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든 선근 베풀어 안락을 얻도록 하라

중국 정공 스님의 '무량수경청화' 법문 ⑲

보리심 발하는건 미혹되지 않고
전도되지 않겠다는 마음내는 것
계율 지녀 결코 범하지 않으면서
유정중생을 널리 풍요롭게 해야

정공 스님은 부처님이야말로 진정으로 깨달은 분으로, 불자들의 진정한 표준이라고 강설한다.
정공 스님은 부처님이야말로 진정으로 깨달은 분으로, 불자들의 진정한 표준이라고 강설한다.

“보리심을 발하여서 여러 금계를 지니고 견고히 지켜서 범하지 않으며, 유정들을 널리 풍요롭게 하고, 자신이 지은 선근을 모두 다 베풀어서 안락을 얻도록 한다(發菩提心 持諸禁戒 堅守不犯 饒益有情 所作善根 悉施與之令得安樂).”

이 경문은 우리가 한평생 일을 처리하고 사람을 대하며 사물을 접하는 준칙입니다. 보리심을 발함은 미혹되지 않고 전도되지 않겠다며 깨달음의 마음을 내는 것입니다. 이는 또한 사람을 대하거나 일을 대하거나 사물을 대할 때 반드시 진성심을 다해야 하고 결코 속이지 말고 허위로 대해서는 안 된다고 가르칩니다. 진성심(眞性心)이 바로 보리심입니다. ‘관무량수경’에서는 지성심(至誠心)을 말합니다. 이는 바로 진성심이 절정에 이른 것으로 이것이 보리심의 본체입니다.

어떻게 해야 진정으로 미혹되지 않고 전도되지 않을까요? 형상을 따라 관찰하면서 진정으로 깨달은 사람은 자신과 자신의 생활환경에 대해 모두 또렷하게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 인식이 바로 깨달음입니다. 그 인식의 표준은 어디에 있습니까? 부처님께서는 진정으로 깨달은 사람으로 우리들의 표준입니다.

부처님께서는 이 세간의 진상은 고(苦)·공(空)·무상(無常)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것이 세간법의 진실상입니다. 그 누구도 이를 피할 수 없습니다. 이를 또렷하게 인식한 후 고·공·무아의 세상을 버리고, 상(常)·락(樂)·아(我)·정(淨)의 경계를 취하는 것이 진정으로 깨달은 사람입니다. 상·락·아·정은 제불보살의 경계입니다.

불법에서는 생사를 명료하게 깨달아 삼계를 벗어나라고 말합니다. 육도를 윤회하는 생사의 상황에 대하여 또렷하게 이해함이 깨달음입니다. 사실진상을 또렷이 깨닫고서 두 번째 발걸음은 육도를 뛰어넘어 윤회를 벗어나는 것입니다. 이것이 불보살의 사업입니다.

사실진상을 또렷이 깨닫고서 어떻게 수행해야 할까요? 부처님께서 계셨던 ‘정법시기’에 사람의 근성은 매우 예리하여 일체법문을 수학하였고, 수 많은 사람이 모두 성취하였습니다. ‘상법시기’에 이르러 부처님과 거리가 멀어지면서 사람의 근성은 한두 등급 차이가 생기고, 전해진 불법도 천천히 변질되었습니다. 불법이 변질된 것이 아니라 경전을 강설하는 사람이 경전을 변질하여 강설하였고, 전해진 시간이 오래될수록 그릇돼 전해졌습니다. 말법시대에 이르러 부처님께서 멸도하신 후 3000년이 지나면서 변질의 상황은 갈수록 심각해졌습니다. 불법의 수행을 통해 결과를 얻고 싶지만 갈수록 곤란해졌습니다.

세존께서는 진정으로 삼계를 벗어나길 구하고 불법에서 결과를 증득하길 구하는 마음이 있다면 우리를 저버리지 않습니다. 그래서 ‘대집경(大集經)’에서 “정법시기에는 계율로 성취하고, 상법시기에는 선정으로 성취하며, 말법시기에는 정토로 성취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한마디 말씀은 실제로 세존께서 지금 우리들에게 하신 말씀입니다. 정토법문에 따라 수학하면 반드시 성취합니다.

