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천수경』 ⑪

기자명 법보신문

십선계 지키며 다라니 정성껏 외워야

계율은 우리 삶과 수행의 뿌리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종 우리는 계율을 외면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계율은 우리의 욕망대로 우리가 행동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향은 세속 안에서만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불교 수행에는 계율을 그 기초로서 요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계율에 대한 의식의 정도에는 차이가 없지 않다. 예컨대, 선불교 안에서도 계와 선을 함께 닦자는 흐름이 있는가 하면 오직 선을 통한 깨달음만을 강조하는 흐름이 있고, 정토신앙에서도 오직 염불만 전수(專修)하자는 흐름이 있는가 하면 염불수행과 더불어 계율을 지녀야 한다고 보는 흐름이 있다.

회통론의 입장을 취하고 있는 『천수경』의 경우는 후자의 흐름을 취한다. 즉 계율의 준수/수행과 다라니의 독송을 함께 말하고 있다. 계학(戒學)의 입장을 감안해 보면, 우리의 ‘독송용 『천수경』’에 나타난 있는 수행법은 계학의 실천과 다라니의 독송이라고 하는 두 가지 행법을 함께 닦자는 입장임을 알 수 있게 된다. ‘독송용 『천수경』’에서 큰 비중으로 말하고 있는 발원과 참회는 공히 계학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발원과 참회는 묵은
삶을 버리고 새로운 삶을 살겠다는 다짐으로서, 윤리적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것만이 아니다. ‘독송용 『천수경』’에는 『천수경』을 수지·독송하는 수행자가 받아 지녀야 할 윤리적 덕목이 무엇인지를 말하고 있다. 바로 “생명 해친 무거운 죄 참회하오며…” 라고 말하는 『십악참회」이다. 몸, 입, 그리고 마음으로 짓게되는 열 가지 악업을 참회하는 고백문이다. 그런데, 나는 여기서 십선계를 읽어낸다. 부정적 표현 뒤에 긍정적 함축이 있다. “다시는 십악을 짓지 않겠다”는 다짐이야말로 열 가지 선에의 실천의지를 담고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악업 안 짓겠다는 다짐

사실, 불교에는 많은 계율이 있지만 십선계가 담지하고 있는 의미 역시 각별한 바 있다. 첫째, 십선계는 『화업경』 십지품에서 지계바라밀을 말할 때 이야기되는 계율이라는 점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바로 대승보살의 계율이다. 둘째, 대승불교의 중요한 신앙운동에서는 공히 그 실천자들이 의지해야 할 계율로서 십선계를 말하고 있다는 점이다. 관음신앙을 말하고 있는 『천수경』에서만이 아니라 미륵신앙에서도, 지장신앙에서도 십선계가 말해지고 있는 것이다. 셋째, 십선계는 가장 기본적인 윤리의식을 표명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재가불자들도 쉽게 행할 수 있을 만큼 보편성이 높은 덕목만으로 짜여져 있는 것이다. 건전한 상식인이라면 누구라도 부담스럽지 않게 지킬 수 있는 내용 뿐이다.


계율도 교상판석 필요

문제는 이러한 십선계의 수계와 실천이 현실적으로 크게 성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현실적으로 재가불자들이 널리 받고 있는 계율은 오계이며, 출가한 스님들의 경우에는 사미/사미니계와 비구/비구니계를 받고 있다. 그외에 재가와 출가 공히 받을 수 있는 계율에 보살계가 있다. 물론, 어떠한 계율이든지 고귀한 이상이 담겨져 있다. 모두 우리로서는 받아 지녀야 할 대상이다. 그러나, 수많은 경전 중 어떤 경전을 소의경전으로 삼을지를 판단하는 교판(敎判)이 행해지는 것처럼 계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모색이 행해질 필요가 있다. 나는 과연 어떤 계율을 수지하여 지켜갈 것인가? 재가자의 입장에 서있는 나로서는, 위에서 말한 세 가지 이유에 입각하여 십선계를 의지해야 할 계율로 선택한다. “이제 이 십선계만이라도 받아 지녀서 실천해 보자”라고 생각해 오고 있다.
실제 나는 십선계 수계식 때에 활용할 수 있는 우리말 『십선계 수계의식」이나 『십선계 포살의식」 등의 의식문을 편집, 정리한 일이 있다.〔졸저, 『해설이 있는 우리말 법요집』, 민족사〕 십선계 대중화의 꿈이 있어서였다.
김호성 동국대 교수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