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 안경, 그 안과 밖의 시선  ②  - 동은 스님

기자명 동은 스님

“눈은 내 마음 그대로 투영하는 마음의 창”

우리는 ‘안경’이라는 아상에 
잡혀서 살고 있지는 않은가? 
안경 통해서 보이는 것만이 
진실이라고 단정짓지 않나? 
​​​​​​​
중요한 내면의 세계 보려면 
마음의 눈으로 볼때 명쾌해
안경을 쓰든지 쓰지 않든지
꽃은 늘 피고지고 아름다워

그림=허재경
그림=허재경

‘제 눈에 안경이다’라는 말이 있다. 어떤 사물을 바라보거나 판단하는 시각적인 기준을 비유적으로 나타낼 때 쓰는 말이다. 안경이란 것이 그 사람에게만 맞게 만들어졌기 때문에 남이 꼈을 때는 어질어질 한 것이 당연하다. 남들이 볼 때 영 아니다 싶은 커플도 눈에 ‘안경’이라는 콩깍지가 끼면 그 사람 눈에만 아름답게 보이는 것이다. 

나는 출가 후 안경을 쓰게 됐다. 학인시절 그렇게 공부를 열심히 한 것도 아닌데 눈이 점점 안 좋아지더니 결국 안경을 쓰게 되었다. 흐릿했던 글자는 선명하게 볼 수 있게 되었지만 안 쓰던 안경을 쓰니 불편하고 낯설었다. 잠을 잘 때 안경을 잘못 두어 부러진 적도 있고 특히 겨울에 기온차이로 렌즈에 김이 서려 아무것도 안 보일 때의 불편함은 안경을 안 써본 사람은 모를 것이다. 

요즘 다초점 안경이 인기다. 안경 하나에 난시나 원시 등 여러 가지 기능이 있어 안경을 꼈다 벗었다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초점이 렌즈 하나에 모여 있기 때문에 세심한 사용기술이 필요하다. 나는 난시라 안경 하나로 족했는데 어느 날 노안이 오면서 돋보기까지 사용하게 되었다. 그런데 책을 볼 땐 돋보기를 끼고 일상생활 할 땐 다시 안경을 바꿔 끼니 보통 번거로운 것이 아니었다. 결국 호불호가 팽팽한 다초점 안경을 몇 번 망설이다가 얼마 전에 하나 장만하고 말았다. 현대문명은 놀랍다. 안경 하나로 다각도의 사물을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20세기의 기적이란 칭호를 받는 헬렌 켈러는 세상에 태어난 지 9개월 만에 큰 병을 앓아 볼 수도 들을 수도 말도 할 수 없게 되었다. 어느 날 숲 속을 다녀온 친구에게 무엇을 보았느냐고 물었다. 친구는 특별한 것이 없었다고 말했다. 헬렌 켈러는 이해할 수 없었다. 두 눈을 뜨고 두 귀를 열고도 본 것이 없다니···.

