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은 하나이다 신은 하나가 아니다 신은 하나이다

기자명 법보신문

“불교가 다른 종교와 같다는 건 무지 탓”

각 종교의 차이 인정하고 보편적 가치 존중
서로 교류하고 조화 이뤄야 상생의 길 보여

 

▲스티븐 프로더로우 교수가 저술한 ‘신(神)은 하나가 아니다’의 표지.

나의 아버지는 그의 세대 그러니까 1960, 70년대의 전형적인 ‘영적 추구자’였다. 그는 내게 “모든 종교는 깊은 내면에서는 모두 똑같은 심오한 진리를 가르치고 있다”고 말하곤 했다. 아버지의 말씀은 이러했다.


“굽이굽이 돌아서 오르는 길이 여러 갈래가 있는 산을 상상해 보라. 그 산은 진리이고 여러 갈래 오르는 길은 여러 종교이다. 오르는 길은 서로 다르지만 궁극에는 그 모두가 똑 같이 정상에 오르게 된다.”


생각해 보면 힌두교와 이슬람교, 유대교, 기독교의 신비주의자들이 신성(神性)의 속성에 대해 말하는 것을 보면 놀라울 정도의 유사성이 있다. 너무도 유사해 이러한 직관의 원천이 되는 ‘신성’ 또는 ‘우주의 근거가 있다’고 결론지을 수도 있을 듯하다. 더군다나 이러한 관점은 그 당시 다른 종교와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동시에 다른 종교를 존중하고 다른 종교를 배우기 위해 노력을 하게 하는 유용한 방편이 되었다.


조지 워커 부시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었을 무렵 나의 그러한 관점은 바뀌었다. 이후 8년간 기독교의 일부 종파들이 다른 종교에 대한 비관용적이고 독선적인 태도가 정치적으로, 사회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어떻게 노력했는가를 지켜보았다. 그러한 모습을 보면서 상당히 관용적인 성격의 소유자인 내가 ‘비관용을 어떻게 용인하고 있는가’라는 상당히 도발적인 질문에 직면하게 되었다.


다른 종교와 평화롭게 공존하는 것은 좀 더 세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나는 힌두교,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기타 다른 종교의 근본주의 또는 극단주의에 대해서는 거부하지만 일원론적 베단타 철학, 십자가의 성요한, 카발라(유대교의 신비주의), 수피즘 등은 수용한다. ‘종교의 길에서 우회로에 있다’고 할 수 있는 근본주의자들은 산 아래에서 맴돌고 있다는 표현이 현재의 상황을 잘 설명하는 모형이 될 수 있을까?


그러한 측면에 대해 고민하면서 나의 종교, 즉 불교가 훨씬 더 우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내가 수행하는 현대화된 불교가 다른 종교와 어떻게 구분되는가를 확실하게 인식하게 되었다.


신(神)을 전제로 하지 않으면서도 방대하고 정교한 철학체계를 간직하고 있는 불교는 2500여년 동안 마음을 직관하는 수행과 함께 발달하면서 고도로 엄밀해졌다. 불교에 대해서 더 많이 알면 알수록 다른 종교인들이 ‘불교도 핵심에 있어서는 다른 종교와 다를 게 없다’고 주장할 때마다 더욱 불쾌해졌다. ‘모든 종교는 동일하다’라는 관점은 의도적인 맹목 또는 때로는 각 종교의 개별성에 대한 단순한 무지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스티븐 프로더로우(Steven Prothero) 교수가 최근에 저술한 ‘신(神)은 하나가 아니다 : 세계를 움직이는 8대 경쟁종교-그들 간의 차이가 왜 문제가 되는가’를 읽었을 때 자연스럽게 감사의 마음이 일었다. 부처와 예수가 형제라는 주장을 하지 않는 사람도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저자는 내가 영속주의적 관점에 대해 직감했던 그 불쾌감을 확실히 드러내면서 이런 명확한 결론이 여러 문제점들 중에서, 특히 다른 종교에 대한 추가적인 오해를 일으키게 하고 각 종교의 고유 속성에도 부합하지 않고 있음을 명쾌하게 보여주었다. 이 책에 매료되어 단숨에 거의 전부를 독파했다.


