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4. 식-중

‘식’을 갖고 있는 것은 모두 사고능력 가져

▲ 일러스트=김주대 문인화가·시인

식물들 또한 여러 가지 식을 갖는다는 사실은 식물의 ‘인식능력’이나 ‘판단능력’에 대해, 결국 ‘사고능력’에 대해 쉽게 부정할 수 없음을 뜻한다. 동물적인 기원 속에서 생각하는 능력이란 판단하는 능력에서 기인하는 것이고, 판단한다는 것은 무엇보다 대상을 수용하는 눈이나 귀, 코 등의 식에 대해 적절한 반응의 방식을 찾는 것이기 때문이다. 식물뿐일까? 아메바나 박테리아 같은 이른바 ‘원생생물’ 또한 나름의 식을 갖고 있으며 인식능력을 갖고 있다고 해야 한다. 그게 없다면 살아남을 수 없었을 것이다. 살아 있는 모든 것은 자기 나름의 식을, 인식능력을 갖고 있는 것이다.

감각기관이 없는 동식물도
인간보다 뛰어난 능력 갖춰
사고능력은 다양한 식들이
종합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의식의 우열, 존재하지 않아

인식이나 지식을 다룰 때, 서양철학은 모두 인간의 인식을 다루었고, 이는 의식을 중심으로 통합된 하나의 ‘정신’이나 ‘영혼’이 갖는 사유능력을 다루는 것을 뜻했다. 눈과 귀 등의 감각기관을 통한 지각은 그러한 인식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만 다루어졌다. 의식을 특권화하는 이런 생각은 주로 그것을 통해 인식하고 사유하는 특정 동물(인간!)을 특권적 잣대로 삼는 것이다. 이는 의식적인 사고능력의 유무나 정도에 따라 생명체들 사이에 우열과 고저의 위계를 만들어 낸다. 그런 점에서 ‘인식’이란 개념은 ‘인간중심주의’의 또 다른 공모자였던 셈이다.

식의 개념은 6근 각각의 인식능력이나 그것이 얻은 식의 독자성을 사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인간중심주의를 벗어나서 인식의 문제를 다룰 수 있도록 해준다. 나아가 인간 아닌 생명체의 ‘인식능력’이나 그것으로 얻은 ‘식’에 대해 사유할 수 있게 해준다. 가령 흔히 말하는 6식은 가능한 식의 종류 전체가 아니다. 인간이 갖고 있기에 인간이 알 수 있는 종류의 식들일 뿐이다. 이와 다른 종류의 식이 있을 수 있음을 누가 부정할 수 있을까? 6식 안에서도 그렇다. 가령 눈으로 얻는 안식에 인간이 아는 것과 다른 종류의 안식이 있을 수 있음을 사유할 수 있다.

인간의 눈이 지각할 수 있는 빛이란 400나노미터~700나노미터의 파장을 갖는 가시광선뿐이다. 이는 인간이 갖고 있는 광수용체가 갖는 수용범위에 기인한다. 반면 방울뱀이나 보아뱀은 이보다 더 긴 파장을 갖는 적외선을 볼 수 있고, 개미나 박쥐, 벌, 새 등은 400나노미터보다 더 짧은 파장의 빛인 자외선을 볼 수 있다. 자외선을 보는 벌이나 새의 눈에 비친 제비꽃은 우리 눈에 비친 것과 같은 ‘식’일까? 그럴 리 없다. 빨간색을 지각하는 광수용체가 없는 눈에 비친 장미꽃이 그걸 갖고 있는 눈에 비친 장미꽃과 같을 리 없듯이. 인간의 눈에는 보잘 것 없고 소박하거나 초라하게 보이는 암컷 새들이 그 종의 수컷 새들에게는 매우 다르게 보일 거라는 것은 쉽게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필경 매우 매력적인 모습일 것이 틀림없다. 같은 새라고 하지만, 같은 새라고 할 수 없는 것이다. 안식이라 하지만 아주 다른 안식들이 있는 것이다.

