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44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이도흠 교수의 詩로 읽는 불교] 44. 일상-충지의 ‘한중우서’ 〈끝〉 배고파 먹으매밥이 더욱 맛나고잠깨어 마시매차 맛이 새삼 달구나외떨어져문 두드리는 이 없나니기쁘구나!... [이도흠 교수의 詩로 읽는 불교]43.죽음-월명사의 ‘제망매가’ 죽고 사는 길은예 있으매 머뭇거리고나는 갑니다말도 못 이르고 가나닛고어느 가을날 이른 바람에이에 저... [이도흠 교수의 詩로 읽는 불교] 42. 선(禪)②황지우의 ‘게 눈 속의 연꽃’ ‘꽃 이름’에 갇힌 ‘실체’ 비판‘게’는 언어 떠난 수행자 상징 어디까지가 바다이고 어디까지가 땅... [이도흠 교수의 詩로 읽는 불교]41. 선(禪)①-경한의 ‘산에 머물며’ ‘줄 없는 거문고 가락’ 비유로‘언어 떠난 세계’ 시각적 묘사 산은 푸릇푸릇 물은 파르무레새는 재잘... [이도흠 교수의 시로 읽는 불교] 39. 깨달음3-김광림의 ‘산’ 시·공간의 교직으로서설 내린 암자 묘사眞俗不二 경지 표현 한여름에 들린가야산독경 소리오늘은철 늦은 ... [이도흠 교수의 詩로 읽는 불교]40. 중도-‘시계추’ 소멸로 치닫는 무의미한 반복?존재하지만 머물지 않는 원리! 이 눈이 녹고나면 길은 사라지는 것일까... [이도흠 교수의 시로 읽는 불교] 38. 깨달음②-야부 도천의‘금강경송’ 천 척 긴 실을 곧게 드리우니한 물결이 막 일더니 만 물결이 따라 이누나.밤은 고요하고 물은 차가와... [이도흠 교수의 시로 읽는 불교]37. 깨달음①-‘바쇼의 하이쿠’ 새에게 둥지가 이승의 집이라면 구름은 저승의 집이다. 시인은 구름 뒤로 사라지는 새를 보며 이승의 ... [이도흠 교수의 시로 읽는 불교]36. 마음(3)-‘내, 앞 산’ 산은 언제나 그대로 있는 듯 보이지만 그것은 마음이 만들어 낸 허상이다. 산이 혹시 변한 듯 보여... [이도흠 교수의 詩로 읽는 불교] 35. 마음②-‘혜성가’ 마음은 물질이나 육체까지도 포괄하는 개념이다. 그 마음을 어떻게 쓰는가에 따라 성과 속, 과거와 현... [이도흠 교수의 시로 읽는 불교] 34. 마음①-‘혜성가’ 승려 낭도 융천사, 혜성 ‘길쓸별’로 표현왜군 침략 헛소문에 동요된 민심 다독여마음이란 무엇일까. ... [이도흠 교수의 시로 읽는 불교] 33. 화엄②-‘헌화가’ “수로가 꽃을 따지 못한 채 발을 동동 구르고 있는‘붉은 바윗가’는 수로부인과 시종, 수로부인과 절... 처음처음1234다음다음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