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2. 분명한 앎(sampajana)

기자명 인경 스님

직접적 경험 통해 분명한 앎 생겨나

위빠사나 명상수행의 경전적 근거는 ‘염처경(念處經)’이다. 여기서 ‘염처’란 ‘알아차림의 확립(satipatthana)’으로 번역된다. 어원적으로 보면 ‘sati’는 ‘알아차림’으로 ‘patthana’는 ‘확립’에 해당된다.

‘patthana’는 ‘다가가다’는 의미의 ‘pa’와 장소를 의미하는 ‘sthana’가 결합된 말로, 어떤 장소[處]로 다가간다는 의미이다. 알아차림의 확립(念處)이란 일차적으로는 몸(身), 느낌(受), 마음(心), 현상(法)과 같은 대상을 ‘알아차리는’ 것이고, 이차적으로는 그 장소에 다가가서 ‘머물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아비담마 논서에서는 염처를 ‘알아차려서 머물다’는 의미로서 ‘염주(念住)’라고도 번역하기도 한다.

알아차림은 현재의 시점
직접경험으로 사물 이해
분명한 앎 결여된 상태선
순환적 관계 이루지 못해

그러면 그곳, 대상에 다가가서 어떻게 머물 것인가? ‘염처경’에서는 이것을 ‘열렬함’, ‘분명한 앎’, ‘알아차림’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그 결과로써 세상의 탐욕과 근심을 벗어난다고 설한다. 열렬함이란 정진에 대한 열정, 부지런함을 말한다. 분명함 앎은 무상, 고, 무아라는 세 가지 특성에 대한 올바른 통찰로서 집착을 방지한다. 알아차림은 현재의 순간에 깨어있음을 뜻한다. 현재에 직면하여, 과거의 흔적이나 미래의 바람에서 마음이 흔들리지 않게 한다. 이것이 위빠사나 명상수행의 핵심된 요소이다.

알아차림[念, sati]과 바른 이해로서 분명한 앎[知, sampajāna]을 정확하게 구별하는 일은 중요하다. 이들은 쌍둥이처럼 정념(正念)·정지(正知)함께 매우 자주 설하여지고 있다. 먼저 sati를 보면, 한역에서는 ‘현재에 마음을 두다’는 의미에서 ‘염(念)’이라고 번역을 했다. 사띠의 어원적 의미가 ‘잊지 않고 기억하다’는 범어 ‘smr.ti’와 동의어이다. 무엇인가를 ‘염두에 두다’는 용례에서 보듯이, ‘기억하다’의 염(念)이란 번역은 좋은 번역어라고 평가된다. 하지만 염이란 낱말은 일반적으로 ‘생각’이라는 분별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향이 많아, 사띠의 본래적인 의미를 온전하게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sati의 한글번역이 새롭게 이루어지고, 그 적절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삼빠잔나를 ‘알아차림’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잘못된 번역어이다. 이를테면 어깨에서 발생되는 느낌에 대한 자각은 알아차림의 영역에 속하지만, 그 느낌의 유형(즐거움, 혹은 괴로움)이나 변화(발생과 소멸)에 대한 앎은 올바른 이해(知)의 영역에 속한다. sampajāna에서 'saṁ'은 함께, 나중에, 이차적으로라는 접두어이고, 'pajňā'는 지혜를 의미하는 'paňňā'와 같은 어근으로서 대상의 전체적인 특성을 이해는 통찰을 의미한다. sati가 순간순간 변화되는 개별 사물을 포착하는 것이라면, 사물의 전체에 관여된 sampajāna는 반복적인 알아차림을 통해서 드러난, 고, 무상과 같은 사물의 본질에 대한 이해방식을 가리키는 낱말이다. 그래서 sampajāna는 ‘알아차림’이 아닌, ‘분명한 앎’이나 ‘바른 이해’로 번역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만약에 sampajāna를 ‘알아차림’으로 번역하면, 이 용어가 지니는 통찰이나 지혜라는 의미는 사라지고, 동물들의 단순한 알아차림과 다름이 없게 된다.

사띠와 삼빠잔나는 서로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이루면서 명상수행의 실질적인 길잡이가 된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열렬한 정진이 없으면 불가능한 점에서 부지런한 정진노력이 필수적인 에너지가 된다. 대부분 경전에서는 먼저 ‘알아차림(正念)’이 있고, 다음에 ‘분명한 앎(正知)’의 순서로 함께 묶어서 교설된다. 알아차림은 언제나 현재의 시점이며, 직접적인 경험을 의미한다. 이런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서 사물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 분명한 앎이 생겨난다. 반대로 대상에 대한 분명한 앎이 결여된 알아차림은 성립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많은 사람들이 있지만, 그 가운데 가족을 먼저 알아보는 것은 알아차림 이전에, 먼저 가족에 대한 분명한 앎이 있기에 가능하다. 이런 경우라면 ‘분명한 앎(正知)’이 있고, 그런 다음에 ‘올바른 알아차림(正念)’이 있다. 그래서 이들은 상호 보완적이고 순환적인 관계를 가진다.

인경 스님 명상상담 연구원장 khim56@hanmail.net
 

[1239호 / 2014년 4월 2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 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