듀크대학 종교지도자모임의 몇몇 회원들이 이 책의 관점에 대해 토론하기 위해 모였다. 이슬람교의 이맘과 유대교의 랍비, 천주교 사제, 기독교 목사 2명, 박학다식한 힌두교 장로 그리고, 불교도인 내가 토론에 함께 했다. 토론을 통해 ‘모든 종교는 근본적으로 같다’고 보는 시각에서 오는 ‘무미건조한 관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 자체에 대해 우리 모두는 감사해 했다.


“‘다른 경제 시스템 또는 정치 체계가 똑 같다’라고 그 누구도 주장하지 않는다.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는 너무도 확연히 달라 그 차이점에 대해서는 하등 언급할 필요가 없다.”


프로더로우는 이렇게 쓰고 있다. 그런데 왜 종교에 대해 다르게 말하고 있는가? 마침내 우리가 종교 간의 차이점에 대해 토론하면서 느꼈던 처음의 흥분에도 토론 중에 기이한 일이 일어나고 있음을 나는 감지했다. 다른 사람이 그들의 종교를 설명하면서 사용했던 용어로 또 다른 종교인이 자신의 종교를 설명하자, 각자의 지성은 자극을 받아 반짝이기 시작했음을 깨닫게 되었다. 한번은 가톨릭의 사제가 기도에 대해 이야기하는 중에 ‘지금 이 순간’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이 문구를 사용하자, 나는 갑자기 기도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리고, 기도는 명상과 그리 멀리 떨어져 있는 게 아닌 것이라고 이해하게 되었다.


기실 특정 부분에 대한 유사점과 대칭적인 측면을 다른 종교에서 발견할 수 있을 때 우리는 다른 종교를 이해하고 상호 교류할 수 있다. 단순한 몰이해가 의견 차이의 원천이 될 수는 있으나 매우 다르다는 점이 그런 부정적인 역할을 하지는 않는다. 실제로 다른 종교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확대함으로써 ‘영속주의’를 이해할 수는 없을까? 다른 종교를 이해하고자 노력하는 것이 그렇게 나쁘기만 한 것인가?


그 책의 마지막 부분에 이르러 ‘신은 하나가 아니다’라는 관점의 미혹함에서 깨어나게 되었고 그 순간 공허해졌다.


그렇지, 그리하여 우리는 모두 똑 같은 것은 아니야 그래서 어쨌다는 것인가? 나 자신이 불자임을 사랑하듯이 기독교인을 사랑해야 할 의무가 있어야 하는 것인가?


다른 종교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는 나 자신의 여정에 대한 많은 성찰 결과, 종교간 대화를 설명하는 가장 적합한 모델은 영적인 추구과정에 대한 선가(禪家)의 한 구절 즉, ‘처음 산이 있다. 이윽고 산이 없다. 마침내 산이 있다’에서 찾을 수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처음엔 모든 종교가 하나라고 한다. 특히 놀랄만한 유사점을 발견했을 때, 힌두교와 불교, 시크교도의 염주는 108개의 구슬로 되어 있음에 우리는 모든 종교에서 진리와 미를 함께 발견하게 된다. 그런 후 좀 더 다가가 각 종교의 개별성을 발견한 뒤 모든 종교는 하나가 아니라는 점을 깨닫게 된다. 각 종교 내에서의 다양한 계파마저도 각기 다른 독특함을 간직하고 있다는 점을 알아차리게 된다.


그리고 종교들이 서로 공유하고 있는 것에 대해 인식하게 된다. 예를 들자면 모든 종교는 자만심을 줄이고 겸손함을 증장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에서 깊은 인상을 받는다. 지식이나 이해가 없이 ‘모든 종교는 똑같다’는 맹목적인 믿음은 종교간 차이점이 갑자기 확연하게 다가왔을 때 분노와 편견으로 변하게 된다.


▲수미런던 지도법사
‘모든 종교는 전적으로 다르다’고 믿는 것은 다른 종교와 어울리고, 공유하고, 함께 성장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서로 다른 점을 인정하면서 각 종교가 추구하고 있는 공통된 가치를 함께 인식하면 서로 존중하고, 조화를 이루면서 함께 상생할 수 있는 조화로운 길을 제시하게 된다.


수미런던 듀크 불교공동체 지도법사 simplysumi@gmail.com 
번역 백영일 위원 yipaik@wooribank.com


다음은 영문원고 전문.

 

God is One-God is Not One-God is One.

 

My dad was exactly typical of the spiritual seekers of his time - the 1960s and 70s - and as such, he taught me that all religions at heart teach the same profound truths. "Imagine a mountain, with many paths winding up the sides. The mountain is Truth, and the paths are the religions.

