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법사회의 중 기억할 만한 순간들

기자명 법보신문

“서구 불자들 명상만 할뿐 자비실천엔 궁색”

 

▲토론을 하고 있는 서구불교법사회의.  데이비스(Jesse Jiryu Davis) 제공

 

 

어느 금요일 오후, 패널들은 ‘자각하는 사회’라는 주제에 대해 토론을 시작했다. 패널리스트 각자는 ‘마음챙김’ 명상법을 다양한 집단에 소개한 경험이 풍부했지만 그러한 경험과 그에 대한 짤막한 설명 외에는 더 넓은 통찰력과 의미를 발견하기엔 뭔가 부족해 보였다. 참가자의 의견 개진이 시작되자 나는 손을 번쩍 들었다. 첫 번째로 발언을 하게 된 것이다.


“‘자각하는 사회’는 이번 불교 법사 모임의 비전으로 제시된 것이 아닌가 합니다. 만약 그렇다면 우리는 뗏목을 피안(수단을 목적으로 오해)으로 잘못 알고 있지 않은가 의문이 듭니다. 오늘의 주제를 자비로운 사회, 현명한 사회, 참여 사회, 환경 친화적인 사회, 각성된 사회 혹은 다소 젊은이다운 이상주의일 수도 있겠지만 깨달은 사회 등으로 표현하는 것은 어떨까요?”


다른 주장들이 뒤를 이었지만 어느 누구도 나의 주장을 채택하지는 않았다. 패널들의 토론 이후 법사들은 4명 또는 5명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주제에 대해 토론했다. 내가 속한 소그룹 토론은 활발한 대화를 통해 두 가지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는 우리 서구불교 법사들은 단순히 소규모 수행 센터를 설립해서 명상 수행 그룹을 유지해나가는데 우리의 모든 에너지를 쏟아 붓고 있고 핍박 받는 사람들을 돕는 데에는 시간, 에너지, 돈을 거의 들이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그리하여 이런 종류의 봉사 활동을 이미 잘 수행하고 있는 사람들과 파트너 관계를 설정하는 새로운 모델에 대해 검토했다. 지역 교회 조직, 빈민 구제용 지역 식량 저장 배급소 등이 그 대상이다. 그 협력 관계는 그들의 전문적 지식과 그들에 대한 지원, 우리 명상 수행 공동체와 그 지역 공동체의 연결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 등에 기초했다. 둘째로, 개혁불교(개혁불교는 ‘불교의 현대화’의 의미임 : 역자 주)가 되려는 노력을 일단 중지하고 대신 그러한 봉사 활동을 하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명상 공간을 제공하자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명상 전통을 상실한 종교들에 대해 그들의 교회나 유대교 예배당, 사원 등에 명상 전통을 회복하는데 조심스럽게 조력할 수 있다. 타인을 위해 봉사하는 사람들이 좌절과 분노가 아니라 자비와 지혜의 자리에서 봉사를 하도록 돕고 그래서 그들이 봉사에 몰입하게 하는 것은 간접적인 도움이다. 비록 그렇더라도 그것 또한 사회 전체에 대한 봉사인 셈이다.


전신에 부처 문신한 서구인들


나는 식당으로 갔다. 그곳에서는 전문 수행자인 선배 여성그룹이 토론을 벌이고 있었다. 그들은 나를 불러 “내가 제시한 질문에 대해 직접적으로 검토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토론 주제는 ‘과연 우리는 수단과 목적을 혼동하고 있는가’, ‘마음챙김 수행프로그램에서 윤리의식을 가르치는 것이 부족한가’였다. 그 의미는 많은 비행을 자각된 상태에서 범할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많은 법사들은 ‘마음챙김’ 명상수행과 관련해 무엇을 해야 할 지에 대한 확신이 없는 것으로 보였다. 한편으로 생각하면 이것은 불교다운 방식이 아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통속적인 ‘마음챙김’ 명상수행에 참여한 많은 사람들은 불교센터에서 그들의 탐구를 이어 나가는 것으로 끝을 맺었고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불교명상센터의 새로운 회원이 되었다.


