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번뇌가 변해 지혜되면 팔만사천가지 된다

기자명 법보신문

‘나다-너다’ 없는 마음‘생각을 여의는 ‘무념’

15. 반야(般若)

<사진설명>고우 스님이 육조 스님의 삭발 수계도량 광저우 광효사를 참배하고 있다.

미혹한 사람은 입으로 외우고 지혜로운 사람은 마음으로 행한다.
불교 공부를 한다고 떠들면서 외도로 가버리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지혜로운 사람은 마음으로 행할 뿐, 겉으로 내세우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정말로 공부하는 사람은 스스로 불교 공부를 한다고 말하지 않아도 적적성성으로 행하고 생활을 합니다.

마땅히 생각할 때에 망상이 있으면
이 망상도 ‘있다-없다’로 분별하는 것을 모두 망상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망상은 참되게 있는 것이 아니고, 생각 생각을 행하는 것이 ‘내가 실체가 없고 공이다’ 이렇게 행하는 것이 참되게 있다고 이름함이니라.
앞에서 적적성성을 말했는데,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닌 이 법이 부처님이 깨달은 법이고 세계입니다. 부처님만 그런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다 그렇게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 법을 깨달은 자는 반야행을 닦음이니, 닦지 아니하면 범부이고 일념으로 수행하면 법신과 부처와 같느니라.
깨달은 자는 반야법을 깨닫는다고 했습니다. 이 법이나 반야법이나 사실은 같은 것입니다. 반야행을 수행하는 것인데 그 반야행을 닦지 않으면 범부가 되고, 일념으로 수행하면 법신과 부처가 둘이 아니고 같아지는 것입니다. 반야행을 닦지 아니한다는 말은 ‘있다-없다’를 분별해서 닦는 사람이며 범부라고 합니다. ‘내가 실체가 없고 공이다’라고 생각을 해서 ‘있다-없다’를 초월한 그 자리에서 닦는 사람은 바로 법신과 부처와 같다는 것입니다.

선지식아 번뇌가 곧 보리니,
‘있다-없다’‘나다-너다’하는 불순물이 우리 정신에 섞여서 작용하는 것이 번뇌입니다. 그래서 공이라는 본질을 보게 되면 세탁작용을 하게 되고, ‘있다-없다’는 것을 세탁해버리면 그 정신 그대로가 반야이고 지혜입니다. 우리가 번뇌를 없애고 지혜를 얻는 것이 아니라 그 번뇌를 변화시켜서 지혜로 만드는 것입니다. 때문에 지혜와 번뇌가 둘이 아니라고 하는 것이지요. 여기서 한번 생각해볼 것이 있습니다. 우리는 악이다, 좋지 않은 것이다라고 하면서 이해관계에 얽히면 전쟁을 하면서까지 없애려고 합니다. 정권이 바뀔 때 보면 여야가 서로 상대를‘꺼져라’‘없어져라’하는 것 같습니다. 이와 같이 모든 일을 풀어가는데 있어서 ‘있다-없다’에 집착하고 모두 힘으로 해결하려고 합니다. 간혹 자살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가 신문에 나오는데 그것도 자기가 자기 문제를 폭력으로 해결하는 데서 오는 결과입니다. 따라서 오온이 개공이라는 것으로 이해하게 되면 힘으로 해결하는 게 아니고 평화적으로 모든 문제를 좋게 바꾸는 것입니다. 우리 종단도 4년마다 투표를 하는 것이 과연 반야행인지 반성해야 합니다.

여기서도 번뇌를 없애고 지혜를 얻는 게 아니라, 번뇌를 지혜로 바꾸는 겁니다. ‘나다-너다’구분하는 불순물만 없애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번뇌가 너무 많고 욕심도 많고 여러 가지로 어리석은데 어느 세월에 다 없애고 반야로 만드느냐고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욕심과 번뇌가 많고 차별심이 많은 분들도 이것이 실체가 없고 공이라는 것을 알면 많은 만큼 지혜도 같이 많아지게 됩니다. 걱정하지 말고 시각을 바꾸는 그것만 철저히 하시면 됩니다.

앞생각을 잡아서 미한 즉 범부이고, 뒷생각을 일으켜 실체가 없고 공이라고 보면 깨달아서 부처가 된다.
이때 앞생각은 ‘있다-없다’로 차별하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그 차별하는 생각이 잘못됐다는 것을 알아 뒷생각을 일으켜 실체가 없고 공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 깨달아서 부처가 된다는 것입니다.

선지식아 마하반야바라밀은 가장 존귀하고 으뜸 되고 제일 가는 것이다.
마하는 크다는 말이고 반야는 지혜라는 말이며 바라밀은 저 언덕을 건너간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여기서의 크다는 말은 ‘크다-작다’의 상대되는 의미에서의 크다는 것이 아니고, 허공 같이 한없이 큰 것을 말합니다.

금강경에서는 갠지즈강의 모래 수만큼 보물을 갖고 공덕을 짓는 것보다 실체가 없고 공이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더 큰 공덕이라고 했습니다. 왜 내가 실체가 없고 공인지 그 이유를 알아야 합니다. 바로 연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공이고 실체가 없다는 것입니다. 내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되면 가치관이 바뀌기 시작하고, 그날부터 발심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나서 화두를 들거나 염불을 하거나 봉사를 해야 하는데, 그 공부는 누가 하라고 해서 하거나 폼을 잡아보기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체험하고 싶은 마음에서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내적인 조건으로 인해서 공부를 하기 때문에 가장 존귀하고 으뜸가고 제일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 자리는 가는 것도 없고 오는 것도 없다. 삼세의 제불이 이 가운데를 쫓아서 나온다.
부처님도 이 가운데를 쫓아서 나온다고 했습니다. 반야 바라밀의 세계가 최고로 존귀한 것이고 가장 으뜸이자 제일인데, 그것은 주함도 없고 가는 것도 없고 오는 것도 없어서 삼세의 모든 부처님이 그 가운데를 쫓아서 나옵니다.

