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9. 여래선(如來禪)

기자명 법보신문

부처님 말씀 의거해 수행하고 깨닫는 선
앙산이 처음으로 조사선과 여래선 구분

‘여래선(如來禪)’이란 ‘여래의 말씀’ 즉 ‘부처님께서 설한 경전에 의거, 수행하여 깨닫는 선’이라는 뜻이다. 또는 여래가 깨달은 경지를 가리키기도 하는데, 다른 말로는 ‘여래청정선(如來淸淨禪)’, ‘최상승선(最上乘禪, 최고의 선)’이라고 한다.


규봉 종밀(780-841)은 ‘도서(都序)’에서 당시까지의 모든 수행법을 분류하면서, 여래선을 최상승선이라고 하여 가장 위대한 것으로 보았다. 하지만 이는 학술적인 명칭일 뿐 문파(門派)적인 명칭은 아니다.


여래선은 자신의 마음이 본래 청정하여 번뇌가 없으며, 중생은 누구나 최고의 지혜인 무루지성(無漏智性)을 갖추고 있고, 또 이 마음이 본래 부처(진리)와 다름없다는 이치를 믿고 깨닫는 것을 가리킨다. 따라서 그 경지와 관점, 목표, 지향하는 바는 조사선, 간화선과 같다.


그러나 조사선과 그 후대에 성립한 간화선에서는 여래선을 일컬어 여래의 말씀 즉 경전에 의존하고 있다고 하여 조사선보다 낮은 단계에 있는 선으로 폄칭했다. 또 여래선은 경전 탐구 즉 언어문자를 벗어나지 못했으며(불립문자), 학문적, 이치적으로 안 것에 불과하다고 하여 ‘의리선(義理禪)’이라고 폄칭했다. 실참(實) 없이 지식적으로 이해한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시대적으로는 육조 혜능 이전까지를 여래선, 그 이후를 조사선이라고 한다.


여래선, 조사선에 대한 구분은 육조 혜능 때까지는 없었다. 혜능 계통의 마조 도일의 문하에서 종래의 선(禪) 특히 북종선과 차별화하기 위하여 조사선을 내세우면서 시작한 것이다. 한편 이것은 혜능의 남종선에서 자파(自派, 조사선)가 월등함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였다.


처음으로 종래의 선을 여래선, 의리선이라고 격하하고 자파(自派)의 선(禪)인 조사선을 우월한 위치에 놓고서 차별화를 시도한 것은 위앙종을 개척한 앙산 혜적(仰山慧寂, 803∼887)이다. 그는 항상 열심히 교학(경전)을 탐구하고 있는 사제(師弟, 아우) 향엄 지한(香嚴智閑, ?~898)이 꼴사나웠는지 어느 날 그에게 물었다.


‘전등록’ 11권 「앙산」장(章)에 나온다.


“향엄, 근래 그대의 깨달은 바가 어떠한가.”


향엄이 말했다. “지난해 가난은 가난이 아니었네. 금년의 가난이 비로소 가난이네. 지난해에는 송곳을 꽂을 땅이 없었는데 금년에는 송곳마저 없구나.”


이 말은 번뇌 망상 등 분별심이 완전히 사라져서 설 자리가 없다는 뜻이다. 마음에 남아 있는 것이 하나도 없다는 뜻이다. 향엄의 대답에 앙산은 “사제(아우)는 다만 여래선을 얻었을 뿐, 아직 조사선은 얻지를 못했네(師弟, 只得如來禪, 未得祖師禪).”라고 했는데, 이것이 조사선과 여래선을 비교, 구분한 최초의 근거이다.


여래선이란 달마의 문하에 전해오는 선을 가리킨다. 그러나 중당(中唐) 이후 선종에서 ‘불립문자, 직지인심, 견성성불’이라고 하여 언어문자보다는 방할(棒喝)로, 또 여래의 말씀(경전)보다는 조사의 말씀(조사어록)으로 납자들을 제접(提接, 이끌어 줌), 지도하게 되면서 경전에 의존하던 과거의 선은 여래선, 지금의 선은 조사선이라고 한 것이다.


한마디로 여래 즉 부처님 보다는 조사(祖師)를 더 중시한 것인데, 이는 당말까지 선종 사원에서 대웅전을 두지 않고 부처님도 모시지 않은 것과도 상통한다. 즉 그들은 부처님보다는 조사를 더 높이 받들었고, 경전보다는 조사의 말씀 즉 어록을 더 중시하여 수행했다.


여래선에 대하여 ‘능가경’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윤창화
“무엇을 여래선이라고 하는가? 부처님과 같은 경지(佛地)에 들어가서 스스로 성스러운 지혜를 깨달아서 삼종락(三種樂: 천상락, 선락(禪樂), 열반락)에 머물러 모든 중생을 위해 불가사의(不思議)한 많은 일을 하나니 이것을 이름하여 여래선이라고 한다.”

 

윤창화 changhwa9@hanmaill.net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