인간들이 흔히 하듯이, 이 안식들에 대해 누가 더 좋은 안식을 가졌는지를 굳이 구별해 본다면 어떨까? 당연히 인간보다 더 넓은 범위의 빛을 포착하는 동물의 그것이 더 좋을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5개의 광수용체를 갖는 인간에 비해, 애기장대 풀처럼 11개의 광수용체를 갖는 식물이라면 말할 것도 없다. 그러나 애기장대 풀이 인간보다 더 좋은 인식능력을 갖고 있다고 말한다면, 대개는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그럴 수 있다. 좋은 안식이 있음이 좋은 인식능력을 갖고 있음을 뜻한다고 하긴 어려우니까. 그렇다면 인간들이 흔히 말하듯, 좋은 ‘의식’을 갖고 있음이 좋은 인식능력을 갖고 있음을 뜻한다고 할 수 있을까?

탁월한 시각적 감각(안식)을 가진 화가와 탁월한 계산능력을 가진 상인, 혹은 탁월한 논리적 추론능력을 가진 철학자 중 누가 더 탁월한 사고능력을 가졌다고 할 수 있을까? 여기서 우열과 위계를 매기려 한다면, 바보짓이 될 것이다. 다른 사고능력들을 가진 것이다. 마찬가지로 11개의 광수용체로 얻는 탁월한 안식을 가진 식물과 거기서 많이 딸리지만 의식이 발달한 인간 중 누가 더 우월한 인식능력을 가졌는가를 따지는 것도 바보짓이라고 해야 한다. 인식능력이라 하든, 사고능력이라 하든, 능력의 우월이 있다고 말하는 것보다는 능력의 다양성이 있다고 말하는 게 더 적절할 것이다.

사고능력은 특정한 하나의 식이 아니라 6식, 아니 그 이하의 다양한 식들이 모여 종합되는 과정이다. 정신이 사고하는 능력을 지칭한다면, 이는 다양한 식들이 종합되는 양상에 따라 다양한 ‘정신’이 존재할 수 있음을 함축한다. 그리고 이런 점에서 보면, 동물은 물론 식물에게도 ‘정신’이 없다고 할 수 없다. 식물뿐 아니라 식을 갖는 모든 것은 나름의 ‘정신’이 있는 것이다! 예전에 스피노자는 “모든 존재자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영혼을 갖고 있다”고 말한 적이 있지만, ‘정도의 차이’라는 말을 바꾸어 “모든 존재자는 양상의 차이는 있지만 영혼을 갖고 있다”고 하는 게 더 적절할 것이다. 식을 갖고 있는 모든 것은 양상의 차이는 있지만 정신을 갖고 있는 것이다. 세포적 인식능력에 대한 연구들은, 당시에는 그저 추측에 지나지 않았던 이런 생각이 충분히 설득력 있는 것임을 보여주는 것 같다. 의식을 특권화하지 않는 ‘식’의 개념은 존재자들의 평등성을 함축하는 이런 발상과 친연성을 갖는다.

그런데 정신의 손에서 벗어난 식의 개념이 세포들의 층위에서 멈출 이유는 없다. 지금의 과학은 최소한 분자적 수준으로까지 밀고 가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 같다. 가령 유전자들이 전사되고 그것으로 단백질을 합성하는 과정이 그렇다. 세포의 핵 안에 있는 수많은 유전자들, 그것은 아데닌(A)과 구아닌(G), 티민(T)/우라실(U), 시토신(C)이라는 네 개의 핵산분자들의 ‘인식능력’에 의해 작동한다. 아데닌은 구아닌과 다른 것을 ‘알아보고’ 구아닌과만 결합한다. 티민/우라실은 시토신과만 결합한다. 이로 인해 DNA의 핵산들은 RNA로 전사된다. RNA에 전사된 유전자들은 세 개씩 짝을 지어 하나의 코돈을 형성한다. 그리고 그 코돈들은 자신과 대응되는 아미노산을 ‘알아본다’. 가령 ACU는 트레오닌, AAU는 아스파라긴, AGU는 세린이란 아미노산을 알아보고 짝을 맞춘다. 그렇게 모인 아미노산들이 모여서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이처럼 짝이나 상대를 알아보고 결합하는 이런 능력 또한 ‘식’의 일종 아닐까? 분자적인 ‘인식능력’ 아닐까?

이진경 서울과학기술대 교수 solaris0@daum.net


[1311호 / 2015년 9월 23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