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카메라는 도반이요 세상은 화두였다

기자명 법보신문

영상포교 40년 선 암 스님

11월 21일 회갑기념 출판법회
학창시절 처음 카메라에 매료
불교근현대사 사진 기록 염원

사진작가 선암 스님. 그는 ‘출가자가 수행은 않고 사진이라니…’라는 주변의 따가운 시선에도 아랑곳 않고 평생 사진에 취해, 때론 사진을 수행삼아 묵묵히 한 길만을 고집해 왔다. 도반들이 걸망을 메고 세상 이곳저곳으로 만행을 떠날 때, 카메라를 메고 산천 곳곳을 헤맸다. 도반들이 화두를 붙잡고 삼매에 들 때 그는 사각 앵글이 빚어낸 화엄만다라를 담기 위해 혼신에 힘을 다해 셔터를 눌렀다. 그렇게 40여년. 어느 덧 회갑을 맞은 선암 스님이 11월 21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사진집 『출가』출판기념회를 겸해 전시회를 갖는다. 사진에 빠져 때로는 세상을 등지고 오직 카메라를 앞세워 전국 곳곳을 누볐던 만행의 결과물들을 한꺼번에 선보이는 셈이다.

“『출가』는 스님이 되기 위해 산문에 들어선 동자승과 행자의 모습에서부터 해탈의 순간까지 수행자의 일생을 압축해 담고자 했습니다. 사진을 벗 삼아 전국을 누비며 놓치고 싶지 않았던 장면을 앵글에 담아낸 제 인생의 사리입니다.”

이번 사진집에서도 보듯 스님의 작품에는 유독 동자승이 많이 등장한다. 추운 겨울날 거울을 보며 자신의 머리를 깎고 있는 어린 사미, 형 또래로 보이는 스님의 손을 잡고 어디론가 걸어가는 모습까지…. 사진 하나하나마다 웃음과 때론 가슴 시린 아픔이 촘촘히 배어있다.

<사진설명>11월 21일부터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리는 선암 스님 출판기념 전시회 ‘출가’중에서.

이런 사진들의 배경에는 동자승으로 살았던 스님의 삶과 무관하지 않다. 스님의 어린 시절은 시골길처럼 덜컹거리는 굴곡이 많았다. 초등학교 교사였던 아버지가 한국전쟁 당시 국군으로 참전해 전사하면서 집안은 급격히 기울었다. 변변한 일거리조차 찾지 못했던 어머니가 어린 삼형제를 책임지기에는 너무나 벅찬 일이었다. 스님의 절 생활은 그때부터 시작됐다. 입 하나 덜어보자는 생각에서 당시 일곱 살이었던 스님을 신촌 봉원사에 맡긴 것이었다.

부모의 따뜻한 품이 그립기만 했던 어린 선암 스님에게 절 생활은 순탄치 않았다. 모든 게 낯설었고, 엄한 선배 스님들의 승기(?)도 서러웠다. 학교에 가도 편하지가 않았다. ‘까까머리 중’이라는 친구들의 놀림을 견디기가 쉽지 않았고 그럴수록 자신을 절에 보낸 어머니가 원망스러웠다. 절에서 벗어나고자 도망쳤던 것도 여러 번. 그러나 질긴 출가 인연의 끈은 결코 그를 놓아주지 않았다. 다시 돌아가지 않겠다고 맹세했건만 어느새 자신의 발은 봉원사 일주문을 향하고 있었다. 이 같은 방황은 고등학생이 된 뒤에도 줄어들지 않았다.

그 무렵 조계종과 태고종간의 분규가 극에 달했다. 하루가 멀다하고 절을 빼앗기 위해 쳐들어오는 조계종 스님들을 막기 위해선 학생이었던 선암 스님도 예외일 수는 없었다. 어린 시절부터 봉원사에서 자란 스님이었기에 무엇 때문에 다른 스님들이 왜 쳐들어오는지 이해가 되지 않았다.

“누가 누구를 정화한다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았어요. 평생 열심히 포교하며 절을 지키고 가꿔왔던 우리 스님들을 결혼했다는 이유로 쫓아내겠다는 것을 납득할 수 없었죠.” 학교를 파하면 분규가 난 사찰을 찾아가 싸움을 하는 것이 일상이 돼 버렸다.

