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2. 일지두선(一指頭禪)

기자명 법보신문

구지선사가 손가락 하나 세운데서 유래
이 한 손가락은 진여자성과 불이를 뜻함

구지선사(俱胝禪師)는 누가 “무엇이 부처인가” 또는 ‘본래면목’에 대하여 물으면 한 손가락을 세워 보였다. 그의 한 손가락은 번뇌 망념을 차단하여 본연의 자기 모습, 그리고 불성을 보게 하는 손가락이다.


이와 같이 구지화상은 손가락 하나로 깨달음을 성취하고자 하는 수행자들을 지도했는데, 이것을 일지두선(一指頭禪)이라고 한다. ‘구지수지(俱胝竪指, 구지선사가 손가락을 세우다)’ ‘구지일지(俱胝一指, 구지선사의 한 손가락)’라고도 한다.


일지두선과 구지선사에 대해서는 선종사서(史書)인 ‘전등록’ 11권과 ‘벽암록’, ‘무문관’, ‘종용록’, ‘선문염송’(552칙) 등 이름 있는 공안집 대부분에 수록되어 있다. ‘전등록’과 원오극근의 ‘벽암록’ 19칙에 있는 평창을 바탕으로 그 전말을 소개하고자 한다.


구지화상이 처음 암자에 머물 때였다. 어느 날 실제(實際)라는 비구니가 암자에 이르러 곧바로 구지화상 처소에 와서는 삿갓도 벗지 않은 채 주장자를 흔들면서, 좌선하고 있는 선상(禪床)을 세 번 돌고 나서 말하였다. “무엇이 본래면목인지 한마디 일러보시오. 그러면 삿갓을 벗겠소.” 그렇게 세 번을 반복해도 구지화상은 한마디도 대답할 수가 없었다. 그러자 비구니는 그대로 가려고 했다. 이때 구지화상이 말했다. “이미 날이 어두웠는데 지금 어떻게 가겠소. 하룻밤 묵어가시지요.” 비구니가 다시 구지화상을 향하여 말했다. “한마디 일러보시오. 무엇이 본래면목인지? 그러면 묵어가겠소.” 그러나 구지화상은 여전히 한마디도 대답할 수가 없었다.


결국 비구니는 암자를 떠났는데, 비구니가 떠난 다음 구지화상이 말하였다. “내 비록 대장부 모양을 하고 있으나 장부의 기백이 전혀 없도다.” 이렇게 탄식하고는 제방 선원에 선지식을 참방하고자 암자를 떠나려했다. 그런데 그날 밤 산신이 꿈에 나타나서 말하였다. “절대 이 산을 떠나지 마시오. 머지않아 대보살이 와서 화상을 위하여 법을 설해주실 것이오.”


다음날 과연 천룡(天龍)선사가 암자에 이르자, 구지화상은 예를 갖추고는 전날의 일을 모두 이야기했다. 천룡(天龍)선사는 아무 말 없이 잠시 있더니 느닷없이 한 손가락을 세워서 구지에게 보였다. 그 순간 구지화상은 활연히 깨달았다. 그 후 구지선사는 수행자들이 도(道)를 물으러 찾아오면 오직 한 손가락을 들어 보였을 뿐, 다른 가르침은 없었다.


구지화상이 부재중일 때 사람들이 찾아와서 구지화상의 법에 대하여 물으면 시자(侍者)인 동자승은 얼른 한 손가락을 세워서 흉내를 내자 구지화상은 그 손가락을 잘라 버렸다고 한다. 입적에 즈음하여 구지화상은 대중들에게 “내가 천룡선사로부터 일지두선을 터득한 뒤로 일생동안 써도 다 쓰지 못했다”라는 말을 남기고 입적했다고 한다.


실제(實際)라는 비구니는 대단한 기백을 지녔다. 구지화상의 경지를 시험해보려고 짐짓 무례하게 삿갓도 벗지 않은 채 행동한 것인데, 선지(禪旨)가 없고는 불가능한 일이다. 그 경지와 기백은 시원찮은 비구도 엄두 못 낼 일이다. 두문불출, 쭈그리고 앉아서 본래면목에 대하여 참구했으므로 한마디 말해보라는 것이다. 이 사건 이후 일지두선은 중국 천하에 유명하게 되었다고 한다.

 

▲윤창화
이것이 일지두선의 스토리인데 구지화상의 손가락은 단순한 손가락이 아니다. 구지선사의 한 손가락(一指)은 진여자성, 곧 유마거사가 말하는 불이(不二)를 뜻한다. 하나(一)를 뜻하고, 무분별, 만법일여의 세계를 가리키는 손가락이다. 구지일지의 일지두선에 대하여 원오극근은 다음과 같이 평한다. “달마조사의 서래의(西來意)를 갚았네. 구지선사의 일지두(一指頭). 노대종사(老大宗師)가 손가락을 세웠네. 일평생 쓸 수 있는 가장 뛰어난 선풍이네”라고 극찬하였다.

 

윤창화 changhwa9@hanmaill.net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