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베트남 양민 학살 참회는 계속돼야 한다

기자명 법보
  • 사설
  • 입력 2018.09.03 10:46
  • 호수 1454
  • 댓글 0

미국 전쟁사에 ‘가장 긴 전쟁’이자 ‘유일하게 진 전쟁’으로 기록된 베트남전에 우리나라는 32만여명의 병력을 투입했다. 이는 미군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규모였다. ‘민주주의’를 위해서든, ‘주한미군 2개사단 월남전용 저지’를 위해서든, ‘한강의 기적’으로 명명된 경제 발전의 초석이 된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베트남 파병을 조건으로 한국은 미국에 경제협력을 요구했는데 그 결과 베트남 파병 직후인 1965년부터 종전된 1975년까지 10년 동안 국민총생산은 14배로 늘었고, 외환보유액과 외국환 등의 총액은 24배로 불었으며, 수출총액은 29배로 뛰어 올랐다. 그 대가로 우리는 5000여명의 전사자와 2만5000여명의 부상자, 8700여명의 고엽제 피해자가 발생했다. 그리고 하나 더 있다. 선뜻 꺼내기도 어려운 단어, 학살이다.

베트남에 파병된 주요 부대는 각기 슬로건을 내걸고 전쟁에 임했는데 두 내용이 대표적이다. ‘깨끗이 죽이고, 깨끗이 불태우고, 깨끗이 파괴한다.’ ‘놓치는 것보다는 오인사살이 낫다.’ 훈장, 특진이라는 마장에 걸려든 한국군은 결국 턴지앙촌, 럽담마을, 하미마을 등에서 민간인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학살마저 서슴지 않았다. 심지어 린선사(Linh Son Temple)에 머물고 있던 스님과 행자에게도 난사했다.

당시 민간인 희생자는 약 9000명으로 알려져 있다. 통역사가 전무하다시피 한 상황에서 “베트콩과 민간인을 구별할 수 없기에 벌어진 진 일”이라는 항변은 당시 참극을 목도한 증언자들의 말에 비춰볼 때 설득력이 없다.

우리는 희생자 영령은 물론 그 후손들에게도 참회해야 한다.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가 봉행하려는 ‘베트남 전쟁 양민 희생자 추모재’도 참회의 한 맥락이기에 의미 있다. 종단이 안정되면 현지에서의 추모재도 봉행했으면 하는 바람이 크다.

 

[1454호 / 2018년 9월 5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