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책맹 집단엔 미래없다

책 읽기운동이 사회 곳곳에서 전개되고 있다. 한 일간지가 범국민적 독서운동을 발의하고 나서고 바보상자 TV가 요즘에는 오히려 장안의 종이값을 높이는데 크게 일조하고 있다. 사회전반에서 책읽기와 관련하여 매우 의미 있는 현상이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책을 읽지 않는 국민에게는 미래가 없다는 사실은 언제나, 또 누구나 잘 알고 있는 진리였으나 이러한 철칙이 오늘처럼 현실화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우리의 출판시장이 최근과 같은 유의미한 변화를 얼마나 오랜 시간 동안 유지 할 수 있을 지는 의문이지만 적어도 오늘의 변화를 이끈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면에서 이야기를 전개할 수 있을 것 같다. 혹자는 전문 편집기획자의 폭넓은 출현이 오늘의 출판시장을 이끌고 있다고 분석하기도 하고 혹자는 국민들의 독서욕구를 살피는 철저한 시장조사 및 경영의 전문화가 국민들로 하여금 책을 가까이 하게 했다고 분석한다.

그러나 나는 좀 더 다른 각도에서 지금의 현상을 일으킨 원인을 찾고 싶다. 책을 읽는 것 역시 사람의 문제라고 보고 싶은 것이다. 오늘날 출판 시장의 주요 고객은 30대와 40대 독자층이다. 이들은 암울한 80년대를 온 몸으로 부대끼며 관통한 세대로 책을 통해 얻은 의식-지식이 삶에 미치는 영향력을 다른 어떤 세대보다도 절실히 체득한 세대이다. 그들의 부모가 산업화의 시대를 열고 부를 정착시키느라 책에서 자연 멀리 떨어져 살았다면 이들은 머리에 쥐가 날 정도로 어려운 사회과학 서적들을 손에 쥔 채 자신의 삶의 방향을 고민해온 세대들이다. 지금 30대 이상 40대가 된 이들은 이제 그들 자신의 삶과 자녀들의 삶을 보다 양서와 가깝게 놓아두려 애를 쓴다.

이러한 조류는 비단 우리 한국 내에서뿐만 아니라 지성적 문제에 관한 한 탁월한 이력을 지니고 있는 서구 유럽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나 불교계의 상황을 돌아보면 마음이 무거워 진다. ‘불교계=책맹 집단’이라는 등식이 여전히 성립하기 때문이다. 교계에서 출판부문을 담당하는 인사들의 입에서 과거와 전혀 다르지 않은 고뇌에 찬 하소연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전 사회가 책에 관심을 돌리는 이때에 왜 불자들만은 유독 책을 멀리하는 것일까. 필자는 이것을 신도교육의 중요한 허점으로 지적하고 싶다. 우리 민족은 경전을 펴내기 위해서 세계 최초로 금속활자를 발명할 정도였다. 책을 읽지 않는 불자란 곧 경전마저도 멀리하는 불자라는 뜻이다. 경전과 각종 불교서적은 부처님께 다가가는 지름길이며 깨달음을 향해 가는 일종의 지도라고 할 수 있는데 불자들은 왜 이 길을 멀리하는 것일까. 그것은 불교계의 지도자들이, 스승들이 불자들에게 불서 읽기의 중요성을 강조하지 않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승속을 막론하고 부처님 법을 배우고 실천하는 불자들에게 있어 불서는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귀중한 지혜의 보고이다. 그러한 양식을 스님들부터 먼저 가까이 하고 부모가 자식에게 책을 권하듯 불자대중들에게 권해야 하는 것은 두 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지금보다 더욱 많은 양질의 불교서적이 출간되려면 우선 불서가 불자들의 손에 들려져야 한다. 불교출판 시장의 봄은 그냥 오지 않는다. 사부대중 전체의 각성이 있을 때 불교출판은 재활의 날개짓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여기서 기독교와 불교의 출판 시장을 비교하거나 우열을 따지고 싶지는 않다. 그 격차가 하도 커 엄두가 나지 않거니와 그것으로 불자들의 의식이 변할 것이라는 기대를 할 수 없는 불교상황을 너무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책맹 집단에게 미래는 없다. 같은 이유로 지금처럼 불자들이 책을 읽지 않는데에도 불구하고 불교의 미래를 낙관하는 불자가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인과의 법칙을 무시하는 사고라고 감히 말하고 싶다.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