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1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4. 개 - 하 4. 개 - 하 인도에서 개와 관련된 가장 유명한 이야기는 ‘마하바라타(Mahābharata)’에 등장하는 떠돌이 개의 이야기이다. 주인공 유디슈티라(Yudhiṣṭhira)는 쿠루왕조를 세우고 후손에게 나라를 물려준 후 천계(天界)에 이르는 길을 떠난다. 험한 여정 끝에 가족들은 모두 죽고 천계로 가는 마차에는 유디슈티라와 우연히 만난 떠돌이 개만이 오르게 된다. 천계의 신 인드라는 하늘에는 천한 개가 머물 곳은 없다고 하면서 개를 내리게 하지만 유디슈티라는 개를 버릴 수 없다며 자신도 마차에서 내린다. 이 이야기는 유디슈티라의 ‘동정심’이나 ‘자 연재 | 김진영 교수 | 2021-02-23 09:42 3. 개 - 중 3. 개 - 중 네팔과 북인도 일부에는 티하르(Tihar)라고 불리는 총 5일간의 빛의 축제가 있다. 축제 두 번째 날 ‘개들을 위한 공양제(供養祭)’인 쿠쿠르 푸자(Kukur pūjā)를 지낸다. 이날 모든 개들에게 금잔화 목걸이를 걸어주고, 이마에 제3의 눈인 티카(tikka)를 백단향으로 그려 축복해주며, 충분한 사료와 간식을 제공하면서 인간과의 돈독한 우정을 찬미한다. 이 축제를 통해 인간은 개들과의 친밀감과 깊은 유대감을 기리고, 그들의 충성심과 봉사에 감사하고 축하하게 된다. 인도에서 이런 특별한 기념일 외에도 개가 신성한 존재로 숭배 연재 | 김진영 교수 | 2021-02-01 16:48 2. 개 - 상 2. 개 - 상 반려동물(Companion animal)이라는 용어는 1983년 오스트리아 동물 행동학자이자 노벨상 수상자인 K.로렌츠가 ‘사랑스러워 구경하고 싶은 동물’을 뜻하는 애완동물(Pet Animal) 대신 ‘인간과 더불어 살아가는 동물’이라고 표현해야 한다며 제안한 말이다. 반려동물은 우리나라 국민 4명 중 1명이 키운다는 통계가 나올 정도로 보편화되는 추세이며, 핵가족화, 고령화, 전문화된 현대사회에서 인간과 정서적 공감을 나누는 반려문화로 정착되고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 중 우리에게 가장 친근하고 가족과 같은 동물로는 개(犬, kuk 연재 | 김진영 교수 | 2021-01-19 10:10 불교의 동물 얘기는 인간 위한 원천적 지혜 제공 불교의 동물 얘기는 인간 위한 원천적 지혜 제공 1975년 윤리철학자 피터 싱어가 동물권(animal rights)을 주장하면서 동물의 고통을 대하는 인간의 윤리적 태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촉발된다. 점차 동물의 지위가 ‘윤리적 고려의 대상’이며, 인간에게 ‘배려의 대상’으로 간주되기 시작하면서, 인류는 야생동물을 길들이거나 개량하여 사역에 이용하고 음식물로 섭취한 역사와 문화에 대한 윤리적 문제와 충돌하게 된다. 가축과 가금(家禽)은 오랜 역사를 거쳐 길들여진 동물로, 인간의 이익을 위해 갇히고 선택적으로 번식되면서 결국 인간에게 계속해서 돌봄을 받아야 하는 의존적 존재가 연재 | 김진영 | 2021-01-06 09:25 처음처음1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