말법 1만년 중에 현재는 1000년이 지났고 앞으로 9000년이 남았습니다. 바로 ‘무량수경’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9000년 후 불법이 세간에서 사라지더라도 ‘무량수경’은 여전히 세간에서 100년 더 남아 있을 것입니다. ‘무량수경’까지 사라지더라도 한마디 ‘나무아미타불’ 명호는 그대로 머물러 있을 것입니다. 이로써 우리는 육자명호의 공덕이 얼마나 불가사의한지 알 수 있습니다. 그 시기의 사람도 이 한마디 명호에 의지해 모두 제도를 받을 수 있는데, 하물며 지금 우리들이겠습니까?

당신이 생사를 명료하게 깨닫고 싶다면 첫째 진정으로 인생은 고의 바다이고, 내생은 반드시 이번 생보다 더욱 괴롭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염불하여 정토에 태어나길 구하는 것을 제외하고 당신이 세운 발원을 반드시 달성할 수 있다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번 생에 반드시 정토에 태어나길 구하겠다고 결심하여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진정한 보리심입니다.
깨달음의 마음이 있다면 깨달음의 행위가 있어야 합니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매순간 깨어있되 미혹되지 말아야 합니다. 부처님께서는 우리들에게 세간에 머물면서 다음 사항을 실천하라고 가르치셨습니다.

첫째 여러 금계를 지니고 견고히 지켜서 범하지 않아야 합니다. 계율의 정신은 모든 악을 짓지 않고, 온갖 선을 받들어 행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선악의 표준은 그 깊이에 따라 단계가 다릅니다. 오승불법(五乘佛法)은 불법을 인승(人乘)과 천승(天乘), 성문·연각·보살승의 다섯 단계로 나눕니다. 인승과 천승은 삼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성문과 연각이어야 육도윤회를 벗어납니다. 그러나 원만한 불법은 사람 노릇의 기초위에서 건립됩니다. ‘관무량수경’에서는 우리에게 정토삼복을 가르치십니다. 그 첫째가 부모님께 효로 봉양하고 스승과 어르신을 받들어 모시면서 십선업을 닦는 것입니다. 이것이 사람 노릇을 하는 기초입니다.

둘째 유정중생을 널리 풍요롭게 하여야 합니다. 이는 대승보살계에 속합니다. 유정중생은 광대하여 사람 및 일체 동식물도 포함됩니다. ‘요(饒)’는 가장 풍요한 이익이자 최고의 이익이고, 진심진력을 다해 남을 이롭게 하는 일입니다. 우리들의 역량은 한계가 있지만, 진성심·공경심·청정심·인내심으로 한다면 제불보살의 위신력 가지를 얻어 소원한 바를 성취할 수 있습니다.

부처님께서는 일체법은 심상을 따라 생겨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가 날마다 매순간 마음속에 잊지 않으면 이 일은 성공합니다. 그러나 남을 이롭게 하려는 생각이 중단되면 그 역량이 생길 수 없습니다. 그래서 진정으로 불가사의한 역량이 생기려면 남을 이롭게 하려는 마음이 끊어지지 않아야 합니다. 중생에게 광대한 이익이 있는 일을 진심전력을 다해야 하고 이 생각이 반드시 중단되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셋째 자신이 지은 선근을 모두 다 베풀어서 안락을 얻도록 해야 합니다. 이는 자신의 심량을 넓혀야 한다는 말입니다. 매순간 자신만 생각하고 자신의 행복과 가정의 행복만 생각한다면 이 사람은 심량이 작습니다. 부처님의 법을 공부한 후 특히 아미타부처님의 대원을 깊이 살펴보면 자신의 경계가 허공법계를 포괄하고 자신의 진심이 원만하게 드러납니다.

그래서 보살은 무슨 일을 하든지 조그만 일이라도 그 공덕을 일체중생에게 회향하고 일체 고난 중생이 모두 행복하기를 희망합니다. 자신이 닦은 복덕을 홀로 누리지 않고 일체중생과 함께 누리는 것이 바로 회향의 뜻입니다. 나의 지혜와 복덕, 재능과 능력을 일체중생과 함께 누리며 일체중생이 모두 안락정토에 이를 수 있도록 희망합니다. 이것이 보살행입니다.

허만항 번역가 mhdv@naver.com

 

[1459호 / 2018년 10월 10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