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넘은 승려대회 주장, 종권탈취 오해 부른다

2018-07-16     법보

‘조계종을 걱정하는 스님들의 모임(이하 조걱스)’이 전국승려대회 참석여부를 묻는 설문지를 전국 사찰에 무분별하게 발송했다. 전국승려대회 개최 주장도 설득력이 없는데 ‘전국선원수좌회’의 이름을 임의 도용했다는 보도는 충격적이다.

조계종 현대사에서 주목할 만한 승려대회는 1983, 1984, 1994년 세 차례 있었다. 1983년 8월6일 설악산 신흥사 주지 자리를 둘러싸고 칼부림이 벌어져 한 명이 죽는 사건이 발생했다. 급기야 9월5일 조계사에서 승려대회가 열렸고 ‘비상종단운영회의’가 출범하며 나름 종단변화를 꾀하는 종헌종법을 준비했다. 그러나 1984년 종헌개정안을 부정하는 종정 교시가 발표되며 급변했다. 조계사 승려대회에 반발한 세력은 그 해 9월1일 해인사 전국승려대회를 열어 비상종단이 통과시킨 종헌종법을 무력화시켰다. 서의현 총무원장의 3선 강행으로 촉발된 1994년 조계사 승려대회는 종단개혁을 이끌었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다.

종권에 매몰되지 않은 참신한 세력이 주축을 이뤘고, 그에 따른 재가불자들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세 번의 승려대회가 보여 주듯이 사부대중의 여론 향방에 따라 승려대회의 성공 여부가 판가름 난다.

간과해서는 안 될 건, 승려대회가 열리게 된 근본적 이유 중 하나가 완성도 높은 종헌종법에 의한 행정·사법·의결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사실이다. 1994 종단개혁 이후에도 중앙종회는 종헌종법을 위해 수차례에 걸쳐 개정해 왔고 현재도 진행 중이다.

총무원, 중앙종회를 향해 비판하고 논의해야 할 게 있다면 종헌종법이 규정하고 있는 테두리 안에서의 논의가 우선돼야 한다. 이를 외면한 채 초법적 승려대회만을 운운한다면 관점에 따라 종권탈취 의도로 해석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1448호 / 2018년 7월 18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