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흰 코끼리와 불교적 비판 방법

자신을 해치려는 사냥꾼에
흰 코끼리 모든 것 보시
삿대질 문화론 모두 불행

현대사회에서 논리적 사고는 으뜸의 가치로 간주된다. 그렇다고 이성과 논리가 늘 효용성이 큰 것은 아니다. 사람들이 합리적 사고의 결정체인 학술서보다 허구임을 뻔히 알면서도 소설을 읽는 이유이기도 하다. 다른 어떤 종교보다 합리적이라는 불교에서도 마찬가지다. “궁극적인 진리는 언어로 표현될 수 없다. 궁극적인 진리를 표현할 수 있는 언어가 있다면 신화의 언어가 가장 가까이 있다”는 어느 철학자의 말처럼 비현실적인 언어가 실상을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대장엄론경’과 ‘육도집경’ 등에 나오는 여섯 개의 상아를 가진 흰 코끼리 이야기도 그렇다.

인도의 비데하국 왕비가 어느 날 상아가 여섯인 흰 코끼리 꿈을 꾸었다. 그 상아가 너무 갖고 싶었던 왕비는 왕을 보채 나라 곳곳에 흰 코끼리를 발견하는 자에게 큰 상을 내리겠다는 방을 붙이도록 했다.

그런데 정말 히말라야 산 깊은 곳에는 여섯 개 상아를 가진 흰 코끼리가 살고 있었다. 성불하는 게 꿈이었던 흰 코끼리는 예전에 사냥꾼을 살려준 적이 있었다. 그 사냥꾼은 흰 코끼리의 상아를 가져가면 부자가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사냥꾼은 흰 코끼리가 수행자들을 지극히 공경함을 잘 알고 있었다. 가사를 걸치고 품에 독화살을 감춘 그는 산으로 들어가 흰 코끼리에게 접근했다. 흰 코끼리는 그가 자신을 죽이러 온 사냥꾼임을 알았지만 가사를 걸치고 있었기에 무릎을 꿇고 절을 했다. 사냥꾼은 그때를 놓칠세라 독화살을 쏘았다.

독화살에 맞은 흰 코끼리는 곧 자기가 죽을 것임을 예감했다. 이때 가사를 걸친 인간이 수행자가 아니라 사냥꾼임을 알아차린 다른 코끼리들이 달려들어 그를 죽이려 했다. 그러자 흰 코끼리는 사냥꾼을 품에 끌어안았다. 그리고 안전한 곳에 데려간 후 그가 상아를 탐내고 있음을 알고 스스로 상아를 큰 나무에 부딪혀 부러뜨린 후 건네주면서 말했다.

“내가 부처가 되면 제일 먼저 그대의 마음속에 들어 있는 탐냄과 성냄과 어리석음의 세 가지 독화살을 빼주겠노라.” 이 말과 함께 흰 코끼리는 스스로의 머리를 세게 부딪쳐 죽었다. 상아를 일부러 준 것처럼 자신이 독이 퍼져 죽으면 사냥꾼에게 살생의 업이 더 보태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

이 설화에는 불교의 세계관이 잘 드러난다. 사냥꾼은 살생과 거짓과 남의 것을 훔치려는 사악한 인물의 표본이다. 그럼에도 흰 코끼리는 피하지 않고 기꺼이 죽음을 맞이했다. 가사는 공덕을 쌓는 공덕의(功德衣)이고, 모든 속박으로부터 벗어나는 해탈의(解脫衣)이며, 세속을 벗어나는 출세복(出世服)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사냥꾼이 가사를 걸치고 있었던 것이다.

▲ 이재형 국장
최근 재가불자를 자칭하는 이들 사이에서 승단을 노골적으로 비판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한국불교는 변태불교” “조계종단은 약자들 등에 빨대 꽂는 집단” 등 비방한데 이어 일부 스님들을 빗대 “그들은 똥이고 자신은 똥을 치우고 있다”는 극단적인 주장을 폈다. 타인을 비방하는 언어는 스스로를 괴롭히고 천하게 만든다. 불교는 어떤 악에 대응하더라도 자신이 청정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종교성을 상실하게 된다.

불교적인 비판은 고성과 삿대질에 있지 않다. 흰 코끼리가 그리했듯 사람이 아닌 가사와 승단을 봐야 한다. 존중의 비판문화로 바뀌어야 교단도 불자도 당당해질 수 있다.

이재형 mitra@beopbo.com
 

[1361호 / 2016년 10월 5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 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