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독계 예산120억…조계종11억5천

기자명 법보신문

[군포교2040_共感] 1. 이웃종교 현황과 군종교구

올해로 군승파송 40주년을 맞이하는 조계종 군종특별교구(교구장 일면)와 창간 20돌을 맞은 법보신문이 2008 무자년을 맞아 군포교 활성화를 위한 연중기획 ‘군포교-共感’을 진행한다. 1년간 진행될 기획을 통해 △군불교 현황 점검 △군종교구의 위상 제고 △군법사 양성 △만인동참 △민간인 성직자의 활동 상황 등 군불교의 각 분야에 대해 점검하고 바람직한 군포교 방안을 제시한다.        편집자 주

   

<사진설명> 이웃 종교들이 막대한 예산 편성을 바탕으로 종단과 신자, 군종장교가 하나로 뭉쳐 적극적인 선교 활동을 펼쳐나가고 있는 가운데, 군종교구와 현장 실무자들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군포교 활성화를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법보신문 자료사진

“이번에 입수한 자료를 잘 봐주세요. 아주 심각합니다. 작년에 군법사 한 명을 처음 파송시킨 원불교가 국방부 코앞에 지상 10층짜리 건물을 짓고 있습니다. 이 뿐만이 아니예요. 원불교 측이 지난해 3월에 논산훈련소 안에 대규모 강당을 지어 놓고 교무를 파견했어요. 부대를 위한 시설을 지어주고 주말에만 종교행사를 할 수 있도록 허가를 받은 겁니다. 원불교 때문에 군포교가 힘들어졌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지난 1월 17일 조계종 중앙종회 포교분과위, 종회의원 정범 스님이 “심각한 상황”이라며 원불교의 군포교 관련 자료를 참가자들에게 돌렸다. 정범 스님에 따르면 논산훈련소 내 호국 연무사 법회 참석 인원 2500명 중 법당 내부에 수용 가능한 인원은 1500명. 나머지 7~800명은 지금까지 외부에서 법회를 보고 있었다. 그런데 지난해 원불교 강당이 생긴 이후 연무사 외부에 있던 7~800명이 원불교의 법회로 참석하고 있다는 것이다. 원불교의 활동으로 불교계의 군포교 빨간불이 켜진 단적인 예다.

원불교 가세에 군불교 ‘긴장’

정범 스님의 말처럼 ‘군’을 향한 이웃종교들의 발걸음이 크다. 이들 각 종교는 종단과 군내 선교 및 포교 실무자들이 똘똘 뭉쳐 “약진 앞으로”를 외치고 있는 형국이다. 이제 갓 출범해 3년차에 접어든 군종교구가 재정적, 인적자원 부족과 교계의 관심 등을 호소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정범 스님이 주목한 용산 국방부 인근의 원불교 건물은 ‘원불교 서울교당 및 수양관’. 지상 10층, 지하 4층의 규모다. 겉으로는 단순한 원불교 서울교당의 모습이지만, 군법사를 파송하기 시작한 원불교가 국방부의 코앞에 이런 대규모 건물을 신축하고 있다는 것은 군종교구의 기능을 겸하기 위함이라는 것이 많은 사람들의 의견이다.

또 원불교가 지난해부터 논산훈련소 내 훈련병들을 대상으로 종교행사를 열고 있는 강당은 신축 당시 삼성가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었다는 후문이다.
다른 이웃종교들의 선교활동 현황은 어떨까? 군종교구에 따르면 개신교의 군선교연합회는 현재 연 예산을 80억 원으로 책정해 놓고 있다. 가톨릭의 연 예산은 40억 원. 반면 조계종 군종교구의 지난해 연 예산은 11억 5천만 원이었다. 이를 두고 군포교 현장에서는 “예산만 놓고 보면 계란으로 바위치기를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하고 있다.

 

<사진설명> 용산 국방부 인근에 설립되고 있는 지상 10층, 지하 4층 규모의 원불교 서울교당.
인적자원 운영 현황도 마찬가지다. 개신교는 현재 16개 교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목원대, 협성대, 서울신학대 등 22개 대학에서 배출된 군종장교 262명이 선교 현장에 투입돼 활동하고 있다. 가톨릭은 각 교구에서 군신부 대상자를 차출해 전원이 요원으로 임관된다. 가톨릭 산하 6개 종립대학에서 대상자들이 배출되고 있다. 동국대와 중앙승가대에서만 군종장교 대상자를 배출하고 있는 불교계와는 차이가 상당하다.

군선교연합회는 ‘국방개혁 2020’이 발표되자 발빠르게 ‘기독교 비젼 2020’를 수립하고 현장에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가톨릭도 총력지원체제를 구축하고 전국 성당에서 연 1회 걷고 있는 헌금과 군종교구청의 지원을 받아 군내 신자수와 선교의 질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뤄냈다. 불교계에서도 조계종이 지난 2005년 군종특별교구를 출범시키고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군종교구는 아직까지 구체적인 성과를 내는 것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군포교 활동을 위한 밑바탕을 다지는데 주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종단과 신자, 현장 실무자가 혼연일체로 움직이고 있는 개신교나 가톨릭, 원불교와 달리 불교계는 군종특별교구에 모든 역할을 일임하고 있다.

교계 전체가 관심 가져야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지고 있을까? 이와 관련 조계종 관계자는 “군종교구 출범 당시 ‘교구’라는 단어에 얽매여 군종교구를 총무부 산하로 편입시켰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군종특별교구가 총무부 소속이라 실질적으로 군포교 정책을 연계해야 할 포교원과의 접점이 사라졌다는 말이다. 이로 인해 군종교구의 위치가 모호해져 종단 내에서도 겉돌고 있다는 것. 이 관계자는 “군종교구의 특성이 일반 교구본사와 상당히 다름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교구본사의 개념으로만 접근할 뿐 실질적인 현장의 목소리에는 귀기울이지 않는 것이 사실”며 “종단이 군포교를 적극 지원토록 하기 위해서는 종법령 개정도 고민해 봐야 한다.”고 부연했다. 

정하중 기자 raubone@beopbo.com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