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1. 범백재(范伯才)의 격발

기자명 성재헌

범백재, 한편의 글로 원오극근 채근하다

▲ 일러스트=이승윤

그렇게 되었을 땐, 그럴만한 까닭이 있다. 존재건 현상이건 제 홀로 이루어지는 건 세상에 없다. 또한 부처님께서 “모든 유위법(有爲法)은 그림자[影]와 같고, 메아리[響]와 같다”고 하셨다.

그림자와 메아리는 홀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반드시 ‘무엇의 그림자’이고, ‘무엇의 메아리’이다. 바로 그 영향(影響)을 끼치는 ‘무엇’, 특정 현상의 전제가 되는 ‘무엇’을 불교에서는 인연(因緣)이라 한다.
인연화합생(因緣和合生)의 법칙에서 사람이라고 예외일 수는 없다. 수많은 인연이 모여 어떤 사람을 만드는 것이지, 본래부터 그런 사람은 없다. 훌륭한 사람도 못난 사람도 곰곰이 살펴보면 수많은 인연의 그림자이고 메아리일 뿐이다.

이런 존재와 현상의 실상(實相)을 깊이 수긍하게 되면 “왜 이러니, 왜 저러니” 하며 누군가를 탓하는 일이 절로 줄어들게 된다. 왜냐하면 길어져도 짧아져도 그림자일 뿐이고, 아름답건 성가시건 메아리이기 때문이다.

인연 모여 한사람 만드는 법
훌륭한 사람도 못난 사람도
인연의 그림자이고 메아리

극근의 기상 알아본 범승상
한편글로 대종장의 스승 돼

그럼, 만사(萬事)를 방기(放棄)하고 만사에 무심(無心)해야 할까?

욕망과 집착으로 헝클어진 마음의 실타래를 풀자면 한번쯤은 반드시 그래야 할 것이다. 하지만 만사를 쓸어버려 몽땅 공(空)으로 돌리기만 한다면, 그건 단멸(斷滅)의 공이지 중도(中道)의 공은 아니다. 스스로 안심입명처(安心立命處)를 얻어 그림자와 메아리를 거둬버리면 자기 하나만큼은 속편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건 소승(小乘)이지 대승(大乘)은 아니다.

왜냐하면 중생들은 그림자와 메아리에만 눈이 팔려있기 때문이다. 그림자와 메아리를 거둬버리면 그들은 끝내 붓다의 해탈과 열반을 짐작조차 못한다. 그래서 대승의 보살들은 그림자놀이와 메아리잔치를 소홀히 하지 않는다. 기왕이면 그림자가 반듯하도록 그 걸음걸이를 조심하고, 기왕이면 메아리가 아름답도록 그 목청을 가다듬는다. 이렇게 세상에 좋은 영향(影響)을 끼치는 보살, 그런 자를 일러 스승이라 한다.

원오극근(圜悟克勤) 스님이 처음 성도(成都)의 강원에서 지낼 때였다. 승상 범백재(范伯才)가 그곳을 지나다가 우연히 들르게 되었다. 극근 스님과 한 잔의 차를 나누던 범승상은 그의 기상과 자질이 남다르다는 걸 한눈에 간파하였다. 그래서 한편의 글을 지어 주면서 남방으로 가서 훌륭한 종장들을 만나보라고 권유하였다.

물물 구경 하려거든 더러운 연못물일랑 보지 마시게
더러운 연못물에는 볼품없는 물고기와 자라들뿐이니
산을 오르려거든 아랫자락 낮은 산일랑 오르지 마시게
구불구불 내려앉는 산자락엔 초목마저 흔치 않으니.
물 구경 하려거든 곧장 드넓은 창해를 보고
산을 오르려거든 곧장 태산 정상에 오르시게
그래야 얻는 것도 적지 않고 보는 것도 높으며
온 힘을 다한 그 노력도 헛되지 않으니.
남방에 다행히도 부처를 뽑는 곳이 있으니
그곳으로 가 오묘한 뜻을 궁구하는 게 좋으리라
훗날 큰 그릇 되어 무너진 기강 바로 잡는다면
대장부 출가한 뜻을 저버리지 않게 되리다.
대장부여, 머뭇거리지 마시게
어찌 헛된 명성을 위해 자신을 망치려드는가
즐겁게 어울리는 시절이라 괴로움이 적다지만
모르는 사이 세월은 덧없이 흐른다오.
성도 땅은 더구나 번화한 곳이 아닌가
마냥 눌러앉는다면 그건 단지 여자와 술의 유혹 때문
우리 스님은 본래 세속의 티끌을 벗어난 분인데
어찌 악착스런 무리들 따라 함께 파묻히려 하는가.
우리 스님 다행히도 높은 뜻을 품었으니
절대 발을 헛디뎌 흙탕물에 빠지지 마오.
그대는 보지 못하였나
배를 삼키는 큰 고래는
작은 개울에 숨지 않지
아름드리 큰 나무가
어찌 민둥산에서 자라리오.
큰 붕새는 한번 나래 치면 구만리를 오르니
제비의 날갯짓, 백사장 갈매기와 어찌 같을까
천리마여, 쏜살처럼 달려보는 게 어떻소
옛 가지 연연하는 뱁샐랑 본받지 마오
설령 천 경 만 논을 강의할 수 있다 해도
결국 선종의 두 번째 기틀에 불과하다오.
흰 구름은 본래 높은 누대를 사랑해
아침저녁 자욱하게 잠시도 흩어지지 않다가
단비를 갈망하는 만백성들 소리 들리면
한가롭게 스스로 산에서 나온다네.
그대는 또 보지 못하였나
형산에 경요(瓊瑤)라는 옥석이 있었지만
뛰어난 장인을 만나지 못해 덤불 속에 버려졌던 것을
당시 초나라의 형산을 떠나지 않았다면
어찌 진나라 열다섯 성보다 배나 비쌀 수 있었으랴.

준마(駿馬)를 잘 알아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준마를 잘 훈련시키는 사람이 있고, 또 준마를 좋은 값에 잘 파는 사람도 있다.

준마의 입장에서 곰곰이 따져보면, 그들 가운데 하나라도 없었다면 어느 농부의 거름더미나 나르면서 “이런 쓸모없는 망아지” 소리나 평생 들었을 것이다.

성능이 좋은 총도 방아쇠를 당기지 않으면 소용없다. 범백재의 격발이 없었다면 원오는 성도를 떠나지 않았을 것이고, 선문의 종장인 담담문준(湛堂文準)선사와 오조법연(五祖法演)선사도 만나지 못했을 것이고, 만고에 빛나는 선가의 법어집 ‘벽암록(碧巖錄)’도 남기지 못했을 것이고, 천하에 선풍을 떨친 대혜종고(大慧宗杲)와 호구소륭(虎丘紹隆)도 길러내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니, 어찌 범백재를 원오의 스승이라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성재헌 tjdwogjs@hanmail.net
 

[1238호 / 2014년 3월 26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 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