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4. 비구승들의 서울 시내 시위행진

기자명 이병두

조계종 비구들 “불법에 대처승 없다”

▲ 1960년 11월19일 비구 측 스님과 신도들이 중앙청 앞을 시위행진하고 있다.

1960년 4·19혁명으로 12년에 걸친 이승만 독재가 무너지자, 불교계에서는 이승만의 이른바 ‘정화 유시’로 종권 싸움에서 강제로 밀려났다고 여기고 있던 대처 측의 움직임이 새로운 분규의 불씨를 피우고 있었다.

이승만 독재정권 무너지자
대처측 항소 등 법적 대응
비구측 500여명 시위행진
여섯 비구 등 할복도 시도

혁명 직후인 5월 초부터 이미 본격적인 갈등이 불거져 신문에 “불교계에 소동·대처승들이 [부산] 대각사 점거”(동아일보, 1960.5.1.), “정변계기로 불교계 싸움 재연. 대처승들이 반격·사찰 운영권 내놓으라고 폭행까지”(동아 5.3), “대처승철수를 호소·비구승, 계엄사에”(동아, 5.14.)와 같은 기사가 등장하였다. 이런 분위기가 몇 달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대처 측에서 서울지법에 비구 측의 종정·총무원장 등에 대한 ‘직무정지 가처분’ 신청을 내어 긴장을 고조시켰고, 앞서 ‘종헌 등 결의무효에 관한 판결’에서 패소했던 대처 측의 항소에 대한 11월24일 대법원 재심 판결을 앞두고 위기감이 커질 수밖에 없었던 비구 측은 전국승려대회 개최를 결정하였다.

위 사진은 대법원 판결을 닷새 앞둔 11월19일 비구 측의 결의를 내외에 천명하는 전국승려대회에 앞서 종로 안국동의 선학원에서 출발하여 서울시청 앞을 돌아 이제는 사라진 중앙청 앞을 행진하는 장면이다. “불법에 대처승 없다”고 쓴 펼침막 하나만을 앞세우고 있어서, 음향 장비를 갖춘 차량까지 동원되는 요즈음 시위와 비교하면 소박하게 보이지만 그들의 의지는 가볍지 않았을 것이다.

이날의 시위에는 스님들뿐 아니라 재가 신도들도 동참하였고, 이튿날인 20일에는 구례 화엄사의 도명(道明) 등 일부 스님들이 “비구는 피로써 순교한다” “대처승은 회개하고 물러가라. 우리는 정법 위해 순교한다” 등의 내용의 혈서를 쓰고 순교단(殉敎團) 조직을 결의하였으며, 23일부터는 500여 스님들이 조계사 대웅전에서 단식에 들어가면서 교계 안과 밖, 특히 사법부에 단호한 의지를 전하고 있었다.

이날의 시위와 전국승려대회를 주최한 비구 측의 비장함은 “종권소송의 승패 여하를 막론하고 청정승려가 사원에서 물러나거나 대처식육(帶妻食肉)하는 속인들이 사찰에 침입하는 것을 전적으로 거절한다” “사법부에서 정의를 무시하고 대처식육하는 속인들에게 한국불교의 주도권이 넘어가게 하는 불법오판이 있을 경우에는 전국 비구 비구니는 일제히 정의의 순교항쟁에 돌입한다” 등의 내용을 담은 결의문에서 잘 드러난다.

전국신도 대표들도 결의문을 내어 승려대회 결의를 전폭 지지하면서 “왜식대처승제(倭式帶妻僧制)를 전적으로 부인한다” “비승비속(非僧非俗)의 대처중(帶妻衆)이 처자부양의 목적으로 종권과 사찰재산의 쟁탈을 위한 갖은 음모를 철저히 분쇄한다” 등의 결의로 비구승단의 뜻에 함께 하였다.

효봉 스님의 제자로 출가 생활을 했던 시인 고은은 ‘순교자의 노래-제2차 전국승려대회를 지내며’라는 시를 써서 새 날이 오기를 기원하는 마음을 이렇게 담았다.

‘오 홀로 빛을 기다리듯/ 기다리는 어둠이여 이제 이곳에 새이라./ … 이 온몸 이미 여흰(여읜) 뒤안에라도 이내 그 빛을/ … 오 이제 이곳에 새이라 어둠이여/ 오 이제 이곳에 새이라 어둠이여.’

그러나 이런 마음과는 어긋나게 24일 대법원에서 서울고법의 비구 측 승소 판결을 뒤집고 서울고법에 환송한다고 판결하면서, 비구승 400여명이 제지를 무릅쓰고 대법원 청사에 들어가 항의하고 그중 월탄 스님 등 여섯 비구가 할복을 시도하는 등 사태는 더욱 걷잡을 수 없는 방향으로 이어졌다.

오늘의 조계종이 있기까지 이와 같은 난관이 숱하게 많았지만 그때마다 대중의 지원을 받은 명분은 “불법에 대처승 없다”는 이 한 마디로 간단했고, 그것은 아직도 유효하다.

이병두 종교평화연구원장 beneditto@hanmail.net
 

[1408호 / 2017년 9월 20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