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태국 첫 한국인 삼장법사 태종사 주지 진 용 스님

기자명 법보신문

삼매 욕심 놓으니 평화 절로 찾아왔죠

<사진설명>태국인들의 찬사와 존경을 뒤로 하고 귀국한 삼장법사 진용 스님은 한국에 위파사나 수행법이 올곧게 정착될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984년 3월, 진주지역 민주화 운동에 앞장서고 경상대학 불교학생회 회장을 지낸 청년은 동료들과의 회식 자리에서 강원도 전방으로 끌려갔다. 훈련이라는 미명 아래 자행되는 가혹행위로 숱한 젊은이들이 죽거나 불구가 되어 실려 나가는 부대. 그러나 청년은 “종교를 가진 사람은 군종(오늘날 군법사)으로 빠지는 것만이 살 수 있는 길”이라는 중대장의 충고를 단호하게 거절했다. 목숨을 지키기 위한 수단으로 종교를 이용하고 싶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대장은 청년 몰래 군종을 신청했고, 청년은 그렇게 죽음의 문턱에서 출가자로서의 첫 발을 내디뎠다.

청년은 해인사로 가서 도성 스님을 은사로 ‘진용’이라는 법명을 받고 사미계를 수지했다. 군종 생활을 마치고 한 강원에 입학했으나 교과과정에 비판을 제기하다 1년 만에 중도하차한 스님은 부전생활과 공부를 병행해야 했다. 그러나 스님들의 법문을 듣고 경전을 읽어도 가슴 속 깊은 곳에서는 의문과 답답함이 옹이처럼 단단해지기만 했다.

3개월 만에 팔리어 완전 습득

그러던 중 남방불교가 부처님의 원음에 가깝다는 얘기를 들은 진용 스님이 찾아간 곳이 팔리불교대학 한국분원. 원전은 범어가 전부인 줄만 알았던 스님에게 팔리어는 새로운 불법의 길을 보여주었다. 1987년 가을, 스님은 초기불교를 본격적으로 공부하고자 팔리불교대학의 본원이 있는 스리랑카로 향했다. 하지만 스리랑카는 내전 중인데다 대학마저 문을 닫았다는 소식을 듣고 태국 춤부리 지방의 위웩 아솜 사원으로 발길을 옮겨야 했다. 그곳에서 막상 명상센터를 다니기 시작했지만 영어만으로는 의사소통에 한계를 느꼈고 팔리어도 진전이 없기는 마찬가지였다.

태국에서 6개월을 보낸 후 진용 스님은 두 번째 스승의 인연을 맺게 됐다. 왓 람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