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독-탐욕 ①

기자명 법보신문

삼독은 행복한 삶 방해하는 가장 큰 걸림돌
깨달음의 길은 세 가지 독성 정화하는 과정

탐욕은 우리가 진정한 행복, 만족, 웰빙의 삶을 살아가는데 가장 큰 걸림돌인 세 가지(三毒) 독성(탐욕, 분노, 어리석음) 가운데 하나다. 또 모든 악, 고통의 근본이 되고 깨달음을 얻는데 가장 큰 장애물이다. 그러므로 깨달음의 과정은 바로 이 세 가지 독성이 정화되어가는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불교의 무수한 수행들은 궁극적으로는 모두가 이 삼독으로부터 자유롭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의 행복과 웰빙을 장애하는 삼독에 대한 가르침들을 우리는 불교의 아주 기초적인 교리로 취급하고 그냥 쉽게 언급하고 지나가는 경향이 있다. 특히 우리는 은연중에 탐욕에 대해서는 누구나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다른 불교교리에 비해서 쉽고 단순하다고 생각한다. 그 결과 우리들 대부분은 탐욕에 대해서 깊이 있게 생각하고, 연구하고, 명상하면서 실제 삶속에 적용하고 실천하는 방법들을 배우는 기회를 가지지 못한다.


어떤 스승들은 제자가 탐욕이 왜 발생하며, 어떻게 해롭고 나쁘냐고 물으면 당연한 것을 왜 질문하느냐는 반응을 보일지 모른다. 더 무지한 스승은 그냥 그런 줄 알면 되지, 왜 따지느냐고, 마음속으로 짜증이 날지도 모른다. 그래서 우리는 처음부터 정작 질문해야 할 것들을 질문하지 못하고 그냥 대충 탐욕은 해로운 것이고 우리의 행복과 웰빙을 방해하는 걸림돌이라는 사실을 피상적으로 이해하고 동의하게 된다. 그 결과 탐욕하는 인생이 실제로 얼마나 고달프고 힘든 삶인지를 감각과 느낌, 체험으로 아는 대신 관념과 말로서 알게 된다. 그렇게 되면 사회적 학습, 모델 학습으로 탐욕에 익숙해진 우리들의 습관적 패턴은 은연중에 탐욕이 행복과 웰빙으로 가는 길이라고 굳게 믿고 탐욕으로 일관된 일상을 살게 된다.


자아초월심리학의 선구자 중 한사람인 스테니스라브 그로프는 자아초월적 관점에서 중독에 관해 논의하면서 “당신이 정말로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을 충분하게 얻을 수는 없다”고 말했다. 우리의 행복, 웰빙에 진정으로 필요하지 않고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을 우리가 원한다면 아무리 원하고 얻어도 그것으로 만족하거나 채워지지는 않는 다는 뜻이다. 왜냐하면 그것이 우리가 진정으로 원하거나 필요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목마른 사람에게 물은 진실로 필요한 것이기 때문에 물을 마시는 순간 만족하고 충족된다. 그러나 목마르지 않는 자, 당장 물이 필요하지 않는 이가 물을 마신다면 거기에 만족이나 충족감은 존재하지 않는다.


탐욕은 필요 이상으로 구하는 것, 과거에는 필요했지만 지금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원하고 구하는 것, 또 지금 필요하지 않은데 미래에 대한 불안과 염려로 원하고 구하는 것 등과 관련된 욕구와 행위다. 그렇다면 왜 필요 이상으로 구하거나 지금 필요하지 않는 것을 원하고 구하는 것이 문제가 되는가? 그건 지금-여기, 이 순간의 머무름, 체험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또 우리에게 현재 주어진 경험들을 충분히 즐기는 기회를 놓치게 만들고 과거와 미래에 붙잡히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탐욕이 지금-여기, 현재 순간에 머무르는 것을 방해하는가? 그건 마음이 탐욕의 대상인 물질, 사람, 돈, 명예, 사랑, 인정, 관념 등에 집착하는 순간 자신의 홈그라운드인 몸의 존재를 잊어버리게 되기 때문이다. 몸에 의지하고 몸에 머물지 못하는 마음은 집착의 대상들을 쫓아 배회하기 때문에 항상 불안하고 긴장하고 만족을 모르게 된다. 몸을 떠난 마음은 오직 원하기만 할 뿐 얻어진 것을 즐기고 감사하고 풍족해 할 줄을 모른다.

 

▲서광 스님

우리에게 주어진 것들을 진실로 즐기고 감사하고 만족하는 일은 오직 우리의 몸과 마음이 하나가 되는 순간에 가능해 진다. 그리고 진실로 즐길 줄 아는 사람은 탐욕으로부터 자유롭다. 진정한 즐김과 탐욕은 빛과 어둠처럼 공존할 수 없는 것들이다.
 

서광 스님 동국대 겸임교수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