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7. 교리 통일돼 있는 테라와다 불교

기자명 김정빈

국경 넘는 진리로 통일 돼야

지난 주에 위기에 처한 대승불교를 위해 남방불교, 기독교를 비롯한 타종교, 인류의 역사 발전을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말했다. 그중 가장 먼저 테라와다인 남방불교를 살펴보기로 하자.

테라와다는 갇힌 진리 아닌
국경 넘어서는 보편적 진리
확고부동한 합의인 사성제로
한국 역시 미래불교 준비해야

테라와다 불교는 스리랑카, 태국, 미얀마를 중심으로 하는 불교이며, 라오스, 베트남(베트남 불교에는 대승불교도 신봉되고 있다) 등도 이 불교권에 속한다. 테라와다 불교의 중심 국가에서 불교는 국민의 80퍼센트 이상의 신자를 확보하고 있다. 더 놀라운 것은 태국과 미얀마에만 승려 수가 무려 60여 만 명에 이른다는 점, 왕국인 태국에서는 국왕이 승려에게 최상의 존경을 표하는 등 불교가 국민을 통합시키는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렇듯 테라와다 불교는 대승불교에 비해 훨씬 강력한 종교이다. 따라서 미래불교를 구상하기 위해서 우리는 테라와다 불교가 왜 대승불교보다 더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는지를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그 점을 잘 알아서 미래불교의 구상에 참조해야만 하는 것이다.

필자는 테라와다 불교가 대승불교보다 강력한 이유가 ① 통일된 교리, ② 현실성, ③ 명상 수행에 있다고 생각한다. 먼저 통일된 교리부터 살펴보자. 이를 위해 한국의 불교 지도자와 테라와다 불교 지도자를 각각 100명씩 모아 놓고 그분들에게 “불교가 무엇인지를 10분 이내에 말씀해주십시오”라고 부탁하는 경우를 상정해보기로 하자.

그 경우 한국의 불교 지도자들은 각기 다른 내용의 설법을 펼칠 것이 예상된다. 어떤 지도자는 ‘금강경’을 중심으로 하는 공(空) 사상이 불교의 핵심이라는 취지로 설법을 펼칠 것이다. 그에 반해 어떤 지도자는 ‘화엄경’을 중심으로 법계가 얼마나 정교하고 장엄하게 전개되는지를 중심으로 설법을 펼칠 것이며, 다른 어떤 지도자는 ‘열반경’을 이끌어와 중생이 본래 부처라는 취지의 설법을 펼치는 등 다종다양한 견해가 나오리라 예상되는 것이다.

심지어 어떤 지도자는 “설법은 불교의 본령을 벗어나는 행위이다. 불법의 진수는 언어로 설해질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는 당신의 제안에 응하지 않겠다” 또는 “악!”하고 소리를 지르거나 방망이를 탕탕 두드리는 것으로써 설법을 대신할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테라와다 불교의 경우는 어떨까. 그 경우는 대승불교와 정반대의 결과를 보일 것이다. 설법을 10분 이내로 짧게 해달라고 부탁할 경우, 나아가 한 시간에 걸쳐 해달라고 하는 경우에도 그분들은 한결같이 사성제를 중심으로 법을 설할 것이다. 테라와다 불교에서는 “불교는 사성제”라는 확고부동한 합의가 되어 있는 것이다.

이렇듯 서로 다른 두 불교의 특징은 불교인들을 하나로 통일하거나 하지 못하는 결과를 낳았다. 테라와다 불교인들은 사상적으로 잘 통일되어 있고, 그러다보니 큰 힘을 발휘하지만 대승불교인들은 사상적으로 흩어져 있고, 그 때문에 힘이 미약하다는 의미이다.

테라와다 불교의 교리의 통일성은 국가라는 경계까지도 넘어선다. 테라와다 불교에서는 스리랑카 불교, 태국 불교, 미얀마 불교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는다. 테라와다 불교에서 불교는 국가라는 경계에 갇히는 좁은 진리가 아니라,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는 보편적인 진리이다.

그와는 달리 우리나라 불교에서는 자신의 종파를 지칭할 때 불교의 종파명 앞에 ‘한국’이라든가 ‘대한’이라는 말을 붙이고 있다. 우리 불교에서는 자신의 종파를 ‘한국불교 ○○종’이라든가, ‘대한불교 ○○종’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자신의 종파를 ‘한국’이나 ‘대한’이라는 이름 뒤에 붙이는 것으로써 우리는 그 종파가 한국이라는 나라 안에 갇히는 사상을 펼치고 있다는 심증을 가질 수밖에 없다.

테라와다 불교는 한 국가에서 불교가 쇠멸하면 다른 국가에 가서 불교 승려가 되어 귀국하여 불교를 복원한 역사를 갖고 있다. 불교라는 보편적인 진리 앞에서 국가는 경계로써의 아무런 작동도 하지 못했던 것이다. 그리고 그 핵심에는 간결한 네 개념으로 교리를 합의한 통일성이 있다. 우리 불교는 이 점을 깊이 생각해 보아야하고, 미래불교는 이 점을 잘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김정빈 밝은불교신행원장 jeongbin22@hanmail.net
 

[1341호 / 2016년 4월 27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 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