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명상에 대한 논쟁

기자명 법보신문

“명상 지도할 때도 ‘나’는 관찰 대상”

수행 주제로 토론하면서 화내는 ‘나’ 발견
이론과 실제 거리감, 함께 정진하며 체득

 

 

▲명상에 관한 생리학적·심리학적 실험결과에 대해 녹음하고 있는 수미런던.

 


대학의 과학자들이 명상의 생리학적, 심리학적 효과에 대해 어떻게 연구하고 있는가에 관하여 들은 적이 있다. 그들은 불교의 수행자들이 명상의 이점에 대해 주장했던 점들을 확인했으며 더 나아가 현대적인 장비가 없었던 과거에는 알 수 없었던 것을, 신경학적인 분석을 정밀하게 해냈다. 나와 같은 불자들 대부분은 이 같은 연구를 긍정적으로 수용한다. 과학이 명상에 관한 생화학적 또는 이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 탐구를 수행하는 것과 관계없이 우리 인간은 여전히 고통을 받고 있고 적절하게 고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통의 본질에 대한 통찰력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명상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6개월 전 나는 우연히 인근 대학에서 저명한 학자와 함께 정부가 지원하는 중요한 실험에 참여하게 됐다. 그 실험은 두 종류의 명상을 검사해 어느 쪽이 더 효율적으로 기쁨과 만족, 행복 등의 긍정적인 감정을 증가시키는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피실험자의 한 그룹은 ‘통찰 명상’ 또는 ‘마음챙김 명상’이라고 알려진 위빠사나 명상법을 배우게 된다. 다른 한 그룹은 ‘자비 명상’으로 알려진 ‘메타 명상법’을 배우게 된다. 두 명상법은 전통적으로 수행 시간 중 동시에, 또는 안거 기간 중 별도의 분리된 형태이든 간에 함께 전승되어 왔다. 두 수행법 모두 스리랑카와 태국, 미얀마 또는 기타 지역의 남방불교에서 전래되었다. 실험을 주관하는 그 학자는 두 명의 명상 지도자가 필요했고 미국에 있는 원로 법사의 추천에 의해 내가 ‘마음챙김 명상’ 그룹을 지도하게 된 것이다.


지난 몇 달 동안 나와 연구자들, 자비명상 법사, 선임법사는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각 그룹을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에 대해 조심스레 계획을 세워 나갔다. 실험은 2012년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하지만 주임 연구관은 명상 수행에 대해 그다지 익숙하지 않았고 선임법사가 ‘마음챙김 명상’ 보다는 ‘자비 명상’에 더 전문가 일거라고 잘못 알고 있는 듯 했다. 그리하여 주임 연구관은 또 다른 명상 지도자에게 ‘컨설턴트’로서 동참해달라고 요청했는데 그 사람은 우연히도 자비명상을 지도하는 사람의 남편이었다. 그런데 내가 ‘마이클’이라고 이름을 지어 준 그 ‘컨설턴트’는 선(禪)과 메타, 위빠사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하타’ 요가를 결합한 방식으로 명상 수행을 해왔다. 어려움은 이때부터 시작됐다.


이전에 가졌던 한 미팅에서 20분짜리 위빠사나 명상 수행에서 피실험자를 지도하기 위해 사용할 원고를 작성하고 있었는데 ‘마이클’이 작업을 도왔다. 이 지침은 CD에 저장할 예정이었다. 나는 마이클이 “자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생각이 흐르도록 하라”와 “편안하면서도 방심하지 않는 자각상태를 목표로 하라”는 문구를 끊임없이 첨부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나는 마음속으로 “휴! 도대체 이 ‘자각’이란 것이 무엇인가?”라고 생각했다. 나의 스승들이 저술한 명상 서적들을 면밀히 조사했고 인터넷으로도 ‘자각’이란 단어에 대해 검색해 보았다. ‘태국 삼림 전통(Thai forest tradition, 숲 속에서 명상 수행에만 전념하는 종파)’의 한 원로 스님에 따르면 ‘분별심을 내지 않는 자각’은 전문적인 명상 수행자들을 위한 ‘수행법’이라는 것이다. 이것이 자각에 관한 유일한 참고 자료였다. 예상한 것과 같이 이것은 통찰 명상수행을 지도하는 센터에서는 일반적으로 가르치지 않는 방식이었고 그렇기 때문에 나는 이 수행법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명상을 지도할 지침에 관한 원고를 확정하기 위한 마지막 모임이 일주일 전에 있었는데 마이클은 ‘자각’과 관련된 용어를 삽입하도록 권고했다. 나는 그런 용어를 삭제하거나 또는 수정하려고 애썼다. 마침내 나는 그에게 말했다.


