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육바라밀-정진

기자명 법보신문

정진은 부지런히 최선을 다해 노력하는 것
자아의식 동반되면 아집만 쌓여 발전 못해

육바라밀의 네 번째는 정진바라밀이다. 정진(精進)은 게으르지 않게 부지런히, 최선을 다해서 노력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테면 이미 생겨난 불건강한 행위는 재발되지 않도록 부지런히 노력하고, 아직 일어나지는 않았지만 잠재된 불건강한 행위는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예방하고, 이미 생겨난 올바르고 건강한 행위는 더욱 발전시키고, 잠재된 건강한 행위는 잘 자라도록 부지런히 힘쓰는 네 종류의 올바른 노력(四正勤)이 대표적인 정진의 예가 될 수 있다.


정진바라밀도 지계나 인욕바라밀과 마찬가지로 삼륜청정의 보시바라밀을 완성하는데 필수적인 요소 가운데 하나다. 왜냐하면 보시바라밀은 엄밀한 의미에서 자기중심에서 벗어나서 타자를 향한 관심과 관계 형성의 수단이기 때문이다. 한 마디로 보시바라밀은 기대나 계산이 들어가지 않는 조건이 없는 사랑의 실천이다. 우리들은 누구나 특별한 사랑을 하고 또 사랑받고 싶어 하지만, 실제로 사랑을 주고받는 길에는 엄청난 장애물들이 놓여있다.


이유는 우리 모두가 각각의 삶의 이력을 가지고 욕망의 세계를 살고 있는 중생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살면서 가장 힘들고 어려운 일 가운데 하나가 진실로 사랑하는 법을 배우고 아집으로부터 자신을 개방하는 일, 바로 보시바라밀이다. 제대로 된 보시바라밀의 실천에는 특별한 노력, 올바른 노력이 요구된다.


보시를 실천하면서 그 대가로 돌아올 다른 형태의 이익, 명예, 인정, 사랑 등을 의도적으로 계산하고 기대했다면 그것은 이미 생겨난 그릇된 행위이므로 보시바라밀이 못된다. 그러므로 그와 같이 계산하고 뭔가를 기대해서 보시행을 반복하지 않도록 자신의 내면을 부지런히 살피고 자각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또한 드러나게 의식적으로 기대하고 계산하지 않았지만 무의식적으로라도 자신에게 되돌아 올 이익을 계산하고 기대하지 않도록 알아차리는 훈련을 게을리 하지 않는 것이 두 번째 올바른 정진이다.


만일 아무런 기대나 계산 없이 무심한 마음으로 오직 상대방의 입장에서 보시행을 했다면 그러한 마음을 더욱 증장시키는 것이 세 번째 올바른 정진이다. 더러는 사심 없이 보시할 마음이 있어도 선뜩 나설 용기가 부족하거나 행동으로 옮길 만큼의 추진력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그럴 때는 자신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선한 마음의 동기를 알아차리고 강한 의지를 발동시켜서 행동으로 옮기는 노력이 네 번째 올바른 정진이다.


정진바라밀에서 또 한 가지 중요한 것은 중도적 노력이다. 노력이 지나치면 반드시 그 보상을 기대하는 것이 우리들의 심리다. 무리하게 노력하는 사람은 자기처럼 무리해서 노력하지 않는 사람을 보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그들을 무시하고 판단하는 악업을 짓게 된다. 그래서 참선수행에 집착하는 사람은 주변의 정상적인 소리를 소음으로 지각하고 예민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


무리하게 소식(小食)하는 사람에게는 정상적으로 필요한 자기 양만큼을 먹는 사람이 미련하고 과식하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잠자는 시간을 지나치게 아까워하고 애쓰는 사람의 눈에는 필요한 만큼 자는 사람이 공연히 게으르고 나태해 보이기도 한다. 그들은 모두 제7 마나식의 작용에 의지해 정진하기 때문에 자아를 중심으로 타자를 판단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서광 스님

정진바라밀은 중도수행으로 실천하지 않으면 마나식의 자아의식이 작동하고 강화되는 조건이 형성된다. 바라밀수행에 마나식이 작동하는 조건이 형성된다는 말은 항해하는 도중에 태풍과 토네이도를 만난다는 의미와도 같은 것이다. 즉, 자아의식이 동반되는 정진은 아집을 살찌우고 아집에 휘둘리기 때문에 순탄하게 나아가지 못한다. 그러므로 맑고 잔잔한 순풍의 항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중도적 정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서광 스님 동국대 겸임교수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