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자 진정(眞定)과 그 어머니 - 9

기자명 법보신문

어머니 권유로 출가 … 의상 上首제자로 추앙

진정 출가는 어머니 구도심
아들 효성이 함께 빚은 감동 구도기


<사진설명>부석사 범종각 앞에서 꽃망울을 터트리고 있는 붉은 목련. (사진제공 = 한국불교연구원)

의상스님이 부석사에서 설법으로 사람을 이롭게 한다는 소문은 전국으로 퍼져 갔습니다. 이 소식을 듣고 누구보다도 마음으로 기뻐한 한 청년이 있었습니다. 그는 군대에 소속되어 있었고, 장가도 들지 못한 채 군대 복역의 여가에 품을 팔아 홀어머니를 봉양해야 할 정도로 가난했지만 그의 효성은 남달랐던 젊은이였습니다. 이 젊은이가 홀어머니와 이별하고 출가하는 장면을 『삼국유사』에는 다음과 같이 전해주고 있습니다.

아들이 어머니에게 고했습니다.

“효도를 마친 뒤에는 의상법사에게 의탁하여 머리를 깎고 불도를 배우고자 합니다.”

어머니가 말했습니다.

“불법은 만나기 어렵고 인생은 너무나 빠른데, 효도를 다 마친 후면 역시 늦지 않겠느냐? 어찌 내 생전에 네가 가서 불도를 알았다는 소식을 듣는 것만 같겠느냐? 주저하지 말고 속히 가는 것이 옳겠다.”

아들이 말했습니다.

“어머님 만년에 오직 제가 곁에 있을 뿐인데, 어찌 차마 어머님을 버리고 출가할 수 있겠습니까?”

어머니가 말했습니다.

“아, 나를 위하여 출가하지 못한다면 나를 지옥에 떨어지게 하는 것이다. 비록 생전에 온갖 풍성한 음식으로 봉양하더라도 어찌 효도라고 할 수 있겠느냐? 나는 남의 집 문간에서 빌어서 생활하더라도 또한 타고난 수명대로 살 수 있을 것이니, 꼭 나에게 효도를 하려거든 그런 말일랑 하지 마라.”

아들은 오랫동안 깊은 생각에 잠겼습니다. 그 어머니는 즉시 일어나 쌀자루를 거꾸로 터니 쌀이 일곱 되가 있었는데, 그 날로 밥을 다 짓고 말했습니다.

“네가 도중에 밥을 지어 먹으면서 가자면 더딜까 염려된다. 내 눈 앞에서 당장 그 하나를 먹고 나머지 여섯을 싸 가지고 빨리 떠나도록 하라.”

아들이 흐느껴 울면서 굳이 사양하며 말했습니다.

“어머님을 버리고 출가하는 것도 역시 사람의 자식으로 차마 하기 어려운 일인데, 하물며 며칠간의 양식까지 전부 싸 가지고 간다면 천지가 저를 무엇이라고 하겠습니까?”

이렇게 세 번 사양하고 세 번 권했습니다. 진정은 어머니의 그 뜻을 어기기 어려워 길을 떠나 밤낮으로 갔습니다. 3일 만에 태백산에 이르러 의상에게 의탁하여 머리를 깎고 제자가 되어 법명을 진정(眞定)이라고 했습니다.

진정이 어머니의 단호한 뜻을 어길 수 없어서, 그 날로 출가하는 장면은 참으로 감격적입니다. 어머니의 강렬한 구도심과 아들의 효성이 돋보이는 기록입니다. 진정은 부지런히 수행하고 화엄교학을 공부하여 의상의 십대제자에 포함되었습니다. 진정과 표훈 등 10여 명의 제자가 의상으로부터 『법계도』를 배울 때, 스승이 지은 사구게(四句偈)에 대하여 진정은 삼문(三門)을 지어서 해석하고 표훈은 오관(五觀)을 지어서 해석했다는 기록이 전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출가 3년 만에 진정은 어머니의 부고에 접했습니다. 그는 7일 동안 선정에 들어 어머니의 명복을 빌었습니다. 그리고 이 사실을 스승 의상에게 아뢰었습니다. 이에 의상은 진정 어머니의 명복을 빌기 위해서 『화엄경』을 강의했습니다. 의상은 제자를 거느리고 소백산의 추동(錐洞)으로 가서 풀을 엮어 초막을 짓고 90일 동안이나 『화엄경』을 강의했다고 합니다. 이 때 추동에는 3천명이나 모였다고 하지만, 이는 많은 제자들이 설법을 들었다는 의미이고, 실제의 숫자는 아닐 것입니다. 착실한 제자 지통(智通)이 스승의 강의 요지를 정리하여 두 권의 책을 만들어 이름을 『추동기(錐洞記)』라 하여 세상에 유통시켰다고도 합니다. 강의를 끝나자 그 어머니는 진정의 꿈에 나타나서 “나는 이미 하늘에 환생했다.”고 말했다고도 합니다.

