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 여기 또는 거기, 차안과 피안 ① - 동은 스님

기자명 동은 스님

“당신은 지금 행복을 밖에서만 구하고 있지 않나요”

유학길 원효 스님 해골 물에
일체유심조의 가르침 깨달아 
여기에 사는 중생 늘 고된 삶
거기 있는 행복위해 늘 애써
​​​​​​​
중생 삶은 늘 밖에서 찾으며
여긴 불행 거긴 행복 구분해
실상은 사람이 만들었을 뿐
차안과 피안 따로 있지 않아

그림=허재경
그림=허재경

봄이 오는 듯하더니 꽃샘추위가 매섭다. 남도에는 이미 봄꽃이 만발해서 상춘객들로 야단이다. 아직 여기까지 올라오지 못한 봄을 마중하러 바람도 쐴 겸 길을 나서볼까 하다가 “에이, 거기가 거기지 뭐”하는 마음으로 그만두었다. 그래도 아쉬운 마음이 들어 방문에 써 붙여둔 게송 한 자락으로 위안을 삼았다. 

“심춘막수향동거 서원한매이파설(尋春莫須向東去 西園寒梅已破雪)봄을 찾아 모름지기 동쪽을 향해 가지마라. 너의 집 서쪽 뜰에 이미 눈을 뚫고 매화가 피었다.” 

원효 스님이 의상 스님과 함께 중국으로 유학길에 나섰다. 가는 길에 날이 저물어 동굴 같은데서 하루를 묵게 되었다. 밤중에 목이 말라 주변을 더듬거리니 마침 머리맡에 물이 담긴 바가지가 있었다. 잘 되었다 싶어 물을 마셨는데 꿀맛이었다. 아침에 눈을 떴다가 깜짝 놀랐다. 간밤에 그렇게 맛있던 물이 해골바가지에 담긴 썩은 물이었던 것이다. 원효 스님은 뱃속에 있던 모든 것을 토해냈다. 그리고 그 순간 깨달았다. 간밤에 마신 맛있는 물과 아침에 본 해골바가지의 썩은 물이 둘이 아니라는 것을…. 

“심생즉종종법생(心生則種種法生)이라 마음이 일어나면 온갖 법이 생겨나고, 심멸즉감분불이(心滅則龕墳不二)이니 마음이 멸하면 가지가지의 법도 소멸한다. 삼계유심만법유식(三界唯心萬法唯識)이라 삼계가 오직 마음이요, 모든 현상이 오직 인식에 기초한다. 심외무법호용별구(心外無法胡用別求)이니 마음 밖에 아무 것도 없는데 따로 무엇을 구하겠는가.”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즉 마음이 모든 것을 지어낸다는 것을 깨달은 것이다. 원효 스님은 가던 발걸음을 돌려 신라로 돌아왔다. 그리고 평생을 차안(此岸)에서 피안(彼岸)을 노래하며 ‘여기’와 ‘거기’가 둘이 아니고 마음먹기에 달렸다는 것을 설하셨다. 

‘피안’은 저 언덕이라는 뜻이다. 저 언덕이란 이상을 이룬 땅, 완전한 소망이 이룩된 땅, 행복의 땅이다. 거기에 비해 ‘차안’은 고통과 번뇌가 가득한 땅, 여기 곧 우리네 범부들이 사는 세간이다. ‘여기’에 사는 중생들은 늘 고된 삶을 부지하며 ‘거기’에 있다는 행복을 얻기 위해 죽을 때까지 애를 쓴다. 그러나 그렇게 애를 써도 결국에는 다 이루지 못하고 거기로 간다. 어찌보면 우리네 인생 자체가 ‘여기’에서 ‘거기’로 지향하는 원을 세우고 하나씩 이루어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삼계개고 아당안지(三界皆苦 我當安之)’, 부처님의 탄생게 가운데 한 구절이다. “삼계가 다 괴로움에 빠져 있으니, 내 마땅히 이를 편안케 하리라”는 말씀이다. 이는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이루고 난 후 신통으로 한 번에 일체중생을 괴로움으로부터 구제하겠다는 뜻이 아니다. 부처님의 생명도 유한한 것, 모든 부처님이 생멸을 거듭해도 결코 변하지 않는 진리를 설해 괴로운 차안이 곧 피안인 것을 깨닫게 해 주겠다고 선언하신 것이다. 

