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조계사·평양 광법사 봉축점등 기대한다

기자명 법보
  • 사설
  • 입력 2019.01.21 16:19
  • 호수 1474
  • 댓글 0

남북 총본산을 밝히는 연등
평화통일 길 잇는 광명될 것
유점사·장안사 등 폐사 발굴
북한 사찰나무심기 의미 깊어

조계종 총무원장 원행 스님이 신년기자회견을 통해 ‘2019 주요 종책’을 발표했다. ‘불교패싱’으로 일관하고 있는 현 정부를 향한 준엄한 비판과 함께 전통문화에 대한 국가적 책무를 요구했다. 특히 자연공원법 전부개정, 지방세법 시행령 개정에 따른 불교계 목소리에 귀 기울일 것을 주문했다. 정부를 향한 따끔한 질책이 총무원장 취임법회에 이어 신년기자회견에서도 이어진 것이다. 이마저도 정부가 간과한다면 조계종과의 틈은 더 벌어져 갈등 국면으로 들어설 가능성이 높다. 정부의 전향적 자세가 요구되는 시점임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조계종 최대 과제 중 하나로 꼽히는 승려복지에 만전을 기하려는 총무원의 노력이 엿보이는데, 승가 전용 중증요양시설 건립에 눈길이 쏠린다. 스님들의 공통된 요구사항 중 하나가 기도·염불·참선 등의 정진을 지속하며 여생을 보낼 수 있는 종합적 복지기능을 갖춘 노후복지시설이다. 그러나 교계 현실을 감안할 때 중증 전문 요양시설이 더 절실하다. 동국대의료원이 있어 별문제가 없을 듯 보이지만 아니다. 사고, 병환 등으로 스스로 몸을 가누어 움직일 수 없는 스님들은 일반 병원에서 오래 머무는 것을 꺼려한다. 동국대의료원 규모 상 중증 병환의 스님들을 제때 모두 수용할 수도 없다. 쉽게 꺼낼 수는 없지만 가장 필요한 시설을 동국대의료원과 협력하며 건립한다니 여간 다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평화통일을 염원하는 대북종책은 매우 구체적이고도 체계적이어서 역대급으로 평가할 만하다. 

부처님오신날 평양시내 사찰 봉축점등식 추진은 의미 깊으면서도 멋진 기획이다. 평양시내에 연등이 밝혀지고 남북전통등을 선보인다는 건 남북의 아픔을 걷어내고 상생의 지혜를 발현하려는 의지를 다지는 것의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한 가지 당부하자면, 평양 사찰 중의 하나인 광법사에 연등이 밝혀지기를 기대한다. 한국전쟁 때 소실 됐으나 1990년 복원된 광법사는 북한불교 총본산이다. 주지하다시피 남한불교 총본산은 조계사다. 4월 초파일날을 기점으로 두 사찰에 밝혀진 등은 ‘연등 아래 하나 된 민족’임을 상징할 것이다. 여기에 조불련이 서울 연등축제에 참여한다면 금상첨화다. 조계사와 광법사, 서울과 평양, 남북통일의 길을 잇고 밝히는 연등이다.

북한 폐사지 복원과 북한 사찰 나무 심기도 중요한 종책이다.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직후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폐사지 발굴·복원은 전면 중단됐다. 다행스러운 건 그동안 확보한 북한 전통사찰·불교문화유산 사진 등을 토대로 북한 문화재 현황을 지속적으로 검토하며 보수·복원 계획안을 마련해 왔다는 점이다.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 건 북한 내 불교문화재 전수조사다. 동산 문화재와 건축물, 폐사지 등을 포괄한 현황 조사가 이뤄져야 보존·보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점사지와 장안사지 발굴·복원 불사 기회가 주어진다면 미룰 이유는 없다고 본다. 학술적 검증에 따른 복원은 시간을 두고 하더라도 발굴은 하루라도 빨리하는 게 상책이기 때문이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북한의 산림면적은 대략 916만 헥타르 정도인데, 그 중 284만 헥타르가 황폐화 됐다고 한다. 북한 전체 산림의 32%이며 서울시 면적의 46배에 이르는 규모다. 부족한 식량을 조달하기 위해 산의 나무를 베거나 불을 놓아 밭을 만들었다. 여기에 겨울 난방용 땔감으로 잘려나간 나무가 엄청났다. ‘북한 사찰 나무심기’사업은 녹지화의 첫 걸음이다. 

남북불교교류를 전제로 한 사업들은 조계종만의 노력만으로는 회향하기 어렵다. 남북·북미 정치 변화에 따라 창구가 열렸다가도 금방 닫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준비하지 않는다면 문이 열려도 내딛지 못하는 우를 범할 수 있다. 조계종 총무원의 종책은 그래서 의미 있다. 굳건한 원력이 엿보인다.  
 

[1474호 / 2019년 1월 23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