나의 방사로 돌아오는 길에 그 지방에 있는 폭포수에 수영하러 가려는 몇몇 젊은 동료들을 만났다. 우리는 급히 수영복을 챙겨 함께 출발했다. LA에 있는 ‘무명에서 깨어나기 센터’ (Against the Stream center) 소속의 몇몇 법사들이 합류했다. 그 센터는 펑크족 스타일의 젊은 사람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었다. 수영을 하는 동안 우리는 그들의 아름다운 전신 문신을 목격하게 되었다. 그런데 그것은 거의 전부가 부처, 보살, 법어 그리고 영적인 문양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금강 불교를 실천하는 나의 친구는 “부처상을 몸에 새기는 것은 자칫 성스러움을 모독하는 행위로 여겨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우리는 그들의 의도가 불법을 너무도 사랑한 나머지 그것이 그들의 피부 밖에 있지 않기를 바랐을 것이라는 점에 의견의 일치를 보았다.


때마침 몇몇 선배 법사들이 나타났는데 나는 그 중 한 법사와 오후 시간 내내 담소를 나누었다. 그 선배는 “나의 질문은 중요한 사고의 주제였다”고 말했다. 우리는 ‘카리스마의 일상화’(독일의 사회학자 막스 베버가 고안해낸 단어)에 대해, ‘불법이 일상화의 단계에 도달했는가’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불교가 서구인에게 매우 새로웠던 나의 부모 세대인 1970년대, “혼란과 오용을 개인적으로 경험했던 나로서는 현재 우리가 갖게 된 안정과 윤리의식에 대해 매우 감사하다”고 말했다. 또한 “서구불교 창시자들의 카리스마가 형성되고 있고 제도화를 통해 안정화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두 가지 점에서 지금이 불법의 일상화를 위한 최적기”라고 말했다. 하지만 불법이 지금으로부터 100년 또는 그 이상 동안 일상화되면 일종의 죽어 버린 상태가 되지는 않을까? 중국 본토 산사에서 특히 오대산 깊은 계곡에서 수행한 중국계 젊은 서구 법사 ‘비베카 첸’이 들려준 이야기를 전했다. 즉 중국의 깊은 산중에 있는 은둔 수행자들이 그 때가 되면 깨달음의 깊은 경지에 도달해 서구에서 불법을 다시금 점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나의 선배 법사는 또한 몽골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티베트 불교는 엄청난 손상으로 고통 받고 있지만 아마도 금강승 몽골불교는 전세계의 불법에 크나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피자 먹으면서 수행 주제 토론


우리는 피자를 먹으러 가서 곧바로 ‘가르치기’에 대한 토론에 빠져들었다. 직접 경험한 것만을 가르쳐야 하는가, 아니면 직접적으로 알지는 못해도 전통적인 진리로 받들어 온 것도 가르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됐다. ‘가르친다’는 것이 진실로 의미하는 것은 학생과 하나가 되어 학생으로 하여금 스스로 답을 찾도록 도와주는 것인지, 아니면 스승은 학생이 모르는 것을 알고 있고 그것을 단순히 가르치면 되는 것인지에 대해서도 토론을 벌였다.


저녁에는 일종의 ‘노 탤런트 쇼’ (No Talent Show 평범한 참가자들의 장기자랑 : 역자 주)를 진행하게 되었다. 하지만 그것은 제목과는 정반대로 결코 평범하지 않았다. 어떤 계기의 순간을 맞아 스님이 된 베트남 전쟁 참전 용사가 일종의 플루트 또는 리코더처럼 생긴 악기를 연주했는데 오싹하리만큼 감미롭고 아름다웠다. ‘다르마 펑크족’(Dharma Punx)의 젊은 추종자인 ‘파블로 다스’(Pablo Das)가 뒤를 이어 공연했다. 그는 내가 보기에는 ‘닐 영’ (Neil Young) 또는 ‘제임스 테일러’(James Taylor) 스타일로 수행과 이해에 대한 주제로 마음 깊이 우러나는, 매우 기교를 부리는 노래를 불렀다. (‘다르마 펑크족’은 노아 레빈(Noah Levine)이 인간의 생존에서 유래하는 공포와 혼란을 극복하고자 내면세계를 추구해 자비와 지혜, 관용 등 불교적 가치관에 도달하는 반체제 문화를 지향하는 집단을 지칭하여 만든 용어 : 역자 주)


