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밝은 지혜 지닌 사람은 인과응보 분명해서 이전 득실 따지지 않아

그러므로 “만약 전세에 심은 종자를 알고자 한다면 금생에 받는 것이 그것이다. 만약 미래생의 열매를 알고자 한다면 금생에 짓는 것이 그것이다”라고 하였다. 세상 사람들은 자신의 지능과 재주와 기술을 믿으면서 공명과 부귀를 가져올 수 있다고 믿고 있으니, 공명과 부귀는 재주와 지능으로 가져올 수 있는 것이 아님을 전혀 알지 못하고 있다.

농부가 좋은밭 골라 갈고
때에 맞춰 씨를 뿌린 후에
가을에 하나의 씨앗에서
백배 수확하는 것과 같아

내가 전생에 선정을 닦은 것이 금생의 재주와 지혜를 만나서 그렇게 되는 것이니 얻었다고 해서 기뻐하는 사람은 미혹한 사람이다. 또 나에게 본래 있던 부귀와 공명이 다른 사람에 의해서 부서지면 그 사람을 미워하고 원망하면서 그 일을 엄청 한스럽게 여기는데, 나의 복량(福量)이 끌어안을 수 있는 것이 여기까지임을 아예 모르는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부서져버리는 것은 모두 나의 분수에 가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또 어떤 경우에 저 사람 때문에 잃은 것이 조금 있다고 하더라도 이것을 근심으로 여겨 돌이켜서 하늘을 원망하고 다른 사람을 탓하면서 원수를 맺어서 풀지 않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이를 통해서 공자님의 안명설(安命說)은 바로 우리 불교의 인과설(因果說)임을 알 수 있다. 만약 안명설을 안다면 빈부와 득실을 모두 전세에 정해진 것에 맡기게 된다. 모든 것이 내가 지은 것이라면 빈궁과 영달과 장수와 요절이 다 나의 명(命)이 본래 그러한 것이다. 만약 인과설을 분명하게 믿는다면 금생에 받아쓰고 있는 모든 것이 다 내가 전세에 닦아서 만들어 놓은 것이므로 원래 다른 사람이 나에게 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또 재주와 힘으로 어떻게 할 수도 없다.

재주와 지혜로 가져온 것이 있다 해도 나의 분수에 본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다면 또 무엇 때문에 득실을 비교해가면서 따지느라 마음과 생각을 수고롭게 하고 괴롭게 하면서 허망하게 거기에다가 은혜의 마음과 원망의 마음을 차곡차곡 쌓을 필요가 있으랴.

만약 밝은 지혜를 지닌 사람이라면 인과응보를 분명하게 믿어서 이전의 득실을 기어코 따지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금생의 현재 눈앞에 있는 것에 걸맞게 하여 이것으로 미래생의 복전에 씨앗을 심을 것이니 마치 세상의 농부가 좋은 밭을 골라서 깊이 갈아 김매기를 쉽게 하고 때에 맞춰 씨를 뿌린 다음 가을에 하나의 씨앗에서 열배 백배의 수확을 얻는 것과 같다. 이것은 아주 명백하고 분명한 것이다. 다만 씨를 뿌리는 밭이 비옥한지 척박한지에 따라 같지 않음이 있을 뿐이다.

부처님께서는 “불법승 삼보에 공양을 올리는 것이 뛰어난 복전[勝田]이고 부모님께 효도하면서 섬기는 것이 공경의 복전[敬田]이고 가난한 이를 구제하고 고통을 뽑아내주는 것이 마음의 복전[心田]이다”라고 하였다.

내가 바라는 것은 세상의 지혜로운 거사들이 이왕 지나간 득실을 따지지 않고 미래의 복전에 씨앗을 심는 것뿐이다. 진실로 과도하게 따지느라고 허비하는 무익한 짓을 줄이고 재물로 사치를 부리는 것과 몸과 입을 조절하여 세 가지 복전에 씨앗을 심는다면 미래생에 복덕으로 장엄하는 것이 증장될 뿐만 아니라 현세에 데리고 다니는 몸과 마음이 안락해져서 제일 가는 복인(福人)이 될 것이다.

만약 세 가지 복전에 복의 씨앗을 심고 나아가서 부처님 법에 마음을 쓴다면 염불을 통해 망상을 소멸시키고 자비의 마음으로 탐심과 진심을 전환시키고 유연하고 조화로운 자세로 사나운 이들을 교화시키고 겸허의 광명으로 아만을 꺾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한다면 이것이 바로 마음을 크게 낸 보살의 실천행이다. 거사께서 이것을 정말로 확신할 수 있다면 가장 뛰어나고 용맹한 대장부라고 불릴 것이다.

장효자에게 들려준 감로 이야기
내가 일찍이 방외(方外)의 책을 읽은 적이 있다.

박상준 고전연구실 ‘뿌리와 꽃’ 원장 kibasan@hanmail.net

[1291호 / 2015년 4월 22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