스님이 카메라를 처음 접한 것도 그 무렵이다. 학교 축제가 있던 날, 카메라 상점을 운영하던 아버지 몰래 친구가 자랑삼아 가져온 일제 ‘팬탁스’는 스님의 진로를 한 순간에 바꿔버렸다. 찰나의 순간을 영원히 간직할 수 있는 카메라. 스님에게 카메라는 비상을 상징했다. 언젠가 카메라를 메고 산천 곳곳을 다니며 기이한 풍경을 사각 앵글에 담는 자신의 모습을 떠오르며 상상의 날개를 펼치곤 했다.

궁하면 통한다고 스님의 꿈은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아 실현됐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공군에 자원입대한 스님은 헌병대 행정병으로 근무하며 우연히 옆 사무실을 쓰고 있던 정훈감실에서 사진기를 처음 만지게 됐다. 처음 인화지를 보았고, 또 사진이 찍히는 원리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 36개월이라는 긴 군 생활이었지만 스님에게는 결코 지루하지 않은 시간이었다.

군 제대와 동시에 스님은 카메라를 구입했다. 먹고 살기에도 빠듯했던 시절, 카메라를 산다는 것은 주변의 따가운 시선을 감내함을 의미했다. 그러나 한번 마음먹은 일은 꼭 해내야만 직성이 풀렸던 터라 주변의 만류도 무릅쓰고 거금을 들여 일제 ‘야시카’라는 반자동 카메라를 구입했다. 뛸 듯이 기뻤다. 행여 먼지라도 묻을까, 갓 태어난 어린아이 다루듯 스님은 카메라를 달래고 어루만졌다. 한 컷 한 컷, 동화를 써내려가듯 상상의 공간을 현실로 재현시켜나갔다. 그러면서 자신도 모르게 스님은 깊은 사진의 세계에 졌어들었다. 그러던 어느 날, 「월간 불교」에서 사진기자로 활동하자는 제안이 왔다. 기왕 사진이 좋아 시작한 일이라면 한 번 해보고 싶은 욕심이 생겨 선뜻 수락하고 말았다. 그러나 사진기만 있을 뿐 전문적으로 사진 찍는 법을 배워 본 적 없는 ‘교계 최초의 사진기자’는 실수를 연발했다. 필요로 하는 장면은 초점이 나갔고, 구도도 엉망이었다.

그러나 열정만은 전문사진기자 못지않았다. 사진기술을 배우기 위해 여기저기 수소문 하다 우연히 한 서점에서 일본에서 발행되는 사진잡지 「포토콘테스트」를 구입했다. 빼곡하게 적힌 일본어가 무슨 뜻인지는 몰랐지만 스님은 잡지에 수록된 한 장면 한 장면을 그대로 따라했다. 연꽃을 특집으로 다룬 호는 한 컷 한 컷을 오려 책으로 만들어 틈틈이 재연해 보았고, 그러면서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어 갔다. 이런 스님의 노력은 그를 곧 사진 전문가로 만들었다. 불교계 중요한 행사가 있던 날이면 일반 언론사에서 스님이 촬영한 사진을 찾는 요청이 쇄도했고, 스님이 촬영한 사진은 신문의 상단을 장식했다.

사진기자로 명성을 날리던 1979년 당시 중앙일보가 주최한 사진공모전에 출품한 작품이 입선을 하면서 스님은 정식 사진작가로 이름을 올렸다.

“초파일 연등 축제가 끝난 뒤 봉원사 대웅전 마당에 걸려 있는 빨간 연등 밑으로 노란색 옷을 입은 유치원생들이 걸어가는 장면이었죠. 순간 작품이 되겠다는 생각이 들어 셔터를 눌렀죠. 작가로 등단하겠다는 생각이 없었는데 입선을 하면서 자의반 타의반으로 작가가 돼버렸어요.”

개안의 경지에 오른 듯 전문 사진작가의 시야가 열린 스님은 이후 출품하는 작품마다 수상하는 영광을 누렸다. 1988년 일본 아사이 신문이 주최한 제50회 국제사진공모전 입선을 시작으로 1995년 한국사진대전 우수상, 1999년 코닥라이브러리 포토콘테스트 우수상, 2004년 대통령상 수상 등 크고 작은 상을 휩쓸었다. 지난 40여년, 고단한 삶에서 벗어나고자 방황하던 시절, 우연히 만난 사진에 취해, 평생 사진을 포교의 방편으로 삼아 한길을 걸어왔던 선암 스님. 스님은 이제 새로운 일을 준비하고 있다. 그 동안 바쁜 일상으로 미쳐 정리해 놓지 못했던 지난날의 기록들을 파노라마처럼 엮어 나갈 계획이다.
 
권오영 기자 oyemc@beopbo.com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