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2. 팔정도와 육바라밀 ③

기자명 김정빈

개념 넘어 계율 실천해야 선정 성취

팔정도를 수행법의 기초로 삼고 있는 상좌불교는 아래로부터 위로 올라가는 체계이고, 육바라밀을 수행법의 기초로 삼고 있는 대승불교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오는 체계라고 말할 수 있다. 이는 팔정도가 보통 사람들이 따라가기 좋은 수행 체계라는 것을, 그에 비해 육바라밀은 아주 뛰어난 사람에게 알맞은 수행 체계라는 것을 의미한다.

‘색즉시공 공즉시색’에서
개념만 강조하는 한국불교
육바라밀도 팔정도와 같이
첫 덕목 개념반야로 바꿔야

팔정도는 보통 사람들이 따라가기 좋도록 불교적 인생관을 먼저 이해한 다음(정견) 그 이해를 숙고하도록 하여 결심하고 실천해 나아가도록 짜여 있다(정사). 그에 비해 육바라밀에는 불교적 인생관의 이 두 단계가 빠져 있다.

이에 대해, 육바라밀에도 팔정도의 정견과 정사에 해당하는 반야라는 덕목이 있지 않으냐는 반론이 있을 수 있겠다. 반야가 곧 지혜이고, 정견과 정사 또한 지혜라는 의미에서는 그 말이 맞다. 그렇지만 깊이 들여다보면 그 말이 정확히 맞는 것만은 아니다.

쉽게 정리하면 팔정도에서의 정견과 정사는 보통 사람들도 배우고 따라잡을 수 있는 개념지로서의 정견과 정사이지만, 육바라밀에서의 반야는 보통 사람들이 아닌, 깨달은 분들의 지혜를 의미한다. 팔정도에서 깨달음으로서의 반야를 찾고자 한다면 우리는 그것을 아홉 번째 덕목에서 찾게 될 것이다. 팔정도를 수행해 마쳐 한 바퀴 돌 경우, 그래서 지금까지는 개념으로서 알았던 정견을 이제는 증험으로써 알았을 경우 그것이 바로 깨달음이다.

여기에서 대승불교 내지는 한국불교의 문제점 한 가지가 드러난다.

한국불교에서 반야처럼 자주 설해지는 덕목도 드물다. 한국불교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경전은 ‘금강경’이며, ‘금강경’은 반야를 설하는 경전이라는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금강경’뿐이 아니다. 한국불교인들이 의식 때마다 암송하는 ‘반야심경’ 또한 반야를 설하는 경전이다.

문제는 그렇게 늘 설하고 듣는 반야가 설자(說者)의 증험반야라는 점에 있다. 비록 설자로서는 증험한 반야라고 할지라도 청자(聽者)는 그 증험반야를 개념반야로 들을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반야심경’은 설자인 부처님(관자재보살)의 증험반야를 ‘색즉시공 공즉시색’을 비롯한 여러 가지 언설로써 설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설법을 듣는다고 해서 청자인 불교 신자가 곧바로 ‘색즉시공 공즉시색’을 증험하는 것은 아니다.
설자인 부처님께서는 ‘색즉시공 공즉시색’ 이하를 증험함으로써 ‘무유공포 원리 전도몽상 구경열반’을 성취하셨다. 그렇지만 청자인 불제자는 ‘색즉시공 공즉시색’을 개념으로 알았을 뿐 증험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설법을 듣고 ‘무유공포 원리 전도몽상 구경열반’을 성취하지 못한다.

그런데도 한국불교는 ‘색즉시공 공즉시색’에 대한 개념을 얻는 데만, 그 개념을 심오하게 다듬는 데만 몰두하고 있다. 그렇지만 아무리 심오해진다고 해도 개념은 어디까지나 개념일 뿐이다. 증험반야는 오직 개념을 얻은 다음에 이어지는 실천으로써, 즉 계율을 착실하게 실천하여 쌓은 공덕을 바탕삼아 깊은 선정을 체험함으로써 성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팔정도는 개념반야로서의 정견과 정사를 맨 앞에 놓고, 그다음에 정견, 정사, 정업이라는 계율 수행을, 그다음에 정정진, 정념, 정정이라는 선정 수행을 놓았다. 따라서 육바라밀의 반야를 마지막 덕목으로서의 증험반야가 아니라 맨 처음 덕목으로서의 개념반야로 바꿔야 하며, 그 경우 육바라밀은 팔정도와 거의 같은 수행법이 된다.

필자는 육바라밀 수행을 좋지 못한 수행법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도 아니다. 대승불교가 옳지 못하다고 말하고 있는 것도 아니다. 또, 상좌불교만이 완전한 불교라고 말하고 있는 것도 아니다. 대승불교에는 상좌불교에서 찾아볼 수 없는 장점이 있고 상좌불교에도 그 나름의 장점이 있는데, 그 장점만을 취합하여 더 훌륭한 미래불교를 만들어가자는 것이 이글의 기본적인 취지다. 그 취지에서 볼 때 팔정도 수행법 속에 육바라밀은 이미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김정빈 소설가 jeongbin22@hanmail.net
 

[1347호 / 2016년 6월 15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 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