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백 번 발원보다 한 번 실천이 낫다”

기자명 법보신문

서암정사 조실 원 응 스님

불신충만어법계(佛身充滿於法界) 보현일체중생전(普現一切衆生前)
수연부감미부주(緣赴感靡不周) 이항처차보제좌(而恒處此菩提座)

이 말은 산승이 좋아하고 어디든지 자주 인용하는 경구입니다. 『화엄경』 속에 있는 말씀인데, 부처님은 온 누리에 충만하시다, 그래서 중생이 마음을 깨끗이 하고 모든 번뇌를 지울 때 모든 부처님이 그 자리에서 인연을 따라 나투신다는 말입니다.

우리는 부처님이 법당에만 계신다고 생각했지, 우주에 충만하다는 표현을 쉽게 이해하진 못합니다. 하지만 아는 것만큼 본다는 말이 있습니다. 많은 수행을 쌓아서 내 마음을 끝없이 넓혀야 부처님의 진리도 엿볼 수 있게 됩니다.

부처님의 경구 한 마디는 아주 작은 부분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옛날 설산동자 같은 이는 부처님의 경전을 한 마디 듣기 위해서 자기 몸을 버렸습니다. 그 만큼 부처님의 경전을 귀하고 소중하게 느껴야 합니다. 그런데 요즘은 밟히는 것이 경전이라고 합니다. 불교계 신문도 부처님의 말씀을 적어 놓은 것인데 워낙 흔해서 그런 것인지 그 뜻을 몰라서인지 귀중하게 생각하지 않는 모습은 안타깝습니다.

오늘은 지장기도를 하는 날입니다. 이 지장기도는 모든 영가와 사부대중이 뜻을 모아서 경건하게 선망부모와 한국전쟁에서 희생된 영령들을 추모하는 시간입니다. 그렇다면 왜 지장보살을 부르는 걸까요. 지장보살의 뜻을 새겨 봅시다. 지장보살님은 지옥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 한없는 세월동안 눈물을 거둘 날이 없다고 합니다. 모든 죄가 다 떨어진 세상을 성불의 세계라고 하는데, 거기를 접어놓고 모든 괴로운 세상, 못난 사람이 사는 세상과 섞여서 그들이 부처님이 될 때 오겠다고 합니다. 그래서 원 중에서 가장 큰 원이라고 합니다.

항상 베푸는게 진정 불자

부처님의 가르침만 그런 것이 아니라 대부분 종교의 이상이라는 것은 비슷합니다. 모든 성인들이 생각한 것은 결국 같다는 겁니다. 기독교의 성경에도 100마리 양을 데리고 가는데 끄트머리 1마리 양이 처지니까 한 마리 양을 끌고 갔다고 합니다. 그것은 곧 지장보살의 이야기와 다르지 않습니다. 또 기독교에는 가난한 자가 천국에 간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것은 빈자일등과 같은 말이 될 것입니다. 가난한 사람이 자신의 초라한 모습을 부처님이 받아주실까 하는 겸허한 생각으로 올리는 등이 과시하는 것보다 아름다웠던 겁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지장기도를 어떻게 해야 되겠습니까. 모든 부처님의 광명이 여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아주 구석진 곳, 저 이북 땅의 헐벗고 굶주린 동포들에게도 이 불빛이 전해지기를, 그리고 이 빛이 전 세계에 두루 퍼져서 온 인류가 부처님의 진리를 다 맛볼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시작을 하는 겁니다.

지장보살의 명호를 한 번이라도 지극하게 부르면 그 공덕은 한량이 없다고 합니다. 날마다 하는 흔한 염불이 어떻게 공덕이 될까 의심하는 분도 있을 겁니다. 지장보살을 부르라는 말에는 지장보살을 부르는 잠깐 동안이라도 부처님의 상호를 보며 지장보살의 이야기를 듣고 생각하면서 염한다면 그 공덕은 말로 표현할 수 없다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49일 동안의 지장기도는 집에서나 절에서나 생활 속에서 끊임없이 이어져야 됩니다. 법당에 와서 지장보살을 부르다가 문턱 넘어가면 다 잊어버리면 올바른 기도가 아닙니다. 꿩이 산을 돌아다녀도 마음은 콩밭에 있다는 말이 있습니다. 기도하는 사람은 일상생활 가운데 있더라도 기도하는 마음이 필요합니다. 부처님 공부는 항상 생활 속에 있어야 합니다. 물론 세속에서 있는 여러 가지 일들을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닙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항상 많은 시간을 기도에 할애해야 합니다.

여러분, 자신의 업이 몇 근이나 되는 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무당집에 가서 살피지 말고 내가 남에게 기분 나쁜 소리를 들었을 때 얼마나 쉽게 끊을 수 있느냐를 가늠해 보면 됩니다. 여러분들이 남에게 억울한 소리를 들으면 며칠이 갑니까? 오래 가지요. 아주 억울하면 평생을 갑니다. 그것이 업입니다. 오래가면 오래 갈수록 업이 됩니다. 금생에 못 다하면 내생까지 가지고 갑니다. 그것이 길면 길수록 업이 무겁다는 것입니다.