행복은 누가 주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우리는 늘 그것을 밖으로부터 찾고 있다. 내가 지금 발 디디고 있는 ‘여기 차안’은 ‘불행’이라는 이름을 지어놓고 투덜거리고, 결코 갈 수 없는 ‘거기 피안’은 ‘행복’이라는 이름을 붙여놓고 허공 속에서 손을 허우적거리고 있는 것이다. 부처님께서도 “행복도 내가 만드는 것이고 불행도 내가 만드는 것이다. 진실로 그 행복과 불행은 다른 사람이 만드는 것 아니다”라고 가르치셨다. 한 생각 편안하면 극락이요 한 생각 괴로우면 지옥이다. 관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행복과 불행이 바뀌는 것이다. 

나는 여기 있고 너는 거기 있다. 인(因)은 여기에 있고 과(果)는 거기에 있다. 내가 지은 인(因)은 여기 차안(此岸)에 있고 내가 지은 과(果)는 거기 피안(彼岸)에 있다. 한 치의 오차도 없다. 한 생 열심히 살다가 안타깝게 생을 마감하여 저 세상으로 간 사람은, 숨 쉬고 살아있던 이생이 피안이고 숨 떠난 그 곳이 차안이다. 아파서 꼼짝 못하고 숨만 쉬고 있는 사람에게는, 고통스런 병실이 차안이고 사지 멀쩡하게 걸어 다니는 사람이 피안이다. 낮에는 무료급식소에서 끼니를 때우고 저녁에는 이슬 피할 곳 찾아다니는 사지 멀쩡한 노숙자에게는, 찬 길바닥이 차안이요 김이 모락모락 나는 밥 한 그릇과 따끈한 방이 피안이다. 따끈한 방에서 취업 준비하는 실직자에게는, 취직 빨리 안하냐며 잔소리 해대는 엄마가 차안이고 매일 출퇴근하는 직장인이 피안이다. 

매일 교통지옥에서 출퇴근하는 직장인은, 상사의 눈치에서 벗어날 길 없는 회사가 차안이고 아침에 느긋이 일어나 내 맘대로 경영을 할 수 있는 자영업자가 피안이다. 남들 볼 때 속편한 자영업자는 오늘 매출을 걱정해야 하는 가게가 차안이요 출근해서 내 일만 하면 월급이 꼬박꼬박 나오는 직장인이 피안이다. 추운데 살면서 난방비로 허덕이는 사람은, 지긋지긋한 겨울이 차안이요 불 안 때도 되는 열대지방 사람들이 피안이다. 뜨거운 태양으로 대지가 타들어가는 곳에 사는 사람들은, 물이 귀해 흙탕물을 걸러먹는 이곳이 차안이요 언제든지 맑은 물이 넘쳐나는 설산 계곡이 피안이다. 이제 그만하자. 이러다가 끝이 없겠다. 대충 생각나는 대로만 썼는데도 이 정도이니 작정하고 쓴다면 이박삼일 정도는 걸릴 것 같다. 

어느 선사가 봄을 찾아 온 산천을 헤매었지만 찾질 못하고 지친 몸으로 돌아 왔는데, 집 마당가에 이미 매화가 피어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네가 바로 부처인데 왜 그것을 모르고 먼 곳을 찾아가는가? 사랑도 행복도 너의 마음속에 있으니, 먼 곳에서 찾지 말라.” 

깨닫고 보니 그렇게 찾아 헤매던 부처가, 매일 나와 같이 먹고 자며 고락을 같이 하던 이 물건이 바로 그 물건이었던 것이다. 지난여름 천은사에서 법고불사 회향기념으로 시계를 만들었다. 시계 판 숫자를 대신해서 해인사 팔만대장경 법보전 주련 내용을 썼다. ‘원각도량하처 현금생사즉시(圓覺道場何處 現今生死卽是)’ 한글판은 ‘행복세상어디 지금이곳여기’로 했다. 생사즉열반(生死卽涅槃)이요, 번뇌즉보리(煩惱卽菩提)다. 차안이 곧 피안이요 여기가 바로 거기다. 차안과 피안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알고 보면 ‘피차일반(彼此一般)’이다.

동은 스님 삼척 천은사 주지 dosol33@hanmail.net

 

[1481호 / 2019년 3월 20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