대지혜를 가져서 피안에 이르러 오음번뇌의 진로를 타파하니
오음에 의해서 일어나는 번뇌, 즉 ‘있다-없다’ 이렇게 해서 일어나는 번뇌가 티끌 속에서 나를 그렇게 수고롭게 하고 괴롭히고 있다는 말입니다.

가장 존귀하고 가장 으뜸이 되고 제일이다.
여기서 말하는 제일 되는 것은 모든 존재는 실체가 없고 공이라는 것입니다. 가치관을 바꾸자고 하는 것은 공에 대한 가치를 인정해서 그 가치대로 삶을 살아야 되겠다는 마음을 갖는 것이 바로 가치관을 바꾸는 것입니다. 막연히 안으로 가치관을 바꾸자 하는 것이 아니라 공에 대한 가치를 알자는 것입니다.

가장 으뜸임을 찬탄하여 최상승법을 수행하면 결정코 부처를 이루어, 가는 것도 없고 주하는 것도 없고 오고 감도 없나니 그것이 정혜와 같아서 일체법에 물들지 아니함일세. 삼세 제불이 가운데를 쫓아서 탐진치를 변화시켜 계정혜를 만든다.
이 정혜가 앞에서 반야를 이야기할 때 적적성성하는 그것입니다. 그래서 앞의 정은 적적이고 뒤의 혜는 성성입니다. 탐진치를 없애서 계정혜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탐진치를 변화시켜서 계정혜를 만든다고 했습니다. 정은 적적이고 혜는 성성이기 때문에 적적과 성성이 하나로 어우러진 상태에서 사고를 하고 행위를 하게 되면 그때는 탐진치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적적성성이 되어서 행위를 하고 사고를 하기 때문에 어떤 일을 해도 법에 어긋나거나 인간으로서의 도리에 어긋나는 행위를 하지 않습니다. 그것을 계라고 합니다. 계정혜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입니다. 정과 혜가 어우러지면 계가 저절로 나오게 됩니다. 그래서 계도 자발적으로 계행이 성취된 것을 계라고 하지, 꼭 지켜야겠다는 의무 때문에 하지 않는 것은 완성된 계가 아닙니다. 내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되면 모든 계가 성취되고 욕망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기 때문에 집착을 한다거나 욕망이 일어나거나 하지 않습니다.

선지식아 나의 이 법문은 팔만사천 지혜를 쫓나니, 무슨 까닭인고. 세상에는 팔만사천 진로가 있음이니 만약 진로가 없으면 반야가 항상 있어 가지고 자성을 여의지 않음이니라.
육조 스님의 법문 속에는 팔만사천 지혜가 있다고 했는데, 팔만사천 진로와 번뇌망상이 있기 때문에 팔만사천의 지혜가 있다고 한 것입니다. 이 팔만사천은 숫자로 보지 말고 그냥 많다는 뜻으로 해석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래서 팔만사천 번뇌가 있으니까, 그 번뇌가 변해서 지혜가 되면 결국 팔만사천 지혜가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진로망상에 사로잡혀 있으면 거울에 때가 잔뜩 묻어 있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면 물건이 앞에 있어도 나타나지 않아서 사리분별을 잘 못하게 됩니다. 실체가 없고 공이라고 안다는 말은 거울이 깨끗하게 닦여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아주 지혜롭게 모든 것을 보고 판단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법을 깨닫는 자는 곧 무념이니라.
육조 스님이 무념으로 종을 삼는다고 했는데, 무념은 생각을 없애는 것이 아니고 ‘있다-없다’가 없는 생각입니다. ‘있다-없다’ ‘나다-너다’가 없는 마음, 생각에서 생각을 여의는 것이 무념입니다. 그러니까 생각 자체가 없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반야와 번뇌가 둘이 아니라고 했듯이, 생각 자체가 없는 것이 아니라 ‘나다-너다’가 없는 생각을 말하는 것입니다.

거기에는 기억도 없고 집착함도 없어서 거짓과 허위를 일으키지 아니하면 곧 스스로 진여 성품이다.
우리가 오온이 개공하는 그 자리를 진여성품이라고도 하는데, 그 자리에 대한 가치를 우리가 이해하게 되면 정말로 밖으로 추구하는 그 가치와는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것을 알면 남북문제나 사회 여러 계층에서 겪는 갈등도 없어지고 서로 발목을 잡는 일도 없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지혜를 써서 관조하면 저 일체법에 취하지도 아니하고 버리지도 아니하니 성품을 보아서 불도를 이룬다.
육조단경에는 지혜를 써서 관조한다는 말이 많이 나옵니다. 좋은 것이 나타나거나 나쁜 것이 나타나거나 지혜를 써서 관조해보라는 것입니다. ‘나다-너다’‘좋다-나쁘다’‘있다-없다’를 초월한 지혜의 눈으로 보게되면 그 문제의 해결도 힘으로 하지 않고 정말로 평화적으로 잘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수행입니다. 참선, 염불, 봉사 등 그 어떤 수행을 하더라도 육조 스님의 이 수행방법을 복원할 필요가 있습니다. ‘내가 있다’고 생각하여 밖으로 추구하면서 참선하고 염불하고 봉사하는 것은 아무런 효과가 없습니다. 정견을 갖추는 것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말입니다. 〈계속〉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