“마이클, ‘자각’이란 측면은 선(禪) 수행에서 유래됐습니다. 당신의 명상 수행 방식의 창시자는 선사(禪師)에게서 수련을 받았던 연유로 선수행 전통으로부터 도입한 것입니다.”


그는 동의했지만 그것이 문제가 된다고 느끼지는 못하고 있었다. 그러는 사이 전화로 통화를 하던 선임 법사가 다른 대상물이 사라지는 수준에 이르도록 호흡관찰에 몰입하는 것과 같은 집중 수행법은, 그 자체가 집중 수행법이라고 할 수 있는 자비명상법과 가장 잘 조화를 이룰 수 있어 병행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하지만 주임 연구관은 집중, 마음 챙김, 자각이란 개념의 구분에 대해 확신하지 못하고 있었고 그것에 대해 본인 스스로가 결정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었다.


나는 좌절감을 느끼면서 집으로 돌아와 불자인 친구에게 불평을 늘어놓았다. “마이클이 왜 그렇게도 ‘자각’이란 개념에 대해 집착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랬더니 친구는 “네가 왜 그렇게도 한 종류의 수행 형태에 대해 고정되어 집착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그것은 단지 명상일 뿐이다. 거기에 자각과 관련된 단어들이 들어 있다고 해서 뭐가 문제가 되느냐”고 되물었다.

 

나는 친구의 대답에 “농구와 테니스는 둘 다 운동이지만, 서로 다른 종류의 운동이고 그래서 강습법도 다르다. 당신이 훌륭한 농구 교사일 수는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테니스를 가르칠 수 있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고 받아쳤다. 이어 “나는 위빠사나를 가르치는 방법은 알고 있다. 그렇기에 위빠사나와 관련해 제기되는 특정 문제들에 대해 수행자들을 지도할 수 있다. 하지만 명상의 목표로서 ‘자각’을 수행해 본 적이 없거니와 이와 관련된 질문들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덧붙였다. 그러자 친구는 어깨를 들썩이며 “편협하다”고 나무랐다. 나는 곧바로 “물론, 그것도 사실이다. 여러 형태의 명상을 통해서도 수행자들은 종종 동일한 목적지에 도착하곤 한다. 넓은 견지에서 본다면 거기에는 아무런 차별도 없다. 그러나 이것은 가능한 한 정밀함을 요구하는 과학실험이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조그마한 차이일지라도 큰 중요성을 갖게 된다”고 반박했다.


마이클과 나는 여기 ‘더럼’ 지방에서 같은 불교 기구에 속해 있고 이런 쟁점으로 인해 소원해지고 싶지는 않다는 것이 내게는 곤혹스러웠다. 더군다나 나는 개인적으로는 그를 좋아한다. 그러나 이 우스꽝스러운 조그마한 이슈가 우리의 관계에 점차 큰 문제로 다가왔다. 나의 판단으로는 잠재적으로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이 문제에 대해 침묵함으로써 연구 성과와 타협하고 싶지는 않았다.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하고자 나와 마이클이 작성한 원고를 폐기하고 선임 법사가 초심자를 위한 명상지도에 사용하고자 작성해 사용 중인 지침서를 찾아냈다. 나는 그 지침서의 원고를 옮겨 적었고 원고 내용을 검토받기 위해 그룹에 제출했다. 초심자를 위한 명상 수행 중 특히 호흡관찰에 관한 명상 지침서에는 ‘자각’이란 단어가 없었다.


새로운 원고를 이메일로 보낸 지 몇 시간 만에 마이클이 답을 보내왔다. 그는 ‘번뇌와 호흡 지각에 대해 나는 여러 부분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가하고 싶다. 즉 지각 또는 번뇌를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그것이 ‘자각’을 통해 흘러가도록 내버려 두고, 마치 하늘에 구름이 지나가듯이’와 같은 예문을 추가하자고 제안하고 있었다. 나는 반박하지 않았다. 그 선임 법사는 별로 중요하지 않는 몇 곳에 ‘자각’ 이란 단어를 추가함으로써 답했고 마이클은 한발 양보했다. 나는 침묵을 지켰다.


▲수미런던 지도법사
나는 이 이야기를 공개적으로 나누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이런 종류의 연구가 개인 관계에 작용하고 있는 역동성을 어떻게 드러내고 있고 이론과 실제가 어떻게 중요해지는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수미런던 듀크 불교공동체 지도법사 simplysumi@gmail.com 
번역 백영일 위원 yipaik@wooribank.com

 


다음은 영문원고 전문.

 

Arguing about Meditation


You may have heard about how scientists in universities are researching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meditation. They’ve confirmed a number of assertions that Buddhist teachers make about the benefits of meditation as well as mapped out the neurology of meditation in ways that the ancients, without today’s instruments, could not have known. I imagine most Buddhists, like myself, indulge this research with a smile, because we feel that whether or not science excavates the biochemistry and such of meditation, we human beings still suffer, and we still need to meditate in order to have insight into the nature of that suffering in order to work skillfully with suffering.
 

