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0주년,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바꿔야

2015-08-17     법보신문

광복 70주년을 맞아 발표한 한국종교인평화회의의 대국민 메시지가 화제라고 한다. 화합과 상생의 새 시대를 열어가자는 게 주 내용인데, 한국사회의 현실을 정확하게 짚으며 정부를 향한 준엄한 일침도 있어 눈길이 간다.

정전협정은 평화협정으로 전환되어야 함을 강조한 평화회의는 그 중심에 남과 북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미국이나 중국, 일본 등의 주변국 정치역학에 따른 남북정책만을 고민하다 보면 평화와 통일은 요원할 것이라는 메시지다. 남북평화나 통일 문제를 다룰 때 잊지 말고 상기해 보아야 할 게 하나 있다. 우리는 진정 왜 서로 적이 되었는지, 누구를 위해 서로를 적국으로 삼고 있는지 자문해 보아야 한다. 시대적 성찰에 따른 반성과 참회가 있어야 한다. 그 반성과 참회의 토대 위에 평화와 통일의 기둥을 굳건하게 세워야 외세에 나라를 빼앗기는 굴욕을 또 다시 당하지 않는다.

교육, 사회, 문화 등 우리사회 전반에 걸친 개혁 촉구도 의미 있다. 상생의 가르침은 사라지고 무한경쟁만 다그치는 교육계에 평화회의는 ‘교육은 함께 살아가고자 하는 마음을 심는데 목적을 둬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렇다. 학교 교육이 결코 입시교육에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적어도 합리적인 사고를 갖고, 스스로 나름대로의 행복을 추구할 수 있는 사람을 길러낼 수 있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분명 우리의 청소년 교육은 역행하고 있다.

양극화 해결에 사실상 뒷짐 진 정부가 귀담아 들어야 할 대목이 있다. ‘다수의 경제수치는 심각한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고,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우리의 생존 자체가 위협받게 될 것’이라는 진단이다. 나아가 ‘경제개혁이 단순히 일자리 창출로 한정되는 것도 유감이지만 소득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들은 과거 실패한 정책의 답습인 것 같아 매우 안타깝다’며 전한 우려감도 새겨야 한다.

8.15 특별사면을 지켜보는 평화회의의 안쓰러움이 심금을 울린다. 모두가 정치경제인 사면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평화회의는 다른 곳으로 시선을 돌렸다. 우리사회가 보듬고 함께 울어야 할 사람들은 용산사태 관련자이며 쌍용차 해직노동자요, 밀양송전탑 관계자와 강정해군기지 건립 관련자, 그리고 세월호 참사 관련자들이라고 했다. 보수계층을 위한 현 정책기조를 바꾸라는 꾸짖음이다. 평화회의의 당부대로 우리는 성숙해져야 한다.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나눔의 문화’가 사회에 정착되어야 한다. 광복 70주년을 맞는 우리가 걸어야 할 상생의 길이다.

[1306호 / 2015년 8월 19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