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적 나눠주는 스님

  • 데스크칼럼
  • 입력 2019.03.08 20:32
  • 수정 2019.03.18 13:31
  • 호수 1480
  • 댓글 14

부적 나쁘게 보는 건 편견
얼마든 긍정적 활용 가능
조계사 지현 스님이 대표적

며칠 전 조계사 주지 지현 스님을 찾아뵀다. 음력으로 정월 막바지였기에 세배를 겸한 인사였다. 세뱃돈이라며 스님이 건넨 봉투에는 2달러 지폐 한 장과 부적이 담겨 있었다. 달러를 넣은 것은 화폐 가치보다 기념의 의미라고 했다. 달러보다 눈길이 더 간 것은 부적이었다.

한때 정월이면 사찰마다 부적을 나눠줬었다. 시골마을이 슬레이트지붕과 네모반듯한 콘크리트로 획일화될 무렵 부적은 미신의 상징물로 간주돼갔다. 부적을 향한 지식인들의 비판이 자주 등장했고, 그들의 ‘일갈’이 반복될수록 부적은 음성화됐다. 부적을 전근대적인 것으로 바라보는 근대적 사고는 사찰 부적을 부정적으로 보게 했다. 스님들 사이에서 점차 부적을 꺼려했고, 그나마 부적을 나눠주는 스님들도 신도들 요구 때문이라고 하소연했다.

그렇기에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사찰 주지스님이 직접 부적을 나눠주는 것은 의외였다. 지폐 정도 크기로 괴황지에 붉은 색 경면주사가 선명했다. 문양은 여느 부적들과 달리 위아래로 다라니와 화불이 새겨져있었다. 2016년 11월 보물로 지정된 청량사 건칠부처님의 왼쪽 어깨에서 나온 복장유물 문양이었다. 이 부처님은 제작시기로 논란을 겪다가 방사성탄소연대측정 끝에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건칠불로 판명됐다.

주지스님은 다라니와 화불이 번뇌를 불태우고 평안을 가져온다고 했다. 불자들이 이 부적을 늘 지녀서 부처님과 진리를 향한 간절함을 잊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을 담았다고 했다. 부적을 한꺼번에 인쇄하지 않고 문양을 도장에 새기고 질 좋은 경면주사를 이용해 한 장 한 장 찍은 것도 불자들이 정성껏 보관했으면 하는 스님의 마음에서 비롯됐다.

부적은 기원이 선사시대와 맞닿아 있을 정도로 오래됐다. 부적에는 화를 피하고 복을 얻기 바라는 인간의 본성과 각 문화권의 고유 의식 및 정신활동이 반영됐다.

1970년대 사전에는 부적을 ‘불교나 도교를 믿는 집에서 악귀나 잡신을 쫓고 재액을 물리치기 위하여 야릇한 글자를 붉은 글씨로 그리어 붙이는 종이’로 설명하고 있다. 불교와 부적이 깊은 관련을 맺은 것은 조선시대부터다. 조선후기 편찬된 ‘일용집’ ‘진언집’ 등 불교문헌에는 후손들에게 복을 주는 부적, 장애와 재난을 벗어나게 해주는 부적, 수명을 길게 해주는 부적, 거듭되는 초상을 막아주는 부적, 애를 잘 낳게 해주는 부적, 악귀를 쫓아내는 부적 등 온갖 부적이 등장한다. 심지어 ‘왕생정토부’라는 부적은 주기적으로 먹으면 다음 생에 극락에 태어난다며 복용법까지 설명돼 있다. 불교의 타락으로 비춰질 수 있다.

“내가 상대방의 모카신을 신고 1마일을 걷기 전에는 상대방을 판단하지 않도록 지켜주소서”라는 인디언 기도문을 떠올릴 필요가 있다. 조선시대 불교도 그 시대 눈으로 봐야한다. 신라, 고려의 정신문화 주류였던 불교는 조선의 등장과 함께 유교에 그 자리를 내줘야했다. 불교계가 향할 곳은 백성들뿐이었다. 오늘날 관점에서 당시 스님들이 사람들에게 “정법을 익혀라” “깨어있으라” “불평등 문화를 바꿔라” 등을 가르치지 않았다고 비판한다면 너무 가혹하다. 대다수 백성들이 글을 배울 수 없었을 뿐더러 질병과 굶주림, 온갖 재해로 늘 두려움을 안고 살아야 하는 시대였다.

그렇기에 기댈 곳 없는 사람들을 위로하고 의지처가 되어주는 것이 조선시대 불교계가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일 수 있다. 부적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 도교나 무속의 부적과 달리 불교 부적에는 일정기간 살생을 금하거나 계를 지키거나 음식을 베풀어야 한다는 단서조항이 따라붙는다. 척박한 시대를 살았던 조선 스님들의 중생제도 염원과 고민이 담겼다고도 볼 수 있다.

불교문화의 어떤 측면이 부정적인 요소가 있다 하여 아예 폐기하는 것은 경계할 일이다. 무조건 옛것을 따르는 것은 나태하고, 얄팍한 장삿속은 비판받아야 한다. 시대 흐름에 맞추면서도 불교 정신을 담으려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부적도 그렇다. 조계사 주지스님은 그 모델을 보여주고 있었다.

mitra@beopbo.com

[1480 / 2019년 3월 13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