About half a year ago, I inadvertently became swept up in a major, government-funded experiment with a prominent researcher at a nearby university. The experiment is to test two types of meditation to see which increases positive emotions, such as joy, contentment, and happiness, more effectively. One group of subjects will be learning vipassana meditation, also known as insight or mindfulness meditation. The other group will be learning metta meditation, also known as lovingkindness or loving-friendliness meditation. Both meditations are traditionally practiced together, either in the same sitting session or as separate meditations within a retreat. They are both from the Theravada lineage of Buddhist practices of Sri Lanka, Thailand, Burma and elsewhere. The researcher needed two meditation teachers, and on the recommendation of a senior Buddhist teacher here in the United States asked me to teach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In the last few months, the researchers, me, the lovingkindness teacher, and the senior Buddhist teacher have been meeting to carefully plan how each group would be taught. The experiment will begin in 2012. The lead researcher, however, is not that familiar with meditation practice, and perhaps mistakenly believed that the senior Buddhist teacher was more expert in metta meditation than in vipassana. As such, she asked another meditation teacher, who happened to be the husband of the metta teacher, to join the team as a consultant. However, this consultant, who I’ll call Michael, is trained in a meditation style that combines Zen, metta, vipassana and hatha yoga used for reducing stress. And this is when the difficulty began.
 

In one of our early meetings, Michael helped me write up a script that would be used to lead subjects through a 20-minute vipassana meditation. This script will be recorded on a CD. I noticed that Michael kept inserting phrases such as “allow thoughts to flow through your awareness” and “aim for a state of relaxed and alert awareness.” Huh, I thought to myself, what is this awareness stuff? I went through meditation books by teachers from my lineage and hunted around online. According to one of the senior monks of the Thai forest tradition, choiceless awareness is for advanced meditators. This was the only reference to choiceless awareness I could find: as I thought, this is not a practice commonly taught in insight meditation centers, which is why I was not, shall we say, aware of it.
 

In our last meeting a week ago to finalize the meditation script, Michael continued to recommend inserting language about awareness, and I kept trying to delete or modify these phrases. Finally, I said to him, “Michael, this business about awareness comes from Zen, which the founder of your style of meditation draws from because of his time as a student with a Zen master.” He agreed, but he didn’t feel that it was problematic. The senior meditation teacher who was with us by phone, meanwhile, gently pointed out that a concentration practice such as focusing on the breath to the exclusion of other objects, was the best parallel meditation to metta, which itself is a concentration practice. However, the lead researcher was uncertain about the distinctions among concentration, mindfulness, and awareness and didn’t feel it was appropriate to decide herself.
 

I went home feeling frustrated and complained to a Buddhist friend. I said, “I don’t understand why Michael is so attached to awareness!” He said, “I don’t understand why you’re so attached to sticking to one style: it’s just meditation and what does it matter if there’s language about awareness in there?” I said, “Hey, basketball and tennis are both sports, but they are different sports and they require different teaching techniques. Just because you may be a great basketball teacher doesn’t mean you’ll know how to teach tennis. I know how to teach vipassana, and I can guide a student with regard to the specific issues that come up with vipassana. But I have never practiced awareness as an object of meditation nor would I know how to respond to questions about it.” My friend shrugged and accused me of being too narrow-minded. I said, “Of course, it’s true, different forms of meditation often take people to the same places: from a broader perspective, there’s no difference. But this is a scientific experiment that is trying to be as precise as possible, and as a result, small differences take on a larger significance.”
 

Part of my quandary was that Michael and I are part of the same Buddhist world here in Durham and I did not to alienate him over this issue. Besides, I like the guy personally, but this funny little issue was becoming a big thing between us. And, I didn’t want to compromise this researcher’s work by remaining silent about something I thought could, potentially, affect the results. To try to get around this dilemma, I scrapped the script that Michael and I wrote and found a recording by this senior teacher in which she leads a meditation for beginners. I transcribed the recording and submitted it to the group for review. Her version of a beginners meditation, on the breath, had no language about awareness.
 

Within hours of emailing this new script, Michael wrote back. His letter suggested adding, for example, “Regarding distractions or breath sensations, I might use an additional line here or there like ‘knowing you are feeling this sensation/distraction, and allowing it to pass through your awareness--like the clouds move across the sky.’” I restrained myself from writing back. The senior teacher responded by adding the word “awareness” in several places of little consequence, Michael deferred, and I remained silent.
 

I thought I would share this story with you because it shows how parts of this kind of research unfold, the interpersonal dynamics at play, and how doctrines and practices become important. Even as I’m on the inside of this, I like to step outside and reflect on the entire enterprise: even when it comes to teaching meditation, we human beings suffer!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