‘웨스 니스커’(Wes Nisker)가 우주에 대한 과학적 발견과 원자물리학에 바탕을 두고 별에 관해 자신이 정립한 정형화된 코미디를 진행했다. 의미 있는 내용의 마무리가 압권이었다. 나는 이처럼 따라하기에도 매우 어려운 연기를 능가할 공연이 없을 것이라고 믿었다. 하지만 틱낫한 스님 종단의 다섯 출가자와 두 명의 재가 법사는 우리를 더욱 압도했다. 150명이 넘는 우리 청중들을 네 파트로 나누었다. 첫 파트는 “옴마니 반메 훔”을 염송했다. 둘째 파트는 “샬롬, 샨티”를, 셋째 파트는 “신은 위대하다”는 이슬람식 찬미의 아랍어인 “라 일 아하 일 알라후”를, 넷째 파트는 “지극히 높은 곳에서는 하느님께 영광”이라는 기독교 찬송을 합창했다. 
 

▲수미런던 지도법사

적절한 음조와 화성으로 다 함께 염송을 끝낸 뒤 우리는 지붕을 날려버릴 일(?)을 했다. 인간, 길다란 법당의 끝자락에 자리한 부처님께서 승낙의 미소를 보내면서 그 모임을 증명했다.

 

수미런던 듀크 불교공동체 지도법사 simplysumi@gmail.com 

번역 백영일 위원 yipaik@wooribank.com



다음은 영문원고 전문.

 

Memorable Moments, Part 1


Friday afternoon’s panel opened with thoughts on the topic titled “The Mindful Society.” Although each of the panelists have a wealth of experience bringing mindfulness meditation to a range of communities unfortunately, aside from facts and short narratives, it was hard to gain a larger perspective or meaning. When it came time for audience comments, my hand shot up and I was the first to speak. I said, “My question is whether ‘The Mindful Society’ is being offered up as a vision for this gathering of Buddhist teachers, and if so, then I wonder whether we are mistaking the raft for the shore (mistaking means for ends). In that regard, what about the Compassionate Society, the Wise Society, the Engaged Society, the Environmental Society, the Awakened Society ? or, perhaps this is youthful idealism speaking here ? the Enlightened Society. Thank you.” Other comments followed, but none that took up this point.


After the panel, the teachers broke up into groups of four and five to reflect on the topic. Our small group discussion was a lively dialogue that produced two major thoughts. 1. That we Western Buddhist teachers are pouring all our energy simply into creating and maintaining our small centers and meditation groups, and we hardly have time, energy or money to help the downtrodden. We considered a new model, which would be to partner with those who are already doing this kind of service work so much better: a local Christian church, a community food bank, and so on. The partnership piggybacks on their expertise, giving them support and keeping our meditation community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2. That we could simply give up on trying to be Protestant Buddhists and instead hold the space of contemplation for those who are in service. That is, for those religions that have lost their contemplative lineage, we can bring that into their churches, Jewish synagogues, temples and so on, in a non?pushy way. While nourishing those who serve others by helping them work from a place of compassion and wisdom (rather than frustration or anger) is indirect, perhaps it still serves society as a whole just as well.


After this, I went to the dining hall where a group of senior women, a number of them monastics, were in discussion. They stopped me and told me that they were working directly with my question: are we confusing means with ends, and the lack of teaching ethics in mindfulness programs. That is, we can do lots of bad things mindfully. It appears that many Buddhist teachers are not sure what to make of the mindfulness meditation movement. On the one hand, it is not Buddhist. On the other hand, many who go to secular mindfulness meditation trainings end up continuing their journey in Buddhist centers, thereby supplying these Buddhist centers with new students.


