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찬주 장편소설 - 인연 54

기자명 법보신문

제 11장 태백산 도솔암

“스님은 왜 빈 암자를 가시려고 합니까.”
“죽을 각오로 정진하고 싶어서 그럽니다.”
“스님, 가지 마십시오. 어찌 사시려고 들어가십니까.”
“죽기를 각오한 사람에게 무슨 장애가 있겠습니까.”

일타는 봉화읍에 도착하자마자 멍석에 약초를 펴놓고 파는 허름한 약초가게에 들러 도솔암 가는 길을 물었다. 마침 약초가게 주인은 봉화군 소천면 홍점골 출신이었다. 가게 주인 역시 6.25 전쟁 중에 홍점골에서 읍으로 이사한 약초꾼이었다.

“홍제사 밑 홍점골에서 살았지요. 스님, 도솔암은 홍제사에서도 10리 계곡을 올라가야 합니다. 가파른 계곡에는 길이 없습니다. 바윗돌에 난 희미한 발자국을 따라 올라가야 도솔암에 이릅니다.”
“처사님, 도솔암에는 스님이 몇 분이나 계십니까.”
“비구니스님이 한두 분 계셨는데 아마 지금은 안 계실 겁니다. 홍제사도 비구니스님들이 한 사람도 없으니까요.”
“다들 어디로 갔습니까.”
“불교정화 한다고 비구니스님들 모두가 서울에 갔다는 소문을 들었습니다.”

약초꾼인 가게주인은 홍제사와 도솔암의 소식을 소상하게 알고 있었다. 지금도 약초를 캐러 그곳을 자주 드나드는 모양이었다.

“비구니스님들도 떠나는 마당에 스님은 왜 빈 암자를 가시려고 합니까.”
“죽을 각오로 정진하고 싶어서 그럽니다.”

약초꾼이 고개를 저으며 만류했다.

“스님, 가지 마십시오. 우리 같은 속인도 그곳에서 살지 못하고 나오는 판에 어찌 사시려고 들어가십니까.”
“죽기를 각오한 사람에게 무슨 장애가 있겠습니까.”
“도솔암과 무슨 깊은 인연이라도 있습니까.”
“늘 얘기를 들어 가보고 싶은 곳입니다.”
“하긴 약초를 캐러 다니면서 스님들에게 들은 얘기지만 태백산 제일의 명당이 바로 도솔암이라고 합니다. 도솔암에서 수행하시는 분들 모두가 도인이 됐다고 합니다.”

일타도 은사 고경에게 도솔암에 대해서 들은 적이 있었다. 원효대사가 창건한 도솔암은 띳집암자로 이어져오다가 허술한 띳집마저 무너져 1893년 암자를 중창할 때 통도사 환담(幻潭)이 20냥을 시주한 바 있는데, 일타에게는 그 환담이 절집 촌수로 따지자면 증조(曾祖)가 되었다.

“스님께서는 오늘 꼭 그곳으로 가셔야만 합니까.”
“그렇습니다.”

그러자 약초꾼이 홍제사까지만 안내하겠다고 말했다.

“제가 지름길을 압니다. 마침 저도 묵은 밭에 심어놓은 더덕을 캐러 가려던 참이었습니다.”
“잘됐습니다.”

일타는 합장하며 말했다.

“초행길어서 고생길이 될 뻔했는데 함께 가주신다고 하니 고마울 따름입니다.”
“고맙긴요. 제가 나고 자란 고향에 가는 길인데요.”
“그곳에는 아직도 고향 분들이 있습니까.”
“지금은 아무도 없습니다. 전쟁 중에 경찰이 강제로 이주시켰으니까요. 다들 논밭을 다 그냥 놔두고 태백산 밖으로 나왔지요.”

일타는 약초꾼을 길동무 삼아 길을 나섰다. 약초꾼은 망태 속에 호미와 낫 등을 챙겨 넣고 일타보다 반걸음 앞서 걸었다. 억새꽃은 울퉁불퉁한 산길 가에 무더기로 피어나 한낮의 햇살을 머금고 있었다. 일타는 개울을 가로지는 첫 번째 돌다리를 건넌 뒤 물었다.

