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가 성불할 수 없는 건 망상과 집착 때문

중국 정공 스님의 '무량수경청화' 법문 ㉖

무아에 이르러야 그 마음 공평무사
선정 닦아도 깨달음 열리지 않으면
색계천 얻어도 삼계 벗어나지 못해
걸림없는 지혜로 일체법 이해하라

정공 스님은 세간의 언어는 의의가 없고 모두 쓸데없는 말이니 그 말에 집착하면 망상에 빠진다고 하셨다.
정공 스님은 세간의 언어는 의의가 없고 모두 쓸데없는 말이니 그 말에 집착하면 망상에 빠진다고 하셨다.

“극락세계보살은 일체 집착을 버리고 무량공덕을 성취한다(舍離一切執著 成就無量功德).”

집착에는 아집(我執)과 법집(法執) 두 가지가 있습니다. 집착은 바로 번뇌의 근원입니다. 부처님께서는 ‘화엄경’에서 일체중생은 “단지 망상집착으로 인해 증득할 수 없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가 성불할 수 없는 것은 망상 집착 때문입니다. 아집을 버려야 견사번뇌가 끊어집니다. 바꾸어 말하면 삼계윤회를 뛰어넘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언제나 내가 있고, 그가 있고, 당신이 있다고 말합니다. 이러한 관념이 존재하는 한 윤회를 벗어나지 못합니다. 어느 날 나와 당신과 그가 없다면 아라한과를 증득하여 삼계를 벗어납니다. 어느 날 당신이 나도 당신도 그도 없다고 말할 수 있으면 아집을 깨뜨린 것입니다. 사람은 반드시 무아(無我)에 이르러야 그 마음이 공평무사합니다. 아집이 있으면 사심이 없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무아라야 사심이 없습니다. 아라한을 증득하기 이전에는 모두 사심이 있습니다. 단지 집착하는 정도만 다를 뿐, 모두 사심이 있습니다.

공(功)은 공부이고, 덕(德)은 수확입니다. 덕은 과이고, 공은 인입니다. 공은 어떻게 닦아야 할까요? 부처님께서는 우리에게 세 가지 원칙, 즉 계정혜의 삼무루학(三無漏學)을 가르쳐주셨습니다. 계정혜에 따라 수학합니다. 예컨대 계를 지켜서 선정을 얻습니다. 여기서 계(戒)는 곧 공이고 선정은 덕입니다. 선정을 닦으면 깨달음이 열립니다. 여기서 선정은 공이고 깨달음은 덕입니다. 계를 지키는데 선정을 얻을 수 없으면 공은 있으나 덕이 없는 것입니다. 이 때 계는 복덕으로 변하여 내생에 인천의 복덕을 얻습니다. 선정을 닦았는데 깨달음이 열리지 않으면 그 과보로 색계천 무색계천을 얻지만 삼계를 벗어나지 못합니다.

“무량공덕”은 곧 성불입니다. 불과를 얻어 비로소 무량공덕을 구족합니다. 이는 우리들이 학불하는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어떻게 해야 무량공덕을 성취할 수 있습니까? 입체집착을 여의어야 합니다. 우리가 성취하지 못한 까닭은 집착을 내려놓지 못하였기 때문임을 알 수 있습니다. 세간법에 집착해서는 안 될 뿐만 아니라 출세간법도 집착해서는 안 됩니다. 일체망상 집착을 버려야 무량공덕을 성취할 수 있습니다.

만약 내려놓지 못하면 성취하였다 말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내려놓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이에 아미타부처님께서 다함없는 대자비심을 일으켜서 법계에 특별한 수학도량을 건립하여 이렇게 내려놓지 못한 사람도 성취할 수 있게 하셨습니다. 이는 진실로 불가사의합니다! 시방세계 제불도량은 반드시 세간 출세간법을 모두 내려놓아야 성취할 수 있지만, 오직 아미타부처님의 극락세계에서만 내려놓지 않아도 됩니다.

서방극락세계에 이르면 아미타부처님과 모든 상선인, 즉 모든 대보살께서 우리를 도와 일체 집착을 버리게 하니, 우리들은 비로소 무상보리를 증득할 수 있습니다.

“걸림 없는 지혜로써 일체 법의 여여한 진상을 철저히 이해한다(以無礙慧 解法如如).”

