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평상심이 곧 도라는 의미

기자명 법상 스님
  • 세심청심
  • 입력 2016.07.19 13:31
  • 수정 2016.07.19 13:32
  • 댓글 0

불교를 깨달음의 종교라고 하지만 정작 깨달음을 얻고 보면, 깨달음의 경계라는 것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그저 지금 이대로의 현재가 그대로 진실된 실상인 것이지, 지금 이대로가 아닌 더 성스럽다거나 더 위대한 그 어떤 별도의 깨달음의 세계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래서 ‘반야심경’에서는 ‘색즉시공’이라고 하여, 색이 그대로 공이지, 따로 공의 세계가 있는 것이 아님을 설하며, ‘무지역무득’이라고 하여 지혜도 없고 얻을 것도 없다고 설하고 있다. 또한 ‘이무소득고’라고 하여 이 법은 얻을 바가 없다고 설한다.

건강할 때는 평범하지만
아플 때는 건강이 소중해
정작 깨달음을 얻고 보면
특별한 경계가 따로 없어

예를 들어 보자. 우리가 건강할 때는 그저 하루하루를 멀쩡하게 그냥 살면 되는 것이지, 건강한 사람들이 매일 아침 일어나 건강한 자신을 보면서 신기해하고, 기뻐하는 것은 아니다. 그냥 하루하루를 건강한 몸을 가지고 그저 살 뿐이다. 이처럼 건강할 때는 건강하다는 상이 없다. 그러나 몸이 아픈 사람에게는 건강이라는 감사하고도 놀라운 경계가 따로 있다고 여겨져 건강을 찾는다. 즉, 아플 때, 문제가 생겼을 때는 건강이라는 경계가 따로 있는 것처럼 여겨지는 것이다.

불교도 이와 같다. 불교에서 깨달음이라는 것은 곧 건강한 상태, 아무런 문제가 없는 상태를 말한다. 지금 이대로의 현실이 아닌 깨달음의 세계, 진리의 세계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지금 이렇게 아무 일 없는 평범한 삶이야말로 그대로 진리인 것이다. 이처럼 깨달은 자는 이미 건강하기 때문에, 따로 건강한 상태, 깨달음의 상태라고 할 만한 무언가가 있다고 여기지 않는다. 그저 건강한 몸과 마음을 가지고 그저 하루하루를 건강하게, 평범하게 살 뿐이다. 그러나 문제가 생긴 사람, 병이 생긴 사람에게는 건강이 지상 최대의 목표가 된다. 그래서 의사는 병이 생긴 사람에게 빨리 나을 수 있도록 ‘건강’이라는 멸성제, 즉 병이 사라진 상태가 가능함을 보여준다. 그래서 아픈 사람은 건강이라는 멸성제를 만들어, 그것을 목표로 열심히 병을 치료하는 것이다. 즉 도성제를 실천하는 것이다.

깨달은 자에게는 병이 없으니, 즉 괴로움이 없으니, 고성제가 없고, 병의 원인을 구하거나, 병이 없는 건강한 이상세계를 꿈꿀 것도 없고, 병을 치료하는 방법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즉 고집멸도라는 사성제가 다 필요 없는 것이다. 이것이 ‘반야심경’의 ‘무고집멸도’의 의미다.

병든 자에게는 병이 나은 상태가 놀라운 환희의 순간일 것이다. 예를 들어 눈이 멀어 아무 것도 보지 못하던 사람이, 수술을 잘 마쳐서, 결국 멀쩡한 두 눈으로 세상을 볼 수 있다면 그는 엄청난 환희심을 느낄 것이다. 그것이 바로 견성(見性)이다. 성품을 보는 순간, 모든 문제가 해결되기 때문에 환희심과 깨달음의 체험 같은 것이 찾아온다. 그러나 실명된 사람이 처음에는 환희심으로 볼 수 있다는 사실에 기쁘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당연하게 느껴지듯, 견성의 체험도 처음 잠깐의 환희심은 있겠지만 그 환희심은 왔다가 가는 하나의 경계일 뿐, 도리어 그 이후의 평범하고 당연하게 아무 문제없이 하루하루를 사는 것이 진정한 깨달음의 삶이다. 심우도의 반본환원(返本還源)처럼, 그저 다시 본래의 자리로 되돌아왔을 뿐이다.

▲ 법상 스님
목탁소리 지도법사
깨달음을 깨달음 이전과 다른 특별한 경계로 여긴다면, 그것은 깨달음 이전과 이후를 둘로 나누는 분별심일 뿐이다. 그래서 불법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다만 병이 있는 사람을 위한 치료약, 즉 응병여약의 방편의 가르침이 있을 뿐이다. 병이 사라지면 저절로 병 없는 건강함이 드러나 현실에서 그저 평범하게 사는 것일 뿐이다. 평상심이 곧 도인 것이다.

 

 

 

 

[1352호 / 2016년 7월 20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 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