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제시대 박사논문 단 8편…불교사 단절 심각”

기자명 법보신문
  • 교학
  • 입력 2006.11.08 10:49
  • 댓글 0

불교선리硏, ‘근현대불교사 과제’ 학술대회

한국불교학과 관련된 10만여편의 논문 중 일제하 불교에 관한 박사논문은 단 8편에 불과하다. 한국불교학 연구가 얼마나 편중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일제시대는 ‘불교학의 노다지밭’이라고 불릴 정도 다수의 자료들이 밀집된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불교사학자들은 상대적으로 일제시대에 대한 연구를 기피하고 있는 현상이 뚜렷하다.

한국불교선리연구원이 11월 2일 ‘한국근현대불교사연구의 동향과 과제’를 주제로 개최한 학술회의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였다.

‘일제하 불교계 인물의 생애와 사상’을 발표한 이덕진 창원전문대 교수는 “근현대 불교에 대한 종단과 학계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현재 일제시대 불교계 인물에 대한 연구성과는 몇몇 개인이나 특정 문중의 관심의 결과물로, 이런 상황에서는 근현대 불교에 대한 제대로된 연구결과가 축적될 수 없다”며 “지난 100년간 불교자료의 수집과 체계적인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일제침략기 불교계의 대중화 및 개혁운동’을 발표한 김경집 박사는 “일제의 종교정책은 사회변동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만큼 불교만으로는 해석하기 어려우므로 여타의 인문, 사회학과의 공동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종단의 지원 미비나 연구자의 부재 등 근현대불교사 연구의 문제점 등의 배경에는 사실상 불교계 친일문제에 대한 금기가 도사리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일제시대의 불교정책’을 발표한 최혜경 성신여대 강사는 “일제시대에 강점당하고 특히 종교계 인사들이 부와 명예를 추구했던 모습들을 들추어낸다는 것은 가슴아픈 일이지만, 일제시대가 진정한 우리역사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친일문제 또한 반드시 거쳐야할 작업이며, 불교를 첨병으로 한 종교침투의 추진과정을 면밀히 살펴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발표자와 토론자들 모두 일제시대 불교에 대한 연구의 당위성을 역설했지만 현실적인 벽은 여전히 개인의 원력으로 넘어서기에는 어려운 대상임에 분명하다.

따라서 “근대 자료의 집성, 정부와 종단의 지원, 연구자들의 밀집이라는 세요소가 갖추어질때 비로소 일제시대는 물론 한국 불교의 현대화 과정을 정확하게 볼 수 있을 것”이라는게 이날 참가자들의 공통된 목소리였다.  
 
탁효정 기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