이는 법집을 깨뜨림입니다. 앞에서는 아집을 깨뜨리고, 여기서는 법집을 깨뜨립니다. 법집을 깨뜨려야 성불합니다. 우리의 표준을 최저로 내려도 등각보살입니다. 십지보살인 법운지보살은 법집을 깨뜨립니다. 법은 일체만법을 가리킵니다. 일체만법의 법상은 그 법성 그대로(如)이고, 법성은 그 법상 그대로(如)로 성상(性相)이 일여합니다. 두 개의 여(如) 자에서 하나는 성(性)에서 말한 것이고, 하나는 상(相)에서 말한 것으로 성상이 여여(如如)합니다.

이러한 설법은 여전히 매우 어려운 말입니다. 그래서 고덕께서는 금과 그릇의 비유를 드셨습니다. 금은 성을 비유한 것이고, 그릇은 상을 비유한 것입니다. 금으로 어떤 이는 팔찌를 만들고, 어떤 이는 목걸이, 어떤 이는 술잔, 어떤 이는 주발을 만듭니다. 모두 금이지만, 상은 같지 않습니다. 상은 천차만별이지만, 그 체는 같아서 모두 금으로 만듭니다. 그래서 금은 바로 그릇이고, 그릇은 바로 금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금과 그릇은 하나이지 둘이 아닙니다. 금으로써 그릇을 만들고, 그릇마다 모두 금임을 잘 알 수 있습니다.

이 비유를 통해 점차 부처님의 말씀을 잘 체득할 수 있습니다. 우주인생 삼라만상은 어디에서 왔습니까? 모두 자성이 변하여 나타난 것입니다. 성은 금으로 잘 비유되고, 삼라만상은 그릇으로 잘 비유됩니다. “성은 바로 상이고, 상은 바로 성이다. 성상은 일여이고, 둘이 아니다.” 이로써 명백히 압니다. 명백히 알면 마음에 대자재를 얻습니다. 어떻게 자재합니까? 일체만법에 더 이상 분별 집착하지 않습니다. 그는 만법이 평등하고 일여임을 잘 이해합니다. 이것이 바로 법집을 깨뜨린 대보살의 경계입니다.

“고집멸도 사성제의 교법을 잘 알아서 선교방편의 말씀으로 중생을 잘 교화한다(善知集滅 音聲方便).”

이는 언어 측면에서 말한 것으로 모든 말을 포괄합니다. 이는 일체중생의 사상견해를 명료하게 말합니다. ‘선지(善知)’에서 선(善)은 매우 미묘하다는 말입니다. 이는 공유불이(空有不二)를 뜻합니다. 유는 바로 공이고, 공은 바로 유입니다. 체에서 말하면 공이고, 상에서 말하면 유입니다. 성상이 이미 일여인 한 이와 사는 당연히 걸림이 없습니다. 이와 사에 걸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사와 사에도 걸림이 없습니다. 모든 일체 장애는 어디에서 생깁니까? 모두 망상집착에서 생깁니다. 일체 망상집착을 여의면 걸림이 없는 법계로 들어갑니다. 따라서 이러한 사리와 인과를 철저히 이해함을 ‘선지’라고 합니다.

“세간의 언어를 좋아하지 않고, 정론을 좋아한다(不欣世語 樂在正論).”

세간의 언어는 의의가 없고, 모두 쓸데없는 말입니다. 세간의 언어는 모두 감정에서 생기는 것으로 망상에 빠지게 합니다. 바꾸어 말하면 모두 업을 짓게 하니, 선한 말은 선업을 짓고 나쁜 말은 악업을 지어 모두 육도윤회의 업을 짓게 합니다.

보살은 세간의 언어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의 마음은 청정하여 세 간의 일체 즐거운 일과 세간 언어에 대해 인연에 따를 뿐 얽매이지 않습니다. 보살은 정론을 좋아합니다. 정론은 일체중생을 위한 경전강설과 설법입니다. 부처님께서 설하신 가르침은 모두 정론입니다. 정론은 요즘말로 우주인생의 실상입니다.

정법은 자성과 상응하고, 삿된 법은 자성과 어긋납니다. 이것이 절대적인 표준입니다. 이 점을 깨달아야 세존께서 49년 동안 설하신 법을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정법은 우리를 도와 미혹을 깨뜨리고 깨달음을 얻게 합니다.

허만항 번역가 mhdv@naver.com

 

[1466호 / 2018년 11월 28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