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자들의 보시 기피 이유

기자명 남궁선

보시란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남을 도와주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보시행위는 인류 역사가 시작된 이래로 인간사회를 훈훈하게 만드는 선행으로 권장되어 왔다. 그러므로 보시는 선을 지향하는 모든 종교의 존재이유이다. 필자가 어느 날 교회 예배에 참석했을 때였다. 어느 신도가 헌금을 기탁하였다. 목사님은 그 신도가 헌금한 것을 기리면서 축복의 기도를 하였다. 감사헌금을 낸 이 사람에게 하나님의 축복이 많이 내리기를 기원하는 기도였다. 헌금을 낸 그 마음을 갸륵하게 여겨 집안을 번창하게 해주고 창고가 가득가득 채워지게 해달라는 내용이었다. 금방이라도 성금을 낸 사람에게 몇 십배 아니면 몇 백배의 복이 굴러들어오게 할 기세의 간절한 축원이었다. 절로 헌금을 더 많이 내고 싶게 만들고 있었다.

이와는 달리 불교에서는 신도의 보시를 드러내 놓고 칭찬을 하지 않는다. 불교에서 강조하는 교리 때문이다. 불교는 지혜와 자비(보시)를 두 날개로 삼는 종교다. 그처럼 불교에서도 보시는 물론 중요한 실천덕목이다. 이 가운데 어느 하나를 소홀히 한다면 불교의 생명력은 사라지고 말게 된다. 지혜는 내면적인 수행, 자비는 대외적인 실천 수행으로 완성될 수 있다. 실천수행인 자비행은 보시로 흔히 표현된다. 그래서 불교는 보시에 대하여 다양한 분류를 하고 있고 보시를 하는 그 마음가짐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불교에서는 보시를 했어도 보시했다는 생각을 일으키지 않는 무주상(無住相)보시를 강조한다. 또한 삼륜체공(三輪體空)이라 하여 주는 자도, 받는 자도, 오고간 물건도 모두 없다고 생각하라는 것이다. 그야말로 이상이 한 없이 높은 지고(至高)의 보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시 이야기는 양무제와 달마대사의 보시공덕에 대한 대화에서도 잘 나타난다. 수많은 절을 짓고 탑을 세우며 수없는 승려들의 수행을 도운 양무제가 자기의 공덕이 얼마나 되는지 묻자 아무런 공덕이 없다는 달마대사의 대답이었다. 과보를 염두에 둔 보시는 보시가 아니라는 유명한 일화이다. 이쯤 되면 보시를 하는 것이 자칫하면 공덕이 되기는커녕 죄가 되지 않을지 걱정이 앞서게 된다. 이러한 내용에 익숙한 불자들은 아까운 재물을 보시하고서도 잘못하면 상을 낸다는 핀잔을 들을까 두려운 생각이 들기도 하고, 자꾸 떠오르는 보시했다는 아상에 스스로를 자책하기도 한다. 그러다보니 불자들에게 보시는 감당하기 힘든 자비행으로 다가온다. 적어도 세속적인 가치를 척도의 기준으로 삼는 보통의 재가자에게는 그렇다. 그래서 그런지는 몰라도 불자들의 보시행은 활발하지 못하다. 불자들의 투자에 의해서 운영되는 교육기관이나 사회복지 시설의 현황이 이를 말해준다.

물론 종교는 높은 이상을 추구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을 무시한 채 이상만을 강조하다 보면 사회에 그 이상이 반영될 수 있는 실천은 멀어지게 된다. 기독교에서도 보시에 대한 높은 이상이 없는 것이 아니다.

‘왼손이 하는 일을 오른 손이 모르게 하라’는 높은 이상이 있다. 그러나 기독교는 불교에서 강조하는 무주상보시처럼 시주자들의 마음을 무겁게 만들지는 않는다.

불교기관에 종사하는 근무자들의 태도도 보시자들을 신명나게 만들지 않는다. 기증품을 받을 때면 그에 대한 고마움을 표시하면서 보시자들을 신바람 나게 만들어야 한다. 작은 보시물 하나에도 저절로 고마운 마음이 흘러나와야 한다. 보시하는 즐거움을 느끼도록 만들어야 한다. 보시의 공덕은 나중에 생각할 일이다. 부처님 당시의 불교에서는 보시에 합당한 과보와 공덕이 있다고 하였다. 복잡한 이론의 전개가 없었다. 대승불교에서처럼 보시에 복잡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이론이 복잡해지는 것이 진화이고 발전인지 곰곰이 생각해 볼 일이다. 부처님 당시의 불교가 그리워지는 것은 이상보다 현실이 더 가까이 있기 때문이다. 

남궁선 정형외과 전문의 namgung0302@naver.com
 

[1248호 / 2014년 6월 11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 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