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심명』 ⑧

기자명 법보신문

일승 얻고자 한다면 육진을 꺼리지 말라

좋아하지 않으면 정신이 피곤하나니 어찌 (도에)소원함과 친근함이 있을까?(不好勞神 何用疎親)
일승을 얻고자 한다면 육진을 싫어해서는 안 된다.(欲趣一乘 勿惡六塵)

참다운 수행이란 무엇일까? 다만 좌선만에 집착하게 되면 의식이 혼침해서 정신마저 지쳐 오히려 좌선수행조차 수고로울 뿐임을 강조한다. ‘본래면목’이 도인데 달리 수행을 통해 도에 가까이해야 한다든가 성글어진다던가 하는 것은 소용이 없다 것이다. 친·소는 자아의 분별일 뿐 일승의 가르침을 체득하려고 한다면, 육진 즉 육경(六境)을 싫어하고 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육진은 육근에 대한 객관으로써 ‘본래심’의 거울을 덮었을 때 그것은 티끌이다. 다시 말해서 육진을 싫어하여 마음을 청정히 하고자 좌선에 집착하다 보면 일종의 선에 대한 친·소가 생겨 도리어 ‘자아’의 분별이 먼지같이 일어날 뿐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육진을 싫어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정각과 같다.(六塵不惡 還同正覺)
지혜로운 자는 함이 없지만 어리석은 이는 스스로 결박한다.(智者無爲 愚人自縛)

자아가 공하여 ‘무아의 아’라고 하는 ‘본래면목’으로 살아간다면 앞에서 말한 ‘임성합도’하는 것이 된다. 자아의 분별조차 떠나게 되면 ‘오히려 정각임’을 보인 것이다. 따라서 지혜로운 자는 함이 없이 사는, 즉 분별이 일어나지 않는 경지에서 사는 것이다. 그러나 어리석은 이는 분별이 일어나는 대로 ‘자승자박’에 빠지는 것이다.

이조 혜가의 달마를 만나 구도하여 통연명백히 깨친 것도 스스로가 불안하다고 근심하는 결박에 스스로 풀려난 것이며, 삼조 역시 자신이 지금의 모습으로 보아 이는 죄를 지은 과보임을 헤아려 스스로를 결박하고 있다가 이조를 만나 스스로가 풀어버리 듯, ‘본래심’이 정각이었음을 몰록 깨우치는 사례들이다. 육진 즉 현실의 세계를 그대로 긍정하는 것이 정각이다. 심안이 열린 지혜로운 자는 일체법을 그대로 수긍할 뿐이며 현실의 세계를 긍정하지 못하는 자는 어리석은 이라는 것이다.

법은 (달리)다른 법이 없는데 쓸데없이 스스로 (법에) 애착하니 (法無異法 妄自愛着)
마음으로써 마음을 쓴다는 것이 어찌 큰 착각이 아닐까?(將心用心 豈非大錯)

불교에서의 법은 ‘진리’이다. 여기에는 세 가지 뜻이 내포되어 있다. 첫째, 존재. 둘째, 존재에 대한 이법. 셋째, 이법을 깨달은 불타의 가르침 등이다. 존재는 사물 즉 삼라만상이다. 육근(주관)을 통한 대상적인 존재로서의 육경(객관)이다. 이를 육진(색·성·향·미·촉·법)이라고 하는데, 육근 중 ‘의(意, 마음)’의 대상을 법(사물)이라고 한다. 여기서 말한 법은 그 법을 말한다. ‘법무이법’이라고 하는 것은 일체의 사물은 모두 진여이고 이외의 다른 것은 없다는 것. 임제의 “내가 꺼려야 할 법은 없다.”는 것이 바로 이를 말한다. 그러나 현실의 자아는 이와 반대로 육경을 육진으로 헤아려 ‘본래심’을 더럽힌다고 하여 꺼리고, 법에 대해 이견(二見)을 일으켜 분별하고 취사(取捨)한다. 종교에서조차 ‘성스러운 것’을 지향하는데 몰두하는 것이다. 실은 마음이 바로 법이고 부처이므로 일찍이 부처님은 ‘자등명 법등명’이라고 하셨다. 따라서 ‘본래심’을 지향하는 좌선의 수고를 한다는 것은 ‘크게 착각’하는 일이 된다고 신심명은 강조한다. 그것은 마치 ‘아이를 업고 아이를 찾는 격’이며 ‘눈으로 눈을 찾는 것’과 같은 것이다. 돈오입도요문에 “마음으로써 마음을 씀을 대전도”라고 하였고, 황벽스님은 “마음을 헤아리면 차이가 생기고 한 생각 움직이면 바로 어긋난다.”고 하였다. 지도(至道)는 목전에 있는 것, ‘회광반조(廻光返照), 조고각하(照顧脚下)’는 모두 이를 두고 하는 말이다. 그래서 당대 남전스님은 ‘불의지도(不擬之道)’, 즉 ‘헤아림이 없음을 도’라고 했다.

혜원 스님(동국대 선학과 교수)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