“도솔암에는 어떤 도인들이 계셨습니까.”
“홍제사 밑에 살 때 들은 얘깁니다. 저는 뵙지는 못했습니다만 해방 전에는 만공 큰스님도 도솔암에 계셨다고 합니다.”
“만공 큰스님께서 도솔암에 계셨다는 얘기는 저도 들었습니다.”

일타가 통도사에서 들었던 만공에 대한 얘기는 이러했다. 만공도 도솔암을 찾아 홀로 정진한 적이 있었다. 도솔암은 그때나 지금이나 선객들 사이에 참선과 기도가 잘 되는 암자로 소문이 나 있었던 것이다. 그러니 예부터 선객들은 금강산의 마하연과 오대산의 적멸보궁과 태백산의 도솔암을 들러 한 철이라도 참선 정진하기 위해 원을 세우고 만행했다.

그런데 세 곳 중에서 태백산 도솔암이 가장 찾아가기가 어렵고 험한 까닭에 암자는 빌 때가 많았다. 만공이 갔을 때도 도솔암은 비어 있었다. 무쇠 솥이 하나 걸린 부엌에 땔감은 조금 있었으나 단지에는 쌀이 한 톨도 없었다. 만공은 암자 오른쪽에 있는 샘으로 가 찬물을 마시고 나서 탁발한 쌀 한 되박을 걸망 속에서 꺼내 밥을 지었다.

밥을 다 짓고 나서였다. 김치를 꺼내려고 김칫독을 보았으나 텅 비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다른 반찬거리도 없었다. 있는 것이라고는 암자 뒤에 빈 소금가마니 하나뿐이었다. 소금가마니 속에는 소금이 한 줌도 없었다. 할 수 없이 만공은 소금가마니 겉에 쌓인 먼저를 털어내고 칼로 가마니 밑을 베어내 물에 담갔다. 그러자 짠맛이 우러나왔다. 그 물을 밥에 뿌리어 간을 맞추니 밥이 꿀맛으로 변했다.

그러나 쌀 한 되로 지은 무쇠 솥 속의 밥은 3일 만에 떨어졌다. 밤낮 없이 참선 정진을 하다가 허기지면 떠먹곤 하던 밥이 누룽지까지 동이 났던 것이다. 밥 대신 물을 마시는 것도 한계가 있었다. 빈속으로 참선하다 보니 정신이 흐려지고 화두가 달아났다.

별 수 없이 만공은 도솔암을 내려와 탁발을 나섰다. 화전민이 사는 농가는 도솔암에서 10리 터울로 드문드문 한 채씩밖에 없었다. 만공은 한 화전민 농가의 사립문 밖에서 목탁을 쳤다.

“지나가는 중 밥 좀 주시오. 관세음보살 나무아미타불.”

마침 농가 마루에는 중년 부부와 네댓 살로 보이는 아들이 시래기국에 조밥을 말아 끼니를 때우고 있었다. 모른 체하던 중년 부부가 목탁을 쳐대는 만공을 흘깃 쳐다보더니 아이에게 시래기국밥을 한 그릇 보내왔다.

아이는 밑이 터진 핫바지를 입고 있었다. 작은 고추가 어정어정 걸을 때마다 달랑거렸다. 그런데 마당을 내려서는 아이의 달랑거리는 고추가 시래기국밥에 담가졌다. 아이는 그것도 모르고 오다가 수염이 덥수룩하고 키가 큰 만공을 보더니 무서워서 그릇을 마당에 놓고 달아났다.

시장했던 만공은 아이의 고추가 담가졌던 시래기국밥을 단숨에 비웠다. 다 먹고 나서는 합장하며 한 마디 했다.

“고추 담근 좁쌀 시래기국밥! 천하의 진미로다. 이보다 맛있는 공양을 어디서 또 먹어볼까. 과연 도솔암 정진의 영험이 크긴 크구나.”

