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임오년 동안거 결제 법어]

기자명 법보신문
  • 교계
  • 입력 2004.08.10 16:00
  • 댓글 0
영축총림 방장 월하 스님

'수행 심오한데 마음 밖서 부처 찾는구나'

'등에 진 무거운 짐 내려 버려라'



飢寒喫飯倦來眼

只比修行玄更玄

說興世人渾不信

御從心外覓金仙

배고프면 밥 먹고 피곤하면 잠자나니

다만 이 수행만이 묘하고 심오한데

아무리 말해주어도 세상 사람들 믿지 않고

모두 마음 밖을 행해 부처를 찾고 있도다.



오늘 임오년 동안거 결제일을 맞아 내 그대들에게 한마디 이르고자 한다. 할과 방으로 유명한 임제와 덕산은 바로 오줌싸개니 왜 그런가? 사람들로 하여금 한바탕 근심을 면치 못하게 했기 때문이다. 온 천하의 생령들이 모두 편히 쉬는데 무엇 때문에 굳이 어지러운 언설을 지었던가?



時會大衆(시회대중)은 다시한번 잘 들어라.

覓之求之(멱지구지)하면 難可得(난가득)이라. 千擔萬負(천담만부)를 都放下(도방하)하면 本來無事(본래무사)하여 如虛空(여허공)이라.

찾아보고 구하면 얻기 어려움이라. 등에 진 무거운 짐을 내려 버리면 본래 아무 일없이 허공과 같을 것이다.

四方天地虛豁豁

十方世界更何遺

虛空拍手 羅

石獅子樂舞不休

사방천지가 텅비어 트였거니

시방세계가 또 어디 남았는가

허공이 손뼉치며 라라라 노래하매

돌사자가 즐겁게 쉬지 않고 춤을 추도다.



덕숭총림 방장 원담 스님

'대중들 각자의 마음을 밝혀라'



夜月有輝澄巨浸 / 半夜琴傳萬壑泉

坦然心地元無物 / 一片身心水月間

밤 달은 광채가 있어 깊은 못 밝아지고/밤 중의 거문고는 모든 골의 개울소리를 전하네/평탄한 마음자리엔 원래 아무것도 없고/한 조각 身心은 물가에 어린 달 같네.



이것이 무슨 도리인고!

이 것은 달 밝은 소식이니라 오늘 이 자리에 모여 있는 대중들 각자의 마음을 밝히는 소식이니라.

만공 조실 스님께서 금강산 마하연에 계실 때에 한 衲子(납자)가 스님에게 묻되 '천하에 살인하기를 좋아하는 자가 있으니 그게 누구입니까?'하니.

스님께서 대답하기를 '오늘 여기서 보았노라.'하였다. 衲子가 다시 이르되, '화상의 머리를 취하고 싶사온데 허락하시겠습니까?'하자, 이에 스님께서 목을 길게 빼어 내미니 衲子가 문득 예배드렸다.

다음은 스님께서 도로 묻되 '帝釋天王(제석천왕)이 풀 한 줄기를 땅에 꽂고 부처님께 여쭙기를 범찰을 이미 지어 마쳤습니다 하매, 세존께서 미소를 지었다고 하니 그 뜻이 무엇이겠는가?' 衲子가 말하되, '스님은 절 짓기를 좋아하신다 하더니 과연 그 말씀이 옳습니다.'하니 이에 스님은 웃어버렸다.

오늘 여기에 모여 있는 대중들은 일러라.

그 뜻은 무엇이겠는가?



萬里平田無寸草 / 淸風那更借休憩

一片之地建草庵 / 是速殿速敗之地

만리 평지에 한 치의 풀도 없어/맑은 바람 어찌 다시 쉬어가리/한 조각 땅 위에 초암을 세우니 /이에 속전속패의 땅이네.



조계총림 방장 보성 스님

'납월 팔일까지 생사 해결 마쳐야'



夢跨飛 上碧虛

始知身世 一 廬

歸來錯認 邯鄲道

山鳥一聲春雨餘

꿈에 난조를 타고 푸른 하늘에 오르니

비로소 몸과 세상이 한 주막임을 알았도다

돌아와 감단의 길인 줄 잘못 알고 보니

산새의 울음소리에 봄비오는 여운이라



東坡居士(동파거사)는

廬山烟雨浙江潮 / 千般未到恨不消

到得還來無別事 / 廬山烟雨浙江潮

여산에 안개비와 절강에 조수를

한번 가 보고저 얼마나 별렸든고

가서 보니 오히려 별것 아닐세

여산에 안개비요 절강에 조수일세



春雨餘(춘우여)와 浙江潮(절강조)가 同耶 不同耶(동야 부동야)아

擧頭望明月(거두망명월)하고 垂頭想故鄕(수두상고향)이로다

춘우여와 절강조가 같은가 같지 않은가

머리를 들어 밝은 달을 바라보고

머리를 숙여 고향을 생각하네



금일 결제대중은 늦어도 今年臘月(금년납월) 팔일까지는 일대사를 해 마치겠다고 굳게 맹서하고 열심히 공부하소

공부해서 견처가 생기거든 선지식을 찾아 呈機請益(정기청익)하거나 조사어록을 살펴서 철저히 점검해야하오

古人의 말씀에 威音王佛以后(위음왕불이후)에 無師 自悟者(무사 자오자)는 天然外道(천연외도)라고 했으니 명심하고 또 명심해서 그르치지 않기를 바라오.



태고총림 지허 스님

'말과 행동에 구속받지 말라'



龍潭崇信禪師가 어느 날 天皇禪師에게 물었다.

'제가 여기에 온 이래 아직껏 한번도 心要를 가르쳐 주지 않았습니다. 선사께서는 왜 저에게 가르쳐 주시지 않으십니까?'

天皇禪師가 답하기를

'나는 그대에게 心要를 일러주지 않은 적이 없었다.'

龍潭禪師가 묻기를

'어디가 일러주신 경지입니까?'

天皇禪師가 대답하기를

'그대가 차를 가져오면 내가 마셨고 그대가 밥을 가져오면 내가 먹었고 그대가 인사를 하면 내가 손을 흔들었다. 어디가 心要를 보여주지 않은 곳인가?' 龍潭이 우두커니 서서 생각하는 동안에 天皇禪師가 '보려면 당장 볼 것이요 망설이면 어긋 나니라'하자

龍潭禪師가 바로 깨달았다. 그리고는 다시 묻되 '어떻게 保任합니까?'

'말과 행동에 구속 받지 말아라. 다만 보통사람의 망령된 마음을 다 할지언정 별달리 성현의 견해가 다르지 않는 것이다'하였다.

龍潭崇信선사는 德山宣監禪師의 스승이요, 天皇道悟禪師는 石頭希遷의 제자입니다.



옛말에 선무당이 장구 나무란다는 말이 있습니다. 서투른 무당이 재주가 모자란 것을 스스로 알지 못하고 장구가 좋지 않다고 탓한다는 말입니다. 장구만 탓하면 다행입니다. 장구에 따른 모든 것을 하나하나 따져 탓만 합니다. 말로만 탓하는 것이 아니라 탓하는 사람의 탓이 모여 諸佛祖師를 욕되게 합니다.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