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6. 보조선(普照禪)

기자명 윤창화

보조지눌 스님의 선사상과 수행법
유일하게 우리나라에서 형성된 선

보조국사 지눌(普照知訥, 1158~1210)의 선사상, 가르침, 수행법을 ‘보조선’이라고 한다. 보조국사는 고려 시대 선승으로 최초로 우리나라에 화두참구의 간화선을 도입, 정착시킨 이다. 선에는 조사선, 간화선 등 전통적인 선 외에도, 달마선, 임제선, 우두선 등 선승의 이름을 딴 다양한 선이 있다. 이들은 모두 탁월한 안목과 지도방법, 그리고 선풍(禪風)으로 납자들을 교화하여 한 시대를 풍미했다. 지금도 그 가르침이 면면히 이어져오고 있는데, 보조선도 그중 하나이다.


여러 가지 이름의 선은 거의 다 중국에서 형성되었다. 그런데 유일하게 우리나라에서 형성된 것이 있는데, 그것이 보조선이다. 어떤 하나의 사상이나 학파도 마찬가지지만 선 역시 하나의 유파(流派)로 기록되자면 특출한 사상과 가르침, 지도방법, 그리고 문파가 있어야 한다. ‘보조선’이라는 명칭으로 정착될 수 있었던 것은, 보조지눌의 사상과 가르침, 수행법이 탁월했고, 그 문하에서 무려 16국사가 배출되었기 때문이다.


보조선의 개창자인 보조지눌은 고려 중기의 선승으로 자호(自號)는 목우자(牧牛子)이다. 8세에 출가하여 25세에 승과(僧科)에 합격했다. 어느 날 ‘육조단경’을 읽다가 “진여는 자각(自覺)의 본체이다. 자각은 진여의 지혜작용이다. 자성이 자각하여 보고 듣고 느끼고 알지만, 그 진여는 만 가지 경계에 물들지 않으며 항상 자재하다(眞如, 是念之體. 念是眞如之用. 自性起念, 雖卽見聞覺知, 不染萬境, 而常自在)”라는 구절에 이르러 문득 깨달았다. 그리고 ‘대혜어록(大慧語錄)’의 “선은 고요한 곳에도 있지 않고 시끄러운 곳에도, 일상의 생활 속에도 있지 않고 사량분별하는 곳에도 있지 않다”는 구절에서도 크게 깨달은 바가 있었다고 한다.


그 후 조계산 송광사에서 정혜결사(定慧結社)를 조직하고, 습정균혜(習定均慧), 즉 정혜쌍수를 바탕으로 수행할 것을 강조했다. 성적등지문(惺寂等持門, 성성적적을 균등하게 가질 것), 원돈신해문(圓頓信解門, 화엄론에 의한 수행, 깨달음), 간화경절문(看話徑截門, 화두참구를 통한 돈오의 깨달음)의 3가지 방법을 가지고 수행자들을 지도했다.


보조선은 우리가 알고 있는 조사선, 간화선과 아무런 차이가 없다. 다만 수행법에 있어서 강조하는 것이 있다면 정혜쌍수이다. ‘정혜쌍수(定慧雙修)’란 정(定)과 혜(慧)를 함께 닦아야 한다는 뜻으로, 마음을 한 곳에 집중하는 수행법인 선정(禪定, 깊은 명상)과 현상 및 본체를 관조하는 지혜(智慧)를 함께 닦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 이것을 ‘정혜등지(定慧等持, 정과 혜를 균등하게 유지함)’라고도 한다. 화두를 참구할 때에는 적적(寂寂)과 성성(惺惺) 어느 하나에 편중하는 것을 경계(警戒)하고 이 두 가지를 함께 닦는 것으로 곧 수(修)와 오(悟)의 병행이라고 할 수 있다. 보조지눌의 논리는 정(定)이나 혜(慧) 어느 하나에 치우치는 것은 참다운 수행의 길이 아니라는 것으로, 요컨대 깨달음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선정과 지혜를 닦는 수행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정혜쌍수는 오늘날 한국선불교의 수행법이기도 한데, 이것을 더 확장하여 해석하면 참선(좌선, 명상, 삼매)과 동시에 지혜를 갖추는 수행을 병행해야만 올바른 깨달음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오로지 앉아 있는 좌선중심주의도 옳지 못하고, 지혜중심주의로 수행하는 것도 옳지 못하다.

 

▲윤창화

다만 선정의 방법은 삼매 하나인데 비하여, 지혜를 갖추는 방법은 하나일 수만은 없다. 지혜를 갖추자면 학문적 지식과 경험적 지식, 깊은 사유(觀照), 그리고 정법안장(正法眼藏, 정법을 볼 줄 아는 탁월한 안목)을 갖춘 훌륭한 선승의 법문을 듣는 것도 반드시 필요하다.

 

윤창화  changhwa9@hanmaill.net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