일타는 약초꾼에게 만공의 일화를 얘기해 주고는 크게 웃었다.

“하하하. 아기 고추가 담긴 좁쌀 국밥을 맛있게 드신 만공스님의 도력이 어떻습니까. 마음을 자재하게 굴리신 도인 중에 도인이십니다.”
“아무리 배가 고팠다 해도 우리 같은 속인은 더러워서 먹지 못할 것 같습니다.”
“도인은 다릅니다. 더럽고 깨끗하다는 시비가 없습니다. 밥은 진리를 구하는 약일뿐입니다. 만공스님은 그렇게 생각하고 맛있게 드셨을 것입니다. 그러니 만공스님에게는 먹는 밥이 그대로 법이 되는 것입니다.”
“스님, 밥이 법이 된다는 말입니까.”

약초꾼이 의아해하며 물었다.

“우리 중들은 진리를 법이라 합니다. 그러니까 우리 수행자가 밥을 먹는 것은 단순히 시장기를 해결하고자 먹는 것이 아니라 진리를 구하기 위해 먹는다는 것입니다.”

일타와 약초꾼은 오후 늦게 홍제사에 도착했다. 약초꾼의 말대로 홍제사는 텅 비어 있었다. 마당에는 낙엽이 수북하게 쌓여 있었고, 마루에는 먼지가 허옇게 쌓여 있었다. 스님이 떠난 빈 절을 보면서 일타는 마음속으로 중얼거렸다.

‘비구니스님들마저 정화를 한다고 절을 비워 놓고 없으니 부처님이 뭐라고 하실까. 무엇이 참 정화인가. 빼앗긴 절 찾아오는 것보다 마음 깨치는 것이 참 정화가 아닐 것인가.’

일타가 망연히 서 있자, 약초꾼이 말했다.

“스님, 오늘은 여기서 머물지요. 아마 도솔암도 사정은 이럴 것입니다.”
“아닙니다. 망설일 일이 아닙니다.”

그러자 약초꾼이 난감한 표정을 지었다.

“보나마나 도솔암에는 식량도 반찬도 아무 것도 없을 것입니다. 여기 저의 옛집에 숨겨둔 쌀과 반찬이 있으니 오늘은 여기서 공양하시지요.”
“저는 지금 도솔암으로 올라가겠습니다.”

그래도 약초꾼은 자신이 살던 옛집에 쌀과 반찬거리를 숨겨두었으니 일타더러 양식을 마련해 올라가라고 말했다.

“양식을 조금 드리겠습니다. 그러니 내일 올라가시지요.”
“처사님, 도솔암 올라가는 입구만 가르쳐 주시지요. 혼자 가겠습니다.”
“허허. 스님들 고집은 아무도 꺾지 못한다니까요.”

약초꾼이 홍제사 왼쪽으로 난 산길을 앞서 걸었다. 배추와 무가 심어진 밭뙈기를 지나자 맑은 물이 흐르는 계곡이 하나 나타났다. 홍제사 뒤쪽 태백산에서 소천면으로 흘러가는 계곡물이었다. 그 계곡물에 또 하나의 작은 계곡물이 만나고 있었는데, 바로 그 합수되는 지점이 바로 도솔암 가는 입구였다.

“스님, 저 계곡을 타고 올라가야 합니다. 갈 수 있겠습니까.”
“처사님, 계곡만 타고 오르면 됩니까.”
“사람들의 발자국을 놓치지 마시고 계곡을 타고 가다 보면 언뜻언뜻 산길이 나옵니다. 계곡을 몇 번 이 쪽 저 쪽으로 왔다 갔다 해야 하는데 사람 발자국을 절대로 놓쳐서는 안 됩니다.”
“얼마나 걸립니까.”
“스님 걸음으로 아마 1시간쯤 오르면 암자가 나타날 것입니다.”

약초꾼은 바로 돌아가지 않고 한 동안 계곡을 오르며 길을 안내해 주었다. 초행자로서는 어두워지면 갈 수 없는 길이었다. 약초꾼 말대로 도솔암 가는 길은 ‘길 없는 길’이었다. 물이 흐르는 계곡이 바로 산길이었다.

