막혔던 교류를 시작하고 있다. 우선 조계종의 대북교류 전담기구인 민족공동체추진본부가 올해 초에 밝힌 대북 교류사업 제안들을 보면, 오는 5월22일 부처님오신날에 남북교차방문, 연등회 관련 조선불교도연맹의 대표 등 초청, 부처님오신날 남북동시법회 등이 기대를 모으고 있다.

또 오는 8월15일 광복절에는 남북불교대표단이 서울과 평양을 교차 방문하고 ‘8·15 남북불교도 합동법회’ 재개를 제안하며 북측의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 더욱이 남북불교교류의 상징인 금강산 신계사 복원 이후 중단 됐던 건축물 진단과 보수공사 등도 이뤄질 수 있을 전망이다. 물론, 남북한의 공식허가가 있어야만 하겠지만, 지금의 분위기로는 기대해도 좋을 것 같다.

남북관계는 조석지변으로 급물살을 타니 불교계 또한 남북불교교류만큼은 장기적인 계획을 갖고 꾸준히 추진하는 것이 힘들다. 획기적이거나 신선한 사업을 제시하지 못해 아쉬울 때도 있다. 하지만 그러면 어떤가. 구체적인 사업이나 교류계획이 없더라도 만날 기회가 있다면 북측불교계와 자주 만나는 것이 우선이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나라가 쇠락하지 않는 일곱 가지 방법 가운데 첫 번째가 바로 ‘자주자주 모임을 갖고 서로 바른 일에 대해 의논하는 것’이다. 남북불교계 관계자가 자주 만나 모임을 갖고 ‘바른 일’에 대해 논의한다면 한반도 평화정착에 기여할 불교계의 역할이 분명 적지 않을 것이다.

황정일 동국대 연구교수 9651975@hanmail.net
 

[1440호 / 2018년 5월 16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