업이 가벼운 사람은 싸우다가도 돌아서면 잊어버립니다. 도인의 경계는 그런 일에 쉽게 물들지 않는 겁니다. 부처님도 중생에게 야단 칠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부처님은 대자비심이 충만한 생각을 하기 때문에 거기에 물들지 않습니다. 거기에 비유할 수 있는 것이 어머니가 자식을 나무라는 겁니다. 회초리를 들지만 자식이 밉습니까? 내 마음이 더 아프거든요.

여러분들이 지장기도를 하는 동안은 기도에 마음이 집념이 되어서 억울한 마음은 붙을 겨를이 없어야 됩니다. 공부가 무거운가, 업이 무거운가 저울대에 올려놓으면 스스로 자명하게 나타납니다. 내가 아무리 도인인 척해도 억울한 것이 내 마음에 남아있으면 그것은 바른 기도가 아닙니다.

지장기도에 집념을 하면 모든 업이 가벼워집니다. 그래서 남에게 기분 나쁜 소리를 들었다고 할지라도 잊어버립니다. 그렇게 마음 깊이 들어가면 모든 잡념이 다 끊어져서 오직 내 마음 가운데 지장보살만 남아있게 됩니다. 나중에는 지장보살을 갖고 있다는 것조차 잊어버립니다. 왜냐하면 가까이 있는 것은 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눈이 나에게 달려 있지만 볼 수 없는 것과 같습니다. 지장보살을 염한다는 의식이 남아 있으면 아직 지장보살과 거리가 있는 것입니다. 참으로 가까이 있으면 지장보살을 부르면서도 지장보살을 보지 못합니다.

49일 동안 이렇게 될 것 같으면 지장보살의 원력이 모든 중생을 다 건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내 마음도 따라서 넓어지게 됩니다. 남을 배려하는 마음도 넓어지고 육바라밀을 실천하게 됩니다. 남에게 베푸는 마음, 일상생활에서 항상 조심하는 것, 또 어려운 일을 참아가는 것, 이것이 지장기도 하는 사람의 자세입니다.

지장보살뿐만 아니라 부처님께 참배하고 부처님을 가까이 하는 것도 부처님을 닮기 위해서입니다. 착하게 마음먹은 사람들은 얼굴도 맑아집니다. 업보중생이기 때문에 천차만별의 모습인데 나중에 업이 다할 것 같으면 전부 부처님 얼굴이 될 것입니다.

지장기도 끝없이 이어지길

요즘 효 사상이 멀어져 가는 것은 기가 막힌 일입니다. 여기 계신 분들 중에는 자식을 키우는 분들이 많을 텐데 자식 키우는 것만큼 부모에게는 못하거든요. 그렇게 키운 자식에게 외면을 당한다면 얼마나 기가 막힌 일이겠습니까. 이런 법회를 통해서 효행하는 사상이 되살아나길 바랍니다. 선망 부모를 생각하는 마당에 살아있는 부모야 말할 것이 있겠습니까.

특히 최근에는 어린이, 청소년들에 대한 범죄가 많이 일어납니다. 대중매체에서 청소년들에게 볼 것 안 볼 것 다 보여주고는 보지 말라, 하지 말라 하는 것은 고양이 앞에 생선을 가져다 놓고 먹지 말라는 것과 같습니다. 예술과 문화라는 미명하에 못 쓸 것만 유도하게 됩니다. 그것이 우리 사회의 이중성입니다.

수행은 곧 사회가 정화되고 온 인류가 낙토가 되도록 이끄는 길입니다.

최근 서양 사람들도 동양 사상에 눈을 뜨고 불교에 관심을 많이 기울인다는 것은 좋은 현상입니다. 우리 불자들이 이러한 세상에 참다운 등불이 될 수 있도록 정진을 거듭하시길 당부 드립니다.
 
정리=주영미 기자 ez001@beopbo.com


이 법문은 지난 5월 14일과 6월 25일 부산 내원정사에서 봉행된 ‘선망부모 순국선열 호국영령을 위한 49일 지장기도’ 초재 및 회향법회에서 스님이 설법한 내용을 요약 게재한 것이다.


원응 스님은

원응 스님은 독립 운동에 참여했던 선친의 권유로 여러 경전을 읽고 참선을 하다 부친과 평소 교류가 있던 석암 스님을 은사로 1954년 부산 선암사에서 출가했다.

그 후 제방에서 참선 공부에 매진해 온 스님은 1961년 지리산 칠선계곡 부근의 폐사나 다름없었던 경남 함안 벽송사에 들어가 도량을 중창했다. 특히 10년에 걸쳐 『대방광불화엄경』의 금니사경을 완성해 출, 세간의 화제가 된 바 있다.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