“스님, 도솔암에 양식이 하나도 없으면 바로 저의 옛집으로 내려오셔야 합니다.”
“봉화읍으로 바로 가지 않습니까.”
“이번에는 일주일 정도 홍점골에 있다가 내려가려고 합니다. 밭에 심은 더덕도 지금 캐지 않으면 멧돼지가 다 파먹고 맙니다.”
“멧돼지가 더덕도 파먹습니까.”
“더덕을 아주 좋아합니다. 더덕을 맛들인 멧돼지는 밭을 다 엎어놓고 만답니다.”

약초꾼은 계곡이 끝난 지점에서 돌아섰다.

“스님, 여기서부터는 길을 잃을 위험이 없습니다. 저 산길을 따라 계속 올라가시면 도솔암에 이릅니다.”
“암자 사정을 보고 나서 한번 내려가겠습니다.”

일타는 약초꾼과 헤어져 편한 마음으로 산길로 들어섰다. 산길은 계곡과 달리 가파르지 않고 완만했다. 청랭한 공기가 콧속을 상쾌하게 했다. 해발 1천 미터쯤 다다른 느낌이었다.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지만 전망이 트여 갑갑하지도 않았다. 구름이 걸린 산 정상으로 오를수록 봉화 쪽으로 뻗어나간 산들이 시원하게 눈에 들어왔다.

이윽고 일타는 도솔암이라고 쓴 판자간판 아래서 걸음을 멈추었다. 도솔암은 흰 구름 한 자락이 덮인 산중에 자리 잡고 있었다. 과연 원효대사가 낮에는 호랑이와 표범 같은 맹수들들과 밤에는 둥그런 밝은 달과 이웃해서 살았음직한 암자 같았다. 도솔암에 사는 것만으로도 도가 닦이고 번뇌가 사라져 마음은 차디찬 재와 다름없어질 것 같았다.

일타는 첫눈에 반했다. 적어도 십년은 도솔암에서 두문불출하며 살 것 같았다. 암자 마당에 올라 주변의 산봉우리들을 둘러보니 더욱 마음에 들었다. 왠지 전생에도 수행을 했던 암자 같은 기분이 들었다.

약초꾼 말대로 도솔암도 홍제사처럼 텅 비어 있었다. 그러나 다행히 당장 먹을 양식과 반찬이 있었다. 부엌의 쌀단지에는 쌀이 서너 되쯤 남아 있었고, 고추장단지 속에도 맛있게 삭은 고추장이 들어 있었다. 또한 신장단 탁자 밑에는 귀한 설탕도 한 봉지 있었다.

‘부엌살림이 이 정도면 수지맞은 것 아닌가. 게다가 허공에 펼쳐진 산봉우리들이 내 기분에 딱 맞으니 이보다 좋은 인연이 어디 있을까. 한 십년은 뭉개고 정진해야지.’

일타는 오대산 서대 염불암에서 했던 것처럼 도솔암과 빈 홍제사를 오르내리며 오후불식에다 장좌불와를 하기로 스스로 정했다.

겨울을 무사히 난 다음해 봄 일타는 문득 시정(詩情)이 일어 이른바 입산시를 흥얼거렸다.

높은 산과 넓은 물길 피하지 아니하고
헐레벌떡 이곳까지 온 뜻이 무엇인가
결정코 일대사인연을 밝히고자 하여
손가락을 태우며 계와 원을 세웠도다
나는 금일로부터 십년을 기약하여
하산하지 않고 오로지 정진하리니
이 본분의 업을 발명하지 못한다면
천상을 돌아다닌들 무슨 소용이 있으리.
不憚山高水闊路 得得來到何所以
決欲究明一段事 燃指燃香立戒願
吾從今日限十年 更不下山要專精
若未發明本家業 飛天上何所用

1955년 일타의 나이 27세 때의 일이었다.  〈계속〉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