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3. 분명한 앎(sampajana)-2

기자명 인경 스님

분별적인 앎은 관찰적 경험 통해 획득

분명한 앎(知, sampajañña)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가 하는 질문이 들어왔다. 그것은 삼빠잔냐에는 ‘주의 깊은 관찰로서 형상이나 모양을 안다’는 개념이 없다는 반론이다. 이것은 필자와 조금 다른 견해이다. 삼빠잔냐가 ‘주의 깊은 관찰’과 연결되어 있음에 대해서는 공감하지만, ‘형상이나 모양에 대한 앎이 없다’는 견해에 대해서는 찬성할 수가 없다. 이것을 확인을 위해서는 호흡명상을 기술하는 아래의 ‘염처경’의 사례를 다시 보자.

분별있는 앎과 없는 앎
서로가 무관하지 않아
현실과 초월 함께할 때
창조적 긴장관계 유지

비구들이여, 비구는 어떻게 몸에서 몸을 따라 관찰하면서 머무는가?

비구는 아란냐로 가고, 또는 나무 아래로 가고, 또는 텅 빈 장소로 가서, 가부좌를 틀고 몸을 똑바로 세워 앉아서, 면전에 알아차림을 확립한다. 그는 알아차림하면서(sato) 숨을 들이마시고, 알아차림하면서 숨을 내쉰다. 길게 숨을 마실 때는 ‘길게 숨을 들이 마신다’고 분명하게 알며(sampajanati), 길게 숨을 내쉴 때는 ‘길게 내신다’고 분명하게 안다. 짧게 숨을 마실 때는 ‘짧게 숨을 들이 마신다’고 분명하게 알며, 짧게 숨을 내쉴 때는 ‘짧게 내신다’고 분명하게 안다.

여기서 사용하는 ‘분명하게 알다(sampajanati)’는 명상형인 ‘분명한 앎(sampajañña)’의 동사형으로서 서로 다른 의미가 아니다. 대상을 분명하게 아는 행위에는 ‘형상과 모양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문제’는 위의 인용문을 보면 분명하여 진다고 본다. ‘숨이 길면 길다고 분명하게 알고, 숨이 짧으면 짧다고 분명하게 안다.’ 이 문장에서 분명하게 아는 행위로서 삼빠잔냐에는 분명하게 형상과 모양이 존재한다. 숨이 들어오고, 혹은 나감은 분명한 형상이고, 길고 짧음은 분명한 모양이 존재한다.

들어옴과 나감, 혹은 길고 짧음이란 모양과 형상에 대한 분명한 앎이 없으면, 우리는 이것들에 대한 ‘분명한 인식’을 할 수가 없다. 동물들도 호흡을 하지만 호흡의 들어옴과 나감, 길고 짧음을 주의 깊게 관찰하지 않는다. 또한 설사 인간이라고 해도 호흡명상에 대한 분명한 이해가 선행되지 않으면 역시 호흡에 집중하여 관찰할 수가 없다. 이점을 비구들에게 호흡명상을 가르치는 붓다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숨이 들어오면 ‘들어옴’이라 하고, 숨이 나가면 ‘나감’이라고 분명하게 알라고 가르치는 우리의 경우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반야, 곧 지혜를 얻는 것에는 두가지 길이있다. 하나는 온건하고 점진적인 길이다. 모양과 형상에 대한 ‘분별적인 앎’을 통해서 그것들의 무상과 실체 없음을 자각하여 가는 길이다. 이것은 ‘알아차림’, ‘분명한 앎’, 그리고 ‘위빠사나’의 길이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대상에 대한 많은 관찰적 경험을 통해서 획득된다. 시간이 필요하지만 대신에 굳건하다.

다른 하나의 급진적인 방식으로 일종의 깨달음이다. 이것은 사물의 본질에 대한 직관으로 뜻밖에 문득 찾아온다. 모양과 형상이 모두 조건 지어진 인연의 결과로서, 그 자체로는 존재하지 않음에 대한 통찰이다. 깨달음의 직관은 사물의 주변을 맴돌지 않고 곧장 가로질러 뛰어 들어간다. 대상의 형상에 대한 부정을 통해서 문득 그 본질을 체득한다.

분별이 있는 앎은 ‘이것은 단지 이것일 뿐이다’라고 말한다면, 분별없는 앎은 ‘이것은 이것이 아니다. 이때야 비로소 이것은 바로 이것이다’고 말한다. 분별이 있는 앎은 현실적인 대응능력을 가져오지만, 현실적인 집착과 자기 동일시의 애착을 만들어낼 위험이 있다. 반면에 분별없는 앎은 공허해지고 현실로부터 유리될 위험성을 함께 가진다. 그래서 이들은 함께 해야 하고, 보완적인 관계로 창조적인 긴장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분별이 있는 앎과 분별이 없는 앎은 서로 무관하지 않다. 분별이 있는 앎이 분별없는 앎을 불러 일으켜 세운다. 반대로 분별없는 앎은 분별이 있는 앎을 보다 깊게 경험하도록 돕는다.

인경 스님 명상상담 연구원장 khim56@hanmail.net

[1240호 / 2014년 4월 9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 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