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 무사선(無事禪)-1

기자명 윤창화

본래무사를 모토로 일상의 평상무사 실현
일상 자체가 수행이고 깨달은 자의 삶 추구

무사(無事)의 어의(語義)는 ‘아무런 일이나 문제가 없는 것’ ‘평온함’을 뜻한다. ‘평상심이 곧 도(平常心是道)’라고 정의하고 있는 바와 같이, 무사는 당대(唐代) 조사선이 추구했던 수행의 도달점(목표)이었고, 동시에 깨달은 자의 삶의 모습이었다.


그들은 ‘본래 애시 당초 아무 일이 없는 경지 즉 본래무사(本來無事)를 모토로 하여, 일상생활에서 평상무사(平常無事)를 실현하는 것이었다.


무사선은 조사선 시대의 무사선과 간화선 시대에 이르러 대혜 종고(大慧宗杲, 1089∼1163)가 비판하는 무사선이 있다. 이 둘은 동명이질(同名異質)로 좀 다르다. 조사선 시대 무사선의 지향점은 ‘본래무사(本來無事)’, ‘평상무사(平常無事)’로, 깨닫기 위한 인위적인 수행은 오히려 향외치구심(向外馳求心)이 되며, 그것은 도(道)를 장애하는 번뇌가 될 뿐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무심(無心), 무위(無爲)한 입장과 관점에서 깨달아야 한다는 의식이나 인위적인 마음을 갖지 말라는 것이다. 평상무사, 즉 일상 그 자체가 수행이 되어야 하고, 깨달은 자(부처)의 삶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무사’ ‘본래무사’ ‘평상무사’의 사상적, 철학적 바탕은 육조 혜능이 말한 무념위종(無念爲宗) 즉 무념무심(無念無心)으로 수행의 근본을 삼음과, 그리고 임제 의현이 말하고 있는 무수무증(無修無證)이다. 즉 ‘본질적으로 닦을 것도 깨달을 것도 없다’고 하는 관점에 있는 무사로, 이것은 깨달은 자의 입장에서 본 무사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본질적으로 번뇌 망념과 집착이 없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며, 그 결과 닦아야 할 일(事)까지도 없는 것을 뜻한다.


그런 존재를 ‘임제록’에서는 무사인(無事人, 일없는 사람), 또는 요사인(了事人, 일 마친 사람)이라고 한다.


반면 대혜종고 즉 송대 간화선에서 비판하는 무사선은 ‘할 일은 아무것도 없다’고 하면서 고요하게 앉아 있는 것(묵조), 즉 무사안일과 무위도식에 대한 비판이었다. 그런데 그 1차적인 대상은 임제종 황룡파의 동림 상총(東林常總, 1025∼1091)이었다.


대혜는 임제종 양기파로 같은 계통이었는데, 그는 ‘종문무고(宗門武庫)’에서 “조각(照覺, 동림상총의 시호)은 평상무사함과 지견해회(知見解會, 알음알이)가 없는 것으로써 도(道)를 삼고 있으며, 더욱더 묘오(妙悟, 깨달음)가 있음을 구하지 않는다”라고 하여 평상무사, 안일무사에 빠져서 묘오(妙悟)가 있는데도 구하지 않는다고 비판하고 있다.


한편 이것은 굉지 정각의 묵조선에 대한 비판이기도 했는데,  차이점은 대혜 종고 쪽에서는 화두를 참구하면 묘오가 있다는 것이고, 묵조, 무사선에서는 일체 인위적인 것을 버리고 묵묵히 앉아서 번뇌 망상을 잊는 것, 그때그때 일어나는 허망한 생각을 잊는 것, 그것이 곧 불도수행이라는 것이다.


대혜 종고는 그것을 무사갑리(無事甲裏, 안일 무사한 것), 무사계리(無事界裡, 무사에 빠져서 진정한 불도수행에 대한 의식이 없는 것)라는 말로 비판했다.

 

사실 무사선은 그 본래 의도와는 달리 말류(末流)로 가면서 폐단도 있었다. 그것이 이른바 본래무사, 평상무사의 미명 아래 아무것도 하지 않고 앉아 있는 것이었다. 다만 우리가 여기서 생각해 볼 것은, 동림 상총과 대혜 종고는 같은 임제종이었지만 수행법은 달랐다는 것이다. 동림 상총의 황룡파는 조사선 즉 무사선(혹은 묵조)이었고 대혜의 양기파는 간화선이었던 점을 본다면 임제종이라고 해서 모두 간화선을 지지했던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윤창화
간화선만이 바른 선(禪)이고, 그 밖의 선(禪)은 모두 사선(邪禪)이라는 규정은 대혜 종고(간화선)의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
 

윤창화 changhwa9@hanmaill.net

 


‘선, 병통과 치유’를 마치고, 이번호 부터는 선의 종류를 소개하는 ‘선가산책’을 연재합니다.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