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번뇌서 출발한 간절한 기도

기자명 이미령

일상 기도 보다 더 큰 효과

간혹 불자들 중에는 “기도하는데 무슨 효과를 바라고 하는가?”라든가, “나는 그저 내 마음을 평안하게 하려고 염불할 뿐인데…”, “한 생각 잘 지키면 부처님인데 아직도 뭘 그리 바라는 게 많은가?”라는 이도 많습니다.

하지만 우린 목적이 있어서 기도를 하고 염불을 하는 것입니다. 그 목적은 작게는 세속에서의 정당한 행복을 이루는 것이요, 나아가서는 부처님을 친견하는 것이고, 내 마음을 스스로 맑게 하는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내가 바로 부처가 되려는 것입니다. 불자가 마음에 지니는 이런 목적을 서원(誓願)이라고 달리 표현해봅시다. 마음의 번뇌를 씻고 무명을 제거하여 밝고 진실한 경지와 하나되는 일이 내 개인적인 서원이라면, 밖으로 눈을 돌려 이 모든 생명체가 나와 똑같은 경지를 얻기 원하는 것이 또 하나의 서원이 됩니다.

목적이 뚜렷하게 서있는 사람은 자신이 가야할 길을 잘 걸어갑니다. 간혹 흔들리거나 길을 잘못 들었다해도 목적이 분명하기에 이내 바로잡을 수 있습니다. 서원을 간절하게 마음에 품은 사람도 이와 똑같습니다. 아무런 바람도 없고 의욕도 없이 그저 맑은 경지만을 추구하며 사는 사람보다는 크고 작은 바람을 품고 열심히 그것을 이루려고 사는 사람이 더 불교적인 삶을 살아간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단, 그 바람이란 나와 남을 함께 이롭게 하는 올바른 것이어야 함은 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서원이 굳건하게 선 사람의 기도는 간절합니다. 불보살님을 생각하는 마음도 가을하늘처럼 맑고 용광로처럼 치열합니다. 항상 중생을 위해 달려올 자세가 되어있는 분을 향해 누군가가 간절하기 그지없는 마음으로 그 분을 떠올리고 생각한다면 이제 기도의 효과는 극대화됩니다. 중국 송나라 때 천태종의 지례(知禮) 스님은 바로 이런 경지를 감응도교(感應道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즉 간절히 부르는 자[能感]와 두말없이 따라주는 자[能應] 사이에 교감이 이루어진 것[道交]입니다.(좬관무량수불경소묘종초좭 권4)

주파수가 맞추어져야만 맑고 깨끗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법 아니겠습니까? 요즘 흔히 하는 말로 시너지효과를 본 것입니다. 이런 효과는 우리가 무난한 일상생활을 하는 때보다는 지독한 번뇌에 시달릴 때 더 빛을 봅니다.

좬보문품좭에서는 음욕과 분노와 어리석음이 치솟더라도 관세음보살을 지성으로 생각하면 그런 마음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적어도 자기 자신에게 삼독심이 자주 일어난다는 사실을 뼈저리게 느끼고 그런 번뇌를 여의려고 애쓰는 사람이 이에 해당합니다.

삼독(三毒)은 선근을 무너뜨리는 세 가지 번뇌를 말합니다. 얼마나 지독하게 위험한 녀석인지 독(毒)이라고까지 표현하고 있는데 아시다시피 욕심과 성냄과 어리석음을 말하고 있습니다.

먼저 욕심에 대하여 생각해보겠습니다.

욕심의 대상은 물건, 돈, 음식, 잠, 명예, 이성 등 매우 다양합니다. 좬보문품좭에서는 그중 특히 음욕을 말하고 있습니다. 이성에 대한 강렬한 욕구입니다. 저와 같은 재가불자의 경우라면 배우자가 아닌 다른 사람에 대해 음란한 마음을 품는 것이요, 출가수행자의 경우는 애욕(愛慾) 자체가 여기에 속합니다.

지금도 그렇겠지만 부처님 당시에는 이성에 대한 욕망이 너무나 커서 제 몸을 학대한다던가 혹은 이성의 유혹이 너무 강하여 수행에 애를 먹은 스님들이 많았습니다. 심오한 교리로 가득 찬 경전 사이에서 만나는 이런 일화들은 대번에 저의 호기심을 자극하며 끌어당깁니다. 이런 제가 좀 불경스러운가요? 그 가운데 인자하고 온화하며 집중력이 가장 뛰어났던 아난존자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이미령/동국역경원 역경위원

lmrcitta@hanmail.net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