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6. 수심결과 간화선〈끝〉

기자명 인경 스님

‘수심결’ 핵심은 마음 닦는 비결로서 간화선

‘수심결’이란 마음 닦는 비결을 말한다. 그러면 ‘수심결’에서 제시하는, 마음 닦는 핵심된 비결은 무엇인가? 보조국사는 ‘육조단경’을 통해 정혜쌍수의 성적등지(惺寂等持)를, ‘신화엄경론’을 통해 원돈신해문(圓頓信解門)을, ‘대혜어록’을 통해 간화경절문(看話逕截門)을 제시했다. 이 가운데서 ‘수심결’은 어디에 위치할까?

간화선 수행 제시한 최초 어록
간화로 깨쳐 정혜로 불성 장양
고려·조선 거쳐 전승 불구하고
지도자 부족해 대중화 어려움

‘수심결’의 핵심사상은 마음을 닦는 비결로서 간화선이다. 물론 보기에 따라서는 수심결이 간화선보다는 정혜를 함께 닦는 정혜등지를 더 강조한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수심결의 핵심된 질문은 ‘아침저녁으로 춥고 덥다 하고, 목마르고 배 고프다 하고, 기뻐하고 화를 내는 이것은 필경 어떤 물건인가?’라는 질문이다.

이 질문은 ‘수심결’에서 중요한 단락에서 반복하여 4번을 묻고 있다. 이 질문은 대승불교의 불성사상이나 선종에서 말하는 자성이나 본래면목의 사상에 기반한 간화선의 방식이다. 실제로 ‘수심결’은 불성이 무엇인지를 깊게 논의한다. 특히 불성을 공적영지로서 설명하고, 이것을 체득하기 위해서는 견문각지를 돌이켜서 무엇이 본래면목인지를 살펴보라고 말한다.

‘수심결’은 간화선을 주창한다. 그런 다음에 돈오점수의 수행론을 언급한다. 곧 간화선은 돈오점수의 수행체계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돈오는 공안을 참구하여 그 화두를 깨닫는 것이고, 점수는 간화에 의지하여 정혜를 닦게 된다. 이치는 간화로서 깨닫고, 일은 정혜로서 점진적으로 불성의 종자를 장양하게 된다. 이게 ‘수심결’이 제시하는 마음 닦는 비결인 것이다.

역사적인 관점에서 보아도, ‘수심결’에는 돈오점수와 관련된 대혜종고의 어록이 인용되고 있다. 간화선 수행을 할 때 깨닫는 이후의 수행을 어떻게 할지를 묻는 이참정의 질문에 대혜종고는 ‘능엄경’을 인용하면서 오직 돈오점수임을 실천하라고 말한다. 이유는 종종 깨닫고 난 이후에 계속적인 수행을 하지 않는 오류를 범하는 이들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국내에서 ‘수심결’은 간화선과 돈오점수의 수행을 제시한 최초의 어록이다. ‘수심결’ 이전에는 간화선을 제시하는 어록이나 논서가 전혀 없었다는 점이 바로 그 증거이다.

“보고 듣고 느끼고 아는 이것은 필경 어떤 물건인가?”

보조국사는 ‘수심결’을 통해 이 공안에서 깨닫게 된다면 부처와 조사와 함께 손을 마주잡고 간다고 말한다. 이후 간화선은 고려말을 거쳐 조선시대를 지나 오늘에 전승되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간화선은 많은 비판에 직면하여 있다. 첫째 대승불교의 불성사상에 대한 이해의 부족이다. 마음현상은 관찰이 가능하기에 쉽다는 게 일반대중의 의견이다. 반면 불성이나, 본래면목은 접근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어려움을 호소한다.

둘째는 간화선의 핵심인 의심은 본질적이고 궁극적인 의심이 생겨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그래서 어렵다고 한다. 의심이 없으면 깨달음도 없고, 크게 의심을 하면 크게 깨닫는다 하지만 근본적 의심이 생겨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세 번째가 제일 중요한 것인데, 간화선의 수행과정을 지도할 매뉴얼이 없고, 그것을 지도할 지도자와 점검시스템이 많이 부족해 대중화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한다. 이런 지적들은 간화선에 대한 전통성만큼이나 사회적 역할을 해주길 바라는 기대가 반영된 지적들이 아닌가 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보면 이것들은 현대 간화선이 직면한 과제이고 응답해야할 핵심된 시대적 요청이 아닌가 한다.

인경 스님 명상상담연구원장 khim56@hanmail.net

 [1324호 / 2015년 12월 23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 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