On a trip back to my room, I ran into some younger folks who decided to go for a swim at a local waterfall. We grabbed our shorts and headed out. We were soon joined by several teachers from the Against the Stream center in Los Angeles, which draws young people from the punk scene. During the swim we got to see their beautiful, full?body tattoos, which consisted almost entirely of Buddhas, bodhisattvas, dharma words, and related spiritual symbols. One of my Vajrayana friends commented that some might consider it a bit sacrilegious to put images of the Buddha on the body, but between us we agreed that the intention was that these fellows so loved the dharma that they wanted it to be no further than their own skin.


Several senior teachers came along in time, too, and one of them and I ended up chatting about the afternoon. He said that the comment before was important to think about. We thought about the “routinization of charisma” (a term created by German sociologist Max Weber) and whether the dharma was in a stage of routinization. I said that personally, having gone through the chaos and abuses of the 1970s (my parents’ generation) when Buddhism wa so new to Westerners, I was grateful for the stability and ethics we have now, and that I thought it was the best time for the dharma because we have both the charisma of founders and the beginnings of the stabilizing effects of institutionalization. Would dharma, however, be so routinized 100 or more years from now that it would be kind of dead? I proposed that, as I learned from a young Western Chinese teacher Viveka Chen who practiced herself in the mountains of mainland China, in a canyon at Wu Tai Shan, the hermit monks in the mountains of China would, by then, have reached very deep levels of awakening and could reignite the flame of Dharma in the West. My senior friend also mentioned Mongolia: he felt the Buddhism of Tibet has suffered tremendous damage but that perhaps Mongolian Buddhism (Vajrayana) would bring great gifts to the Dharma on a global scale.


We headed out for pizza and soon fell into a discussion about teaching. This time, we asked the question of whether one should teach from direct experience or whether one can teach things you don’t know directly but that the tradition says is true. We also debated whether teaching really meant becoming an ally with a student to help her or him find their own answer, or whether it was possible a teacher knows things a student doesn’t and would simply, well, teach.


The evening offered a No Talent Show, which turned out to be exactly the opposite. A Vietnam War ? turned monk at one point ? veteran played a type of flute or recorder that I hadn’t seen before that was thrillingly soft and beautiful. This was followed by one of the Dharma Punx youngins Pablo Das who sang heartfelt and well?crafted songs about practice and understanding in what I would say was a kind of Neil Young or James Taylor style. The highlight was Wes Nisker doing a stellar comedy routine, based on scientific discoveries of the universe and atomic physics that ended with real meaning. I thought, nothing can top this, hard act to follow, but leave it to the five monks and nuns and two lay teachers from Thich Nhat Hanh’s order to blow us away. Our audience of 150+ divided into four parts: one chanted “Om mane padme hum”; another “Shalom, shanti”; a third the Arabic for the Islamic praise “God is great” which is La il aha il allahu; the fourth sang the Christian “Gloria in excelcis Deo.” Done together, with the right pitches and harmonies, we blew off the roof, MAN! The Buddha at the end of the long sanctuary presided with a smile of approval.


But the fun didn’t stop there. A young teacher Mark Coleman DJ’d dancing with cross generational music. Young and old and all between, about 50 of us, all got groovy, sweaty, and happy for over an hour of non-stop dancing. Happy to see some of the very senior teachers dance away (one roshi is 75 and apparently he didn’t stop until the thing ended?  I had gone to bed by then). I imagined them in their youth. But perhaps most wonderfully Ruth Denison, now 89? yes, that is eighty? nine? joined us for quite a long time. It is perhaps more remarkable if you know that she was in a wheelchair, with a broken shoulder (thus wearing a cast), and using a hearing aide. Still, she and various others got her wheelchair dancing and we joined her hands, whirling with her. At one point, she led a line of us around the floor, dancing and jiving. Even the nuns joined in. As someone observed, “Damn, Buddhists can DANCE!”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