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형효칼럼]타력과 자력은 불이

기자명 법보신문

禪師, 지나치게 자력 강조하지만
모든 종교적 믿음은 타력서 출발

정치와 종교는 대중적 기반을 상실해서는 안된다. 대중적 지지도를 상실한 종교는 철학일지언정 종교로서 생명을 잃는다. 유교가 결코 종교일 수 없는 까닭은 거기에 있다. 한국의 선사들과 불교학자들은 대체로 불교가 타력종교가 아니고, 자력수행이라고 너무 강조한다. 그런 경우에 불교의 대중적 지지도가 내려간다. 기독교에 비해 한국불교의 취약점이 여기에 있다. 모든 종교적 믿음은 타력에서 출발한다. 종교적 믿음의 동기는 인간의 실존적 상황이 숨 막히는 질곡과 같다고 여겨 거기서 탈출하고픈 욕망에서 비롯한다. 누구나 인간은 한계상황의 포로로서 그 상황의 틀에 갇혀 사는 신세를 면할 길이 없다는 것이다. 종교는 바로 그 틀을 벗어나고자 하는 인간의 가장 절실한 요구의 응답과 같다. 이것이 해탈 또는 초월로서 다가온다.

기독교가 불교에 비하여 철학적으로 저차원이지만, 예수님은 부처님의 깨달은 바를 성공적으로 대중화시킨 것으로 보인다. 대중화의 길은 쉽게 대중들이 의지하고 한계상황의 질곡을 벗어나게 하는 길을 말한다. 고통 속에서 죽음을 대면한 환자는 선가에서 말하는 고요한 마음의 평안을 스스로 발견하기 어렵다. 그래서 전지전능한 님에게 간절한 마음으로 기원한다. 이때에 누가 님인가? 부처님과 예수님이겠다. 진리가 인격적 님으로 화현한다. 초기 불교에서 부처님의 형상보다 다만 법륜의 상징만이 있었다. 그러나 세상살이의 고통과 죽음, 그리고 인간사에서 생기는 갈등의 투쟁과 업력에 따른 과오를 운명으로 체험한 중생들은 부처가 되신 석가모니를 구원의 님으로 모시지 않을 수 없었다. 부처에는 두 가지의 개념이 혼재되어 있다. 첫째로 부처는 우주적 사실을 법으로 인식한 지혜 자체이시고, 또 다른 하나는 중생을 한없이 긍휼히 여기시는 자비 자체이시다.

한계상황 속에서 허우적거리는 중생에게 쉽게 와 닿는 부처님은 법을 증득한 지혜가 아니라, 자비로서 보살펴주시는 님이다. 법으로서의 부처는 우주의 궁극적 사실로서 삼인칭 단수 중성대명사 ‘그것’이지만, 님으로서의 부처는 이인칭 인격대명사인 절대적 ‘그대’로서 나에게 다가온다. 나는 절대적 ‘그대’인 부처님의 인격에 기도한다. 여기서 불교나 기독교나 다 인격적 타력 신앙으로 유사해진다. 종교로서의 대중성은 필연적으로 타력에의 귀의로 나타난다. 기도가 무엇인가? 기도는 나의 비원을 들어주시기를 간절히 원하는 님에게 바치는 마음의 호소다. 그래서 기도의 대상은 응답하는 인격적 님이라고 생각한다. 법륜의 법이 님의 부처로 탈바꿈된다.

그런데 기도가 지극하고 순수할수록, 기도는 님에게 무엇을 청구하는 것이 아니라, 님과 한 몸이 되기를 갈구하는 마음임을 느낀다. 님에게 무엇을 객관적으로 청구하는 기도는 아직도 사량분별하는 마음의 이기심이 작용함을 말한다. 자식의 출세나 자신의 생명연장이나 영생을 요구하는 것은 소유욕의 발동에 다름 아니다. 이것은 아직도 무엇을 소유하겠다는 무의식의 표상이다. 가장 절실하고 진정한 기도는 님에게 무엇을 소유하려는 청구가 아니라, 님과 일체가 되기를 갈망하는 것이겠다. 무엇을 청구하게끔 분별할만큼 여유가 없다. 오로지 천 길 낭떠러지에서 손을 놓지 않으려는 마음처럼 님에게서 떨어지지 않고 하나가 되려는 마음이 기도의 본질인 것으로 드러난다. 기도는 부처님에게 청구하는 것이 아니라, 부처님과 하나가 되려는 간절한 마음의 요구인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기독교적 신앙과 불교적 신앙인 신뢰와의 사이에 미묘한 차이가 나타난다.(계속)

김형효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