헬렌 켈러는 이 후 ‘내가 사흘 동안 볼 수 있다면’ 이란 글을 썼다. ‘리더스 다이제스트’는 이 글을 ‘20세기 최고의 수필’로 꼽았다. 그녀가 사흘 동안 그토록 보고 싶었던 것은 다음과 같다. 먼저 손끝으로 만져서만 알던 선생님의 얼굴을 마음속 깊이 간직한 후 바람에 나풀거리는 아름다운 나뭇잎과 들꽃들, 그리고 석양에 빛나는 노을을 보는 것이었다. 둘째 날에는 먼동이 트며 밤이 낮으로 바뀌는 웅장한 기적을 보고 나서 박물관을 찾아가 인간이 진화해온 궤적을 눈으로 확인한 후 저녁에는 보석같은 밤하늘의 별들을 바라보는 것이었다. 마지막 날에는 일하며 살아가기 위해 출근하는 사람들의 표정을 보고나서 오페라하우스와 영화관에 가 공연들을 보고 싶다고 했다. 우리가 일상 속에서 별 생각없이 늘 보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것이 얼마나 놀라운 기적인지 모르고 살아간다. ‘사람의 가치가 100이라면 그 중 눈은 70이다’라는 말이 있다. 그만큼 눈으로 보는 것이 삶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우리가 가진 눈은 육안(肉眼)이다. 중생으로 표현되는 인간의 육신에 갖추어져 있는 감각적 눈을 말한다. 이 눈으로 사물의 형태나 빛깔을 구별하며 세상 모든 일에 잣대를 들이댄다. 잘 보이지 않으면 안경이란 도구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눈은 종이 한 장만 가려도 사물을 바로 보지 못 하는 한계를 지닌 눈이다. 보고 있는 것이 진실이라고 착각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어린왕자’ 책을 보면 중요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고 마음으로 보아야 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심안(心眼)으로 봐야 하는 것이다.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이야 잘 안보이면 안경을 쓰면 되지만 정작 중요한 그 사람의 내면을 보려면 안경으로는 안 된다. 마음의 눈으로 보려면 먼저 마음의 눈을 떠야 한다. 심안이 감겨 있는데 상대방의 마음을 어떻게 본단 말인가? 혹시 마음을 꿰뚫어보는 안경이라도 나온다면 아마 큰일 날 것이다. 호숫가 그림 같은 집도 알고 보면 고뇌가 있듯이, 어쩌면 육안(肉眼) 속에 아름다운 비밀 몇 개쯤 숨기고 서로의 초점을 살짝 비켜 사는 것도 삶을 좀 더 넉넉하게 사는 지혜일지도 모른다. 

부처님의 십대제자 가운데 천안제일 아나율 존자가 있었다. 어느 날 부처님께서 설법을 하실 때 잠에 취해 깨어나질 못했다. 부처님의 경책에 잠이 깬 아나율은 “지금부터는 몸이 문드러지더라도 결코 여래 앞에서 졸지 않겠습니다”라고 맹세를 하였다. 이후 잠을 자지 않고 뜬 눈으로 정진을 하더니 끝내 눈이 짓물러져 보이지 않게 되었다. 그러던 어느 날 눈앞이 밝아지고 정신이 맑아지는 것을 느꼈다. 더 이상 아픔도 느껴지지 않았다. 그리고 이제껏 눈으로 볼 수 없던 모든 것이 환하게 보였다. 그 후 아나율은 선정에 들면 하늘과 땅, 온 우주는 물론 천계와 지옥까지 걸림없이 볼 수 있게 되었다. 시력을 잃는 피나는 정진 끝에 육안과 심안을 초월한 천안(天眼)이 열린 것이다. 

우리는 예부터 그 사람의 진실성을 알고자 한다면 눈을 바라보며 이야기하라고 한다. 눈은 거짓을 이야기 하지 않는다. 그 사람의 심리상태, 즉 마음을 그대로 나타내기 때문이다. 마음이 눈에 보이는가? 볼 수가 없다. 그나마 눈을 통해서 들고 나니 마음의 창인 셈이다. 

요즘은 안경이 없으면 일상생활을 할 수 없는 사람이 많다. 가끔 물건을 제대로 보지 못하면 눈이 네 개나 되는 사람이 그것도 못 보냐는 핀잔을 들을 때가 있다. 그때마다 속으로는 “눈이 네 개나 되니까 이 정도라도 보고 있다”며 한 마디 하고 싶지만 참는다. 나름대로의 시비분별이다. 그러나 우리는 모두 저마다의 ‘안경’이라는 아상과 편견에 사로잡혀 있지는 않은가? 그 안경을 통해 보이는 것만이 진실이라고 단정 짓고 있지는 않은가? 렌즈라는 것은 크게 보이기도 하고 작게 보이기도 하며 흐리게 보이기도 하고 겹쳐 보이기도 한다. 내가 안경을 통해 보지 않아도 진실은 늘 존재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안경을 쓰든 안 쓰든 꽃은 피고 지고 노을은 눈이 시리도록 아름답기 때문이다.

동은 스님 삼척 천은사 주지 dosol33@hanmail.net

 

[1508호 / 2019년 10월 16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