 

Though the paths seem different, they all arrive at the same peak," he would say. Indeed, when one looks at what the mystics of Hinduism, Islam, Judaism, and Christianity have to say about the nature of the divine, there are striking similarities, enough so that one can conclude there is an underlying ground of the Divine or Universe that acts as a wellspring for these insights. Moreover, this point of view gave me, at the time, a useful way to not only live in harmony with other religions but also come to respect them enough to try to learn something from each.

 

But my feelings changed around the time that President George W. Bush got elected. In the following eight years, I saw how some denominations of Christians fervently worked to ensure that their religious views were expressed politically and socially, views that were intolerant of those different from themselves. I was faced with the challenging question of how I, as a fairly tolerant person, would tolerate the intolerant. Now, living harmoniously with other religions required some parsing: I rejected fundamentalist or extremist Hinduism, Christianity, Judaism, Islam, etc. but I embraced advaita vedanta, St. John of the Cross, Kabbalah, and Sufism. Well, is the model now that some byways, the fundamentalist ones, of religious paths circle around the base of the mountain?

 

During these same years I got to know my own tradition, Buddhism, much better. I saw how the kind of modernized Buddhism I practice is distinctive from other religions: a vast and precise philosophical system not premised on God or a god that had highly refined practiced developed over twenty-five centuries. The more I knew about Buddhism, the more I resented it when other people of faith tried to claim that Buddhism, at heart, was the same as other religions. I began to see how this "all religions are the same" view is based on a willful blindness and at times sheer ignorance of the particularities of each religious tradition.

 

Thus, when I picked up Professor Stephen Prothero's recent book God is Not One: The Eight Rival Religions That Run the World - and Why Their Differences Matter I felt a wave of appreciation. At last, someone was not trying to say that the Buddha and Christ are brothers! Prothero affirmed this uneasiness that I've intuited with the Perennialist view, showing how the facile conclusion leads to further misunderstanding among those of different religions and does not accord each religious respect for its unique qualities, among other problems. I was very enthusiastic about this book and read most of it.

 

Several of us in the religious leadership here at Duke University gathered to discuss the chapters, as well: an imam, rabbi, Catholic priest, two Christian ministers, a knowledgeable Hindu elder, and I, the Buddhist. All of us appreciated being able to move past the "flattening" effect that comes with trying to see religions as essentially the same. As Prothero writes, "No one argues that different economic systems or political regimes are one and the same. Capitalism and socialism are so obviously at odds that their differences hardly bear mentioning." Why do we do this with religion?

 

And yet, despite the initial excitement that at last we would be discussing our religions' differences, I noticed something peculiar happening during our discussions. I saw that each of us "lit up" intellectually when another person described their religion in terms that another used for their own tradition. Once, the Catholic priest was talking about prayer and he mentioned "in the present moment." Using that phrase, I suddenly understood how prayer worked and how it was not that far removed from meditation.

 

In truth, each of us was able to appreciate and connect to the other tradition when we were able to see parallels and mirror images of certain parts in the other. Those aspects that were very different were not sources of disagreement so much as simple non-comprehension. Could it be that Perennialism is just an extension of how we, in reality, try to understand the other? And is that kind of effort to understand the other really all that bad? Toward the end of the book, I became disillusioned with the God-is-not-one view, feeling empty and lost. Okay, great, so we are not all the same. Now what? How am I supposed to love my Christian neighbor as I love my Buddhist self?

 

After a lot of reflection on my own journey in understanding religions, I decided the best model for interfaith dialogue could be drawn from the well-known Zen description of the spiritual journey that "First there is a mountain, then there is no mountain, then there is." First, all religions are one. We see truth and beauty in all of them, particularly as we find surprising parallels (Hindus, Buddhists, and Sikhs all have 108 beads on their malas). Then, as we come closer and inspect the particularities of religions, we see that all religions are not one. We may even see how lineages within our own religion are distinctive. Following this, we return to an appreciation for what religions share.

 

For example, I am impressed that all the traditions make a big deal about reducing conceit and cultivating humility. To believe all religions are the same without knowledge and understanding leads to resentment and prejudice when differences suddenly take center stage. To believe that all religions are utterly different makes it impossible to relate to others, to share and grow together. But to see how religions are the same, while appreciating the differences, provides a balanced and meaningful way to live together respectfully and harmoniously.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