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심명』 ⑪

기자명 법보신문

여우같은 의심 다하면 신심 곧아진다

마음의 평등이 체득되면 분별이 모두 쉬어진다.(契心平等 所作俱息)
여우같은 의심이 다하여 맑아지면 올바른 신심이 조화되어 곧아진다.(狐疑盡淨 正信調直)

진리가 마음에 계합하고 이 마음은 대도(大道)인 것이라고 깨달으면, 미혹을 버리고 깨달음을 구하려고 하는 분별은 전부 쉬어진다는 것이다. ‘계심’이라고 하는 세계에는 여우같은 의심이 완전히 없어지고 부처와 내가 하나라고 하는 신심이 확고부동하게 되는 것임을 말한다. ‘호의’는 앞에서도 나왔지만 가지가지의 생각으로 백가지의 분별을 나타내며, ‘조직’은 우두법융의 『심명(心銘)』에 “일심도 망녕되지 않으면 만 가지 인연이 조화롭고 바르다”라고 하는데 그 의미가 잘 나타나 있다. ‘직’은 선가에서 많이 쓰는 용어다. ‘직관(直觀)’ ‘직절(直截)’, ‘직지(直指)’, ‘직하(直下) 등에서의 직은, 마치 금강저에 더러움이 미처 달라붙기도 전에 불타 없어지는 번개와도 같이 빠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사용된다. 선 세계에서의 물음과 대답 즉 선화(禪話)는 그 사이가 ‘직’이라야 심인을 전하게 된다. 조직은 천태의 지·관의 용어에도 해당된다. 이처럼 이원(二元)의 분별의 대립, 차별이 사라지면 마음은 평등의 경지에 인계(印契)하는 것. 다시 말해서 분별의 소작이 완전히 그쳐져 맑음의 당체(信)가 된 것이다. 이는 바로 지도(至道)의 심경으로서 드러나 보인 것이다.

어떠한 것도 남아 있지 않고 기억해야 할 것도 없다.(一切不留 無可記憶)
형체가 없는 빛이 스스로 비추니, (이는) 마음으로 애쓴 것이 아니다.(虛明自照 不勞心力)
비사량의 곳, 식정으로는 헤아리기 어렵다.(非思量處 識情難測)

마음의 평등에 계합하여 소작, 호의가 다 하여 ‘정신조직’의 경지에는 마음에 어떠한 것도 남아 있지 않다. 거기에는 더구나 기억되어야 할 일도 없어져 ‘허명’한 세계로서 일 뿐이다. 허 즉 공인 곳에 명 즉 ‘지혜의 광채’만이 가득하다. 그것은 형체가 없는 빛남이며 허공자체가 비추는 것이다. ‘무아의 작용’이며 ‘무분별의 분별’이다. 법융은 “두 곳(분별)이 생기지 않으면 적정하여 허명하며, 허명이 저절로 드러나 적정은 생기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허명이 비추는 곳에 ‘본래무일물’의 심경이 열리고 ‘일체불류’하여 심력을 쓸 필요가 없는 것이다. 사량분별이 없는 곳, 지식 분별로는 헤아리기가 어렵다는 의미이다. 경전에 “이 법은 사량분별로는 능히 알지 못하는 것”이라고 한 것이 바로 ‘비사량’이다.

‘비사량’은 후일 석두계 약산유엄의 종지의 하나가 된다. 『전등록』의 「약산장」에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 스님(약산)이 좌선하고 있을 즈음, 한 납자가 물었다. “부동의 자세로 무엇을 생각하고 계십니까?” 스님은 말했다. “생각 없이 생각하고 있네.” 납자는 말했다. “생각 없음인데 무엇을 생각한다는 것입니까?” 스님은 말했다. “생각하는 것이 아닌 생각일 뿐(비사량)이야.” ‘허명자조’의 당체로 있는 스님의 자세가 납자에게는 무엇인가 생각을 골똘히 하고 있는 것으로 본 것이다. 언제나 이원론적인 사고로 삶을 살아가는 습기로서는 기억할 것이 없는 허명의 세계를 파악하지 못하는 것이다.

“눈 속에서 밀가루를 가려내는 것은 쉬우니 식이 곧 유심이오, 먹 가운데서 그을음을 가려내기는 어려우니 유심이 곧 식이라, 이 식이 마음이 아니요, 이 마음이 식이 아니다.”라고 중봉스님은 식과 마음에 대해 논하였다. 또한 “거울 앞에서 곱고 추한 것이 분별되고 솟아오르는 햇살에 흑과 백을 본다. 이러한 말은 꼭 유식론을 강의하는 법사 같으니, 납자에게는 어떻게 이 소식을 드러내면 좋을까? 마음도 아니고 식도 아니니, 밤에 개가 꽃핀 마을에서 짖고 봄 꾀꼬리는 버들 숲 언덕에서 우짖는다.”

사량(식정)은 비사량에서 나오지만 비사량은 사량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 사량은 유식학자의 몫이지만 비사량은 다만 납자의 수행처임을 스님은 보인 것이다.
혜원 스님(동국대 선학과 교수)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