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발원문 제대로 쓰려면

  • 수행
  • 입력 2004.08.10 16:00
  • 댓글 0

"…해 주세요" NO! "…하겠습니다" OK!

부처님오신날, 출가절, 백중 등 각종 법회는 물론이며 수련회와 일상적인 기도에서까지 빠지지 않고 반드시 등장하는 것이 바로 발원문. 결혼, 생일, 출산, 개업 등 일상적인 행사도 불교식으로 진행한다면 반드시 발원문 낭송의 식순이 있다.

발원문은 삶의 방향과 태도를 스스로 결정하고 결정에 대한 실행 의지를 천명하는 글이다. 그러기에 발원문을 쓴다는 것은 자신의 삶을 운명적으로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스스로 원하는 방향으로 자신의 삶을 이끌어 나가겠다는 적극적인 태도이기도 하다. 수행자였던 법장 비구가 아미타불이 될 수 있었던 것도 "일체 중생을 모두 지옥에서 건지겠다"는 원을 세웠기 때문일 만큼 불자에게 발원은 중요하다.



'업생(業生)' 벗는 첫 단추

역사적으로 이름을 남긴 고승 선사들의 발원문을 살펴보면 깨달음을 이루려는 치열한 구도 정신과 중생을 제도하려는 애틋한 마음이 잘 나타나 있다. 이처럼 발원문은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삶의 모습과 방향을 확고히 드러내는 것이 우선이다.

최근 『발원문선집』을 출간한 덕진 정토불교대학 학장 스님은 "발원은 자신의 업장을 소멸하고 탐진치 삼독심에서 벗어나고자 끊임없이 노력하겠다는 다짐이라는 점에서 욕심과 다르다"며 "욕심이 본능적인 욕망인데 비해 발원은 결과에 집착하지 않고 그 실행 과정을 중요하게 여긴다"고 말했다.



생일-입학 등에 생활화

'끊임없는 노력으로 원하는 바를 기필코 이루고야 말겠다'는 의지가 잘 표현될 수록 잘된 발원문인 이유도 여기에 있다. "화목한 가정을 이루도록 해주십시오"라는 의존적 태도 보다는 "화목한 가정을 이루도록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라는 의지를 굳게 나타내는 것이 발원문의 목적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가장 대표적인 발원문의 하나가 바로 '사홍서원'. 보살의 삶을 이루기 위해 행해야 할 기본적인 삶의 모습을 담고 있는 것이 바로 사홍서원이다. 이 사홍서원이 "중생을 다 건지오리다" "번뇌를 다 끊으오리다"라는 결심으로 표현된 것 역시 이러한 의미이다. "중생을 건져주소서"나 "번뇌를 끊어주소서"라는 의존적인 태도는 참다운 불자의 모습일 수 없기 때문이다.



바른 자녀 교육에도 효과

발원문을 쓰는 시기는 정해져 있지 않다. 생일, 결혼, 출산 등 각종 기념일은 물론 문병, 개업, 조문 등에서도 발원문을 쓰는 것이 좋다. 아픈 사람의 쾌차를 위해, 사업의 번창을 돕기 위해, 돌아가신 분의 극락왕생을 위해 "나는 이러한 자세로 살아가겠다"는 의지를 생긴다면 언제라도 발원문을 쓸 수 있다.

옛 발원문들은 음률에 맞춰 쓰거나 문어체의 표현으로 쓰는 경우가 많았지만 형식에 얽매여 쓸 필요는 없다.

특히 최근에는 어린이 지도 방법의 하나로도 발원문을 쓰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고 있어 발원문 쓰기가 더욱 보편화되고 있다.



좋은 발원문 보기



아침 발원문

영원한 광명이신 석가모니 부처님!

제 마음 속 더러움을 샘물처럼 맑게 하며 제 마음 속 어두움을 햇살처럼 밝게 하여 제 마음 속 쌓인 업장을 허공처럼 비워 주소서. 이 아침 발원하오니 변하지 않고 진실하며, 선한고 깨끗한 본래 마음으로 돌아가겠나이다. 모두를 용서하는 자비의 마음으로 슬기로운 하루, 감사하는 하루, 기쁨의 하루가 되도록 살겠나이다.

나무 석가모니불 나무석가모니불 나무시아본사 석가모니불.





남북공동발원문

남과 북의 모든 사찰들에서 '6.15공동선언발표 2돌 기념 조국통일기원 남북불교도 동시법회'를 열고 이 땅위에 현세의 지상정토, 번영하는 통일조국을 앞당겨오려는 하나의 서원을 담아 삼가 부처님 전에 발원합니다.

자비하신 부처님, 우리들은 세상이 어떻게 변한다해도 나라의 통일문제를 우리 민족끼리 힘을 합쳐 자주적으로 해결해 나가기로 한 공동선언의 기본 정신을 법등명으로 삼아 철저히 고수하고 이행해 나가겠습니다. 우리는 헤어져서는 살수 없는 하나의 겨레이고 통일된 조국을 위해 불법(佛法)도 함께 펴나가야 할 형제들입니다.

우리들은 공동선언 발표 2돌이 되는 뜻깊은 이날 다시금 공동선언 실천행에 더욱 용맹정진할 서원을 굳게 세우고 있습니다. 대자대비하신 부처님께서 통일에로 힘차게 나아가려는 우리들의 앞길에 언제나 무량한 가호를 내려 주실 것을 간절히 기원합니다.

나무 석가모니불 나무석가모니불 나무시아본사 석가모니불.



남수연 기자
namsy@beopbo.com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