이처럼 의상이 진정 어머니의 명복을 빌기 위해서 90일 동안이나 『화엄경』을 강의했던 것은 망설이는 아들을 책려하여 출가하도록 했던 그 어머니의 장한 뜻을 기리기 위한 것입니다. 이 법회는 무리 3천 명이 모였다고 할 정도로 성황리에 개최되었습니다. 의상은 제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화엄경』을 자주 강의했습니다. 태백산 대로방(大蘆房)에서의 강의와 부석사 40일회 등의 법회가 그 경우입니다. 90일에 걸친 추동법회는 40일회에 비해 두 배가 넘는 기간이 소요된 것이었습니다. 추동은 현재 풍기읍의 영전동으로 지금은 송곳골로 불리는 곳입니다. 이곳에는 19세기 중반까지도 영전사라는 절이 있었는데, 지금은 과수원으로 변했습니다.

의상의 제자들 중에는 스승의 강의 내용을 기록해 책으로 펴내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의상은 이런 경우에도 제자의 이름을 따라서 서명을 삼거나, 강의가 이루어진 장소에 의해 책 이름을 붙이기도 했을 뿐, 자신을 저자로 드러내지 않았습니다. 『도신장(道身章)』은 제자의 이름을 따른 경우이고, 『추동기』는 지명을 따른 것입니다. 『자체불관논(自體佛觀論)』이란 책도 의상의 강의를 어느 제자가 정리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의상은 자신이 지은 『화엄일승법계도』에 저자를 명기하지 않았습니다. 이것은 인연으로 생겨나는 일체 모든 것에는 주인이 따로 없다는 연기의 도리를 나타내기 위한 의도였다고 해명했습니다. 이 경우를 보면, 의상이 그의 강의 내용을 정리한 서명을 제자의 이름을 따라서 붙인 뜻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추동기』는 『화엄추동기(華嚴錐洞記)』, 『추혈기(錐穴記)』, 『추혈문답(錐洞問答)』, 『지통기(智通記)』, 『지통문답(智通問答)』 등 여러 이칭이 있었습니다. 여러 이칭 중에서도 『추동문답』, 『지통문답』 등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서명에 문답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음이 주목되는데, 이 책의 구성이 문답의 형식으로 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해주기 때문입니다. 사실 균여의 저서에 인용되어 전하는 『추동기』는 문답의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추동기』는 의상의 강의를 따라서 그 내용을 기록한 것이기에 문장이 잘 다듬어지지 않은 경우도 있고, 신라의 방언이 섞여 있기도 했습니다. 이 때문에 의천(義天)은 “당시 이 책을 엮은이가 문체에 익숙하지 못해서 문장이 촌스럽고, 방언이 섞여 있어서 장래에 군자가 마땅히 윤색을 가해야 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실제로 이장용(1201∼1272)은 이 책에 윤색을 가하여 『화엄추동기』라는 제목으로 유통시키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추동기』는 고려 후기까지 전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지만 그 이후의 유통 기록은 없습니다.

다만 균여의 저서와 『법계도기총수록』에 『추동기『가 15회 정도 인용되어 그 단편적인 일문이 전할 뿐입니다 (16매).

그런데 저는 몇 년 전에 『추동기』가 『화엄경문답』이라는 제목으로 일본에 전해오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일본에는 저자가 법장(法藏 ; 643-712)으로 명기된 『화엄경문답(華嚴經問答)』 2권이 고대로부터 전해오고 있습니다. 교넨(凝然 : 1240-1321)은 『화엄경문답』이 후인의 위작임을 강하게 주장했습니다. 이 책의 필격(筆格)이 극히 조잡하다는 것이 그 중요한 이유였습니다. 그러나 방영(芳英 ; 1764-1828)은 위작설을 부인하면서 『화엄경문답』의 문장이 고르지 못한 것은 법장의 여러 저술 중에서도 가장 먼저 쓰여 진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가마다 시게오(鎌田茂雄)는 방영의 이 설에 착안하여 『화엄경문답』의 인용서, 용어, 필격 등을 검토하여 역시 이 책을 법장의 초기 저작으로 보았습니다.

그런데 일본 학계에서 『화엄경문답』의 신라 성립설이 대두했습니다. 이시이 코세이(石井公成)는 『화엄경문답』을 문체와 인용의 측면에서 검토하여, 이 책은 법장의 저작이 아니라 의상의 문답을 제자가 기록한 것이라는 보다 분명한 견해를 제시했습니다.

그런데 『추동기』의 일문(逸文)은 『화엄경문답』과 거의 일치합니다. 『추동기』는 균여의 저술에 12회, 『법계도기총수록』에 3회, 모두 15차례 인용되어 전합니다. 저는 『추동기』의 일문 모두가 『화엄경문답』에 포함되어 있는 문장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화엄경문답』이 『추동기』의 이본(異本)이라는 사실은 확실하다고 하겠습니다. 의상이 『화엄경』을 강의한 내용의 165 문답이 그대로 수록된 『추동기』의 이본이 현존하고 있음은 다행스럽고도 반가운 일입니다.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