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백장 청규-조주 수행 실천한 선지식

기자명 심정섭

정화-분규 수습…법통 지킨 큰 스승

노천당 월하 대종사 임종게


일물탈근진(一物脫根塵)
두두현법신(頭頭顯法身)
막론거여주(莫論去與住)
처처진오가(處處盡吾家)

한 물건이
이 육신을 벗어나니
두두물물이 법신을 나투네
가고 머뭄을 논하지 말라
곳곳이 나의 집이니라.



노천당 월하 대종사 행장


12월 4일 입적한 노천당 월하 대종사(老天堂 月下大宗師)는 1915년 4월 25일 충남 부여군 군수리 파평 윤씨 집안에서 태어났다. 노천(老天)은 법호(法號)이고 법명(法名)이 월하(月下)다.

대종사는 어릴 때부터 지혜와 자비가 몸에 익었으며 33년 7월 20일 금강산 유점사로 출가해 차성환 화상을 계사로 사미계를 수지하고 운수 납자의 길에 들어섰다. 부모 허락을 받지 않고 출가 득도했기에 부친과 형님이 세 번이나 찾아왔으나, 대종사 의지와 신심이 견고하여 마음을 돌이키지 못했다.

대종사는 1940년 통도사에서 비구계를 받고 당대의 고승 구산 대선사를 만나 수제자가 되었다. 선사의 수행방법은 사교입선(捨敎入禪)의 절차를 밟지 않고 먼저 선을 통해 돈오(頓悟)의 자내증으로 나아갈 길을 열었다.

대종사는 1940년 오대산 방한암 선사 회중에서 몇 차례의 안거를 성만한 후 44년 철원 심원사에서 대교과를 수료했다. 또 젊은 시절 천성산 내원사에서 치열한 용맹정진을 통해 제불의 본원과 일체보살들의 본각진성(本覺眞性)을 깨닫고 법계의 자유인이 됐다.

대종사는 단 한차례도 구도자의 길에서 어긋나는 것을 스스로 용납하지 않았고, 어려운 현안이 있을 때마다 이사원융(理事圓融)으로 앞장서서 해결했다. 특히 54년에는 효봉 청담 인곡 경산 스님 등과 정화위원회에 참여해 불교정화운동을 전개, 오늘의 조계종이 있게 했다.

이후 대종사는 종단의 주요직책을 맡으며 종단이 어려울 때마다 법등의 역할을 자임했다. 55년 처음으로 조계종 중앙종회의원에 피선되었고 56년에 통도사 주지, 58년에 조계종 감찰원장이 되었다. 또한 58년부터 80년까지 통도사 금강계단 전계대화상으로 후학을 배출해 내는데 힘을 보탰다.

60년 조계종 중앙종회의장을 역임하고, 75년에 동국대 재단이사장을 맡아 종립학교의 위상을 구축했다. 78년에 조계종 원로의원으로 선임됐으며 79년 총무원장에 추대되었다. 이후 조계사와 개운사로 나누어진 종단분규를 초지일관된 의지로 수습해 종단의 정통성과 법통을 확립하는데 힘썼다. 그리고 10·27 법난이 자행됐던 80년엔 종정 직무대행을 맡아 흐트러진 불심을 추스르는데 전념했다.

84년 영축총림으로 지정된 통도사의 초대 방장으로 취임한 대종사는 정변전에 주석하며 언제나 문을 열어놓고 제방의 납자들을 제접했다.

선사의 모습은 일일부작(一日不作)이면 일일불식(一日不食)이라는 백장청규에서 어긋남이 없었다. 손수 자신의 방 청소와 빨래를 했고 대중과 더불어 공양을 했으며 경내 청소 등 운력에도 빠지지 않았다. 때문에 대중들은 대종사를 ‘백장의 청규와 조주의 수행가풍을 실천한 분’으로 추앙하고 있다.

오늘날 통도사의 가풍은 구하, 경봉, 벽안 스님으로 이어져 다시 월하 대종사가 이를 전수 받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종사 자신이 근대 통도사의 역사이고 산증인인 것이다.

<사진설명>97년 3월 통도사. 월하 대종사가 종정직을 사임하려하자 당시 종회의장 등 종단대표 스님들이 이를 만류하기 위해 대종사를 찾아 뵈었다.

대종사는 94년 개혁종단이 들어서자 종도들의 염원을 받아들여 제9대 종정에 취임하게 된다. 이후 사부대중이 합심해 개혁 종헌을 이끌어내고 종단화합과 중흥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정신적 지주역할을 여법하게 수행했다.

그러나 98년 승가의 위계질서와 수행풍토가 위협받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유시를 통해 바로잡고자 했으나 그 뜻을 이루지 못했다.

대종사의 의지는 한결같았으나 뜻을 달리하는 사람들에게는 독선으로 보이기도 했던 것이다. 이에 대종사는 모든 것을 버리고 영축총림 방장의 자리로 돌아와 후학양성과 대중 제접에 여생의 전력을 다했다. 그리고 마침내 12월 4일 세연을 다하고 홀연히 입적에 들었다.


심정